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외 새마을운동의 정책이전에 따른 정책변형 분석: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 Policy Transfer and Modification of Saemaul Undong Internationally: A Case Study of Saemaul Undong in Laos and Cambodi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새마을운동이 개발도상국으로 활발히 정책이전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어떤 정책구성요소가 어떻게 이전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생략한 채 주로 새마을운동의 효과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한편 정책변형을 설명하는 정책변동과 정책이전 이론은 변화의 원인과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본래의 정책내용과 변화된 정책내용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본 논문은 정책변형 연구에 관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여 정책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정책의 원형이 무엇이고, 정책이 이전됨으로써 어떠한 변형이 나타나는 가를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 진행된 6개의 새마을운동 사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새마을운동의 원형과 개발도상국에 이전된 변형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목표의 측면에서는 협소하게 정의된 마을수준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어 국가단위의 정책목표가 제시되지 못하였고, 정책의 중요한 주체인 정부의 역할이 모호하거나 미미하게 정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새마을운동의 원형과 변형 양자 모두 주민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이전된 새마을운동에서의 주민참여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리전략 측면에서는 원형에서 나타난 체계적인 관리전략이 부재했으며, 이는 사업의 효과성 및 지속성 담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The active policy transfer of Saemaul Undong (the New Village Program, or NVP) to developing countries has been observed recently. Current research on the NVP, however, narrowly focus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thout an analysis of the prototype NVP and modifications to it in countries where it is transferred.
    This paper constructs the prototype NVP and analyzes how it is modified in t six projects in Laos and Cambodia. Our analysis suggests huge differences between the prototype and the transferred versions of the NVP. Few programs contain national-level goals that also play a minor role in implementation. Weak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is also notable. Even mor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s is questionable due to the absence of systematic management strategy.

    더보기
    • 1 이종수, "행정학 사전" 대영문화사 2009
    • 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해외출장 결과보고서: UNESCAP 새마을운동 1차 시범사업 사후 평가" 2008
    • 3 정우진, "한국형 개발협력모델: 한국적 경험과 비교우위에 근거한 섹터별 프로그램" 한국국제협력단 2010
    • 4 권태준, "한국의 지역사회개발" 법문사 1981
    • 5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 6 노화준, "한국의 새마을운동: 결과지향적 자원관리와 자체조직화 활동간의 조화" 한국행정연구원 2012
    • 7 노화준, "한국의 새마을운동 : 생성적 리더십과 사회적 가치의 창발" 법문사 2012
    • 8 고건, "한국의 새마을운동 - 그 성공요인과 이전 가능성.『새마을운동: 지난 40년 앞으로 40년』" 15-28, 2010
    • 9 박영호, "한국의 대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 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
    •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의 농촌개발 1970-79: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만" 1979
    • 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정 50년사" 1999
    • 12 "한국국제협력단(KOICA)ODA 도서관"
    • 13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제협력단(KOICA)-농식품부 캄보디아 농촌분야사업 공동평가 보고서" 2011
    • 14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제협력단(KOICA)-ESCAP 새마을운동 1차 시범사업 사후평가 보고서" 2008
    • 15 "한국국제협력단(KOICA)"
    • 16 엥흐바야르 오랑거, "한국과 몽골의 협력관계의 재정립 : '새마을 운동'의 몽골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 17 박진환, "한국경제 근대화와 새마을운동"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 2005
    • 18 전해황,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세계화: 새마을운동 해외추진 사례연구" 13 (13): 2006
    • 19 최준영, "한국 복지국가 형성에서 정책이전의 역할 - 이론과 실제" 17 : 251-291, 2010
    • 20 정기환, "한국 농촌개발 경험의 국제화 전략 -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 21 한국국제협력단, "캄보디아 캄퐁참주 농촌지역개발사업 종료평가 결과보고서" 2009
    • 22 한국국제협력단, "캄보디아 캄퐁참도 농촌지역개발 PMC 사업 중간평가 보고서" 2008
    • 23 한국국제협력단, "캄보디아 농촌지역개발사업 실시협의 결과보고서" 2006
    • 24 한국국제협력단, "캄보디아 농촌지역 개발사업 집행계획(안)" 2006
    • 25 이승원, "캄보디아 농촌마을종합개발 사업 모델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 26 한국국제협력단, "캄보디아 농촌개발사업 사전조사 결과 보고서" 2006
    • 27 김태언,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정책이전 연구 : 정책집행과정에서 정책변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 28 허훈, "지역사회개발의 이론적 모형과 한국적 적실성에 의한 농촌지역개발방안" 경인행정학회 8 (8): 41-62, 2008
    • 29 소진광, "지역사회 거버넌스와 한국의 새마을운동" 한국지방자치학회 19 (19): 93-112, 2007
    • 30 長峯晴夫, "제3세계의 지역개발: 그 사상과 방법" 유풍출판사 1988
    • 31 한국국제협력단, "제2차 라오스 비엔티안주 5개마을 농촌종합개발사업 실시협의 보고서" 2010
    • 32 노화준, "정책학원론 : 복잡성과학과의 융합학문적 시각" 박영사 2012
    • 33 노화준, "정책설계의 사회의 재구성과 발전적 평가의 활용- 새마을 운동 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19 (19): 1-40, 2010
    • 34 정준금, "정책결정에 있어서 정책이전의 역할 분석을 위한 서설적 연구" 서울행정학회 17 (17): 53-78, 2006
    • 35 한국국제협력단, "전문가 실시협의 결과보고서" 2006
    • 36 한국국제협력단, "전문가 사전조사 결과보고서" 2006
    • 37 전해황, "인도네시아의 새마을운동 동향" 12 (12): 2002
    • 38 이용기, "유신이념의 실천도장, 1970년대 새마을운동" 48 : 67-91, 2012
    • 39 김은미,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추진방향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2
    • 40 정갑진, "외국인들이 배우고 싶어 하는 한국의 새마을운동" 도서출판 케이빌더 2008
    • 41 소진광, "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의 새마을운동 시범사업 성과평가-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79-202, 2007
    • 42 채영택, "신문 사설의 보도 프레임 분석을 통한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6 (16): 247-270, 2012
    • 43 한국국제협력단(KOICA), "선진원조 집행방안 모색을 위한 국별 비교연구" 2011
    • 44 주동주, "선진국의 ODA 공여실태 분석과 한국의 대외원조 전략" 대외경제협력기금 (EDCF) 2009
    • 45 "새마을운동중앙회"
    • 46 "새마을운동자료관"
    • 47 노화준, "새마을운동의 추진논리와 발전전략의 재음미: 사회・테크놀로지・생활환경시스템의 통합모형과 복잡적응적 시스템의 관점에서" 3-35, 2010
    • 48 박기영, "새마을운동의 체계개선과 이론화에 관한 연구" 4 : 151-180, 1976
    • 49 전상인, "새마을운동의 직시와 재인식" 2010
    • 50 김준석, "새마을운동의 재조명: 성공원리의 분석과 활성화를 위한 제언" 경기개발연구원 2006
    • 51 이방환, "새마을운동의 이론적 접근" 2 : 5-13, 1979
    • 52 박준호, "새마을운동의 이론적 고찰" 21 : 92-99, 1972
    • 53 문병집, "새마을운동의 이념과 진로: 새마을운동과 지역사회개발" 21 (21): 48-57, 1972
    • 54 서울대학교 새마을운동 종합연구소, "새마을운동의 이념과 실제" 1981
    • 55 안현영, "새마을운동의 원조효과성 제고방안" 6 : 2010
    • 56 임형백, "새마을운동의 세계화와 공적개발원조 적용을 위한 과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31-150, 2012
    • 57 한국새마을학회,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이론과 실천의 공유" 이론과 실천의 공유 2009
    • 58 하재훈,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방안" 4 : 59-91, 2008
    • 59 임재강,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과제" 2008
    • 60 박동서, "새마을운동의 목적" 11 (11): 5-15, 1973
    • 61 김운태, "새마을운동의 논리 및 그 체계정립" 11 (11): 16-26, 1973
    • 62 정우열, "새마을운동의 국제화 추진방안" 2008
    • 63 정대석, "새마을운동의 국제협력 사업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2006
    • 64 손혁상, "새마을운동의 국제개발협력사업화 현황 분석과 대안적 접근 모색: 권리에 기반한 접근 (RBA)과의 접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9 (29): 87-110, 2011
    • 65 고병호, "새마을운동의 계승발전방향" 7 : 1-80, 1990
    • 66 김용주, "새마을운동의 가치와 활용" 경상북도・글로벌새마을포럼・한국발전재단 2011
    • 67 임형백, "새마을운동을 이용한 아시아 국제개발협력" 한국아시아학회 14 (14): 111-139, 2011
    • 68 김영모, "새마을운동연구" 고헌출판사 2003
    • 69 아쿠아, "새마을운동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 In 새마을운동의 이념과 실제" 1981
    • 70 이정주,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217-237, 2011
    • 71 홍성천, "새마을운동과 임업" 경상북도・글로벌새마을포럼・한국발전재단 2011
    • 72 박진도, "새마을운동과 유신체제" 47 : 1999
    • 73 김경아, "새마을운동 해외전수 활성화를 위한 과제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 74 권령민, "새마을운동 원형연구" 새마을아카데미 2011
    • 75 호세전, "새마을운동 거버넌스의 중국적 적용" 한국사회연구소 11 (11): 123-160, 2010
    • 76 국무총리실, "새마을운동 ODA사업 기본계획"
    • 77 소진광, "새마을운동 ODA 시범사업의 추진방안 연구: 라오스, 르완다의 사업모델 확립방안을 중심으로" (사)환경과 문명 2011
    • 78 내무부, "새마을운동 : 시작에서 오늘까지" 내무부 1973
    • 79 박정희, "새마을운동 : 박정희대통령 연설문선집" 대통령비서실 1978
    • 80 정갑진, "새마을운동 40년의 회고와 전망" 경상북도・글로벌새마을포럼・한국발전재단 2011
    • 81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 40년사" 한국대학교수새마을연구회: 새마을운동중앙회 2012
    • 82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 40년 자료집" 새마을운동중앙회 2012
    • 83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 30년 자료집" 새마을운동중앙회 2000
    • 84 내무부, "새마을운동 10년사" 내무부 1980
    • 85 내무부, "새마을운동 10년사(자료편)" 내무부 1980
    • 86 강신택, "새마을사업의 계획과 집행" 11 (11): 84-110, 1973
    • 87 유훈, "새마을사업예산의 분석" 11 (11): 2027-2042, 1973
    • 88 배유일, "불확실성하의 정책이전, 확산 그리고 제도변화: 정책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5 (5): 95-117, 2010
    • 89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책세상 2003
    • 90 오유석, "박정희식 근대화 전략과 농촌새마을운동" 한국사회과학연구회 (55) : 157-177, 2002
    • 91 하재훈, "박정희 정권의 포퓰리즘적 통치전략으로서 새마을운동" 2009
    • 92 고원, "박정희 정권 시기 농촌 새마을운동과 근대적 국민 만들기" 비판사회학회 (69) : 178-201, 2006
    • 93 조희연, "박정희 시대의 강압과 동의 - 지배?전통?강압과 동의의 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역사문제연구소 (67) : 135-190, 2004
    • 94 김대영, "박정희 국가동원 매커니즘에 관한 연구-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1) : 172-207, 2004
    • 95 한국국제협력단, "라오스 비엔티엔주 농촌지역개발사업 사전조사 결과보고서" 2006
    • 96 한국국제협력단, "라오스 비엔티안주 5개 마을 농촌개발(소득증개) 사업사전타당성 조사 결과보고서" 2009
    • 97 한국국제협력단, "라오스 비엔티안주 5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식수개선) 사전조사 보고서" 2007
    • 98 한국국제협력단, "라오스 비엔티안주 5개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사전조사단 결과보고서" 2007
    • 99 한국국제협력단, "라오스 비엔티안주 5개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조사 사전조사단 결과보고서(식수개선-지표수분야" 2007
    • 100 한국국제협력단, "라오스 비엔티안주 5개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 실시협의 결과보고서" 2007
    • 101 한국국제협력단, "라오스 비엔티안주 5개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 2차 사전조사 결과보고서" 2007
    • 102 엄석진, "동원과 참여 사이에서: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 과정에서의 지방공무원의 역할" 한국행정학회 45 (45): 97-122, 2011
    • 103 정기환, "대 개도국 농촌개발 경험 전수 방안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08
    • 104 최양부, "농촌새마을운동 연구의 사회과학적 접근" 1 (1): 28-34, 1978
    • 105 안해균, "농촌발전정책에 대한 농민의 반응분석: 새마을운동과 농민의 심리적 반응" 11 (11): 43-58, 1973
    • 106 김동일, "농촌 새마을운동의 사회행위론적 연구" 3 (3): 43-49, 1980
    • 107 황연수, "농촌 새마을운동의 再照明" 한국농업사학회 5 (5): 17-53, 2006
    • 108 박섭, "근현대 한국의 국가와 농민: 새마을운동의 정치사회적 조건" 31 : 47-67, 1997
    • 109 유병용, "근대화전략과 새마을운동" 백산서당 2001
    • 110 김흥순, "근대화 프로젝트로서의 새마을운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 1970년대를 중심으로" 12 (12): 21-38, 2000
    • 111 최인이, "근대적 시간관념과 이윤개념의 내면화: 새마을부녀지도자의 노동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0) : 111-143, 2011
    • 112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운동 : 한 마을과 한 농촌운동가를 통해 본 민중들의 새마을운동 이야기" 푸른역사 2009
    • 113 황원규, "국제개발협력의 변천과 한국 공적개발원조(ODA)의 전망 및 과제" 2010
    • 114 "국가통계포털"
    • 115 윤충로, "구술을 통해본 1970년대 새마을운동: 새마을지도자 ‘만들기’와 ‘되기’ 사이에서" 한국사회사학회 (90) : 79-109, 2011
    • 116 소진광, "공적개발원조(ODA)사업으로서 새마을운동 활용방안" 국토연구원 2011
    • 117 "공적개발원조"
    • 118 하재훈, "‘세계화’의 과정에서 본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발전방향과 추진전략" 1 : 2009
    • 119 Dolowitz, D, "Who Learns What from Whom? A Review of the Policy Transfer Literature" 44 : 343-357, 1996
    • 120 Sabatier, Paul A,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Westview 1999
    • 121 엄석진, "The Rural Saemaul Undong Revisited from the Perspective of Good Governance"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6 (26): 17-43, 2011
    • 122 Domhoff, G. William, "The Power Elite and the State: How Policy is Made in America" Aldine De Gruyter 1990
    • 123 Mills, C. Wright, "The Power Elite" Oxford University 2000
    • 124 Tversky, Amos,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211 (211): 453-458, 1981
    • 125 Balatchandirane Govindasmy, "Saemaul Undong in India. Global Saemaul Undong: Present and Future" 2011
    • 126 Park, Chung Hee, "Saemaul : Korea's New Community Movement" Korea Textbook Co 1979
    • 127 Alinsky, Saul D, "Rules for Radicals: A Pragmatic Primer for Realistic Radicals" Vintage 1989
    • 128 Hogwood Brian W, "Policy Dynamics" St. Martin's Press 1983
    • 129 Hogwood Brian W, "Policy Analysis for the Re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 13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Declaration on Aid Effectiveness"
    • 131 이종수, "ODA 통합에 관한 연구: 몽골 새마을운동 ODA를 중심으로" 2011
    • 132 Rose, Richard, "Models of Change, In The Dynamics of Public Policy: A Comparative Analysis" Sage Publication, Ltd 1976
    • 133 Hwang, I, "Management of Rural Change in Korea: The Saemaul Und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81
    • 134 Dolowitz, D, "Learning from abroad: the role of policy transfer in contemporary policy-making" 13 (13): 5-23, 2000
    • 135 Edward P. Reed, "Is Saemaul Undong a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Today?" 2010
    • 136 권혁주, "Implications of Korea’s Saemaul Undong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olicy: A Structural Perspective"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5 (25): 87-100, 2010
    • 137 임경수, "How to cultivate and Develop Global Saemaul Undong Model Village" 한국지역개발학회 23 (23): 89-106, 2011
    • 138 So, Jin Kwang, "How to Practice Saemaul Undong into Africa in New Millenium Age. Global Saemaul Undong: Present and Future" 2011
    • 139 Biklen, Douglas P, "Community Organizing Theory and Practice" Prentice-Hall 1983
    • 14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Busan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 141 Park, Sooyoung, "Analysis of Saemaul Undong: A Korean Rural Development Programme in the 1970s" 16 (16): 113-140, 2009
    • 142 Birkland, Thomas A, "An Introduction to the Policy Process: Theories, Concepts, and Models of Public Policy Making" M. E. Sharpe, Inc 2005
    • 143 Sabatier, Paul A, "A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of Policy Change and the Role of Policyoriented Learning therein" 21 (21): 129-168, 1988
    • 144 Kingdon, John W, "Agendas,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Harper Collins College 1995
    • 145 Baumgartner, Frank R, "Agendas and Instability in American Poli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 146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ccra Agenda for Action"
    • 147 새마을운동중앙회, "2012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 새마을운동중앙회 2013
    • 148 새마을운동중앙회, "2011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 백서" 새마을운동중앙회 2010
    • 149 정갑진, "1970년대 한국새마을운동의 정책경험과 활용" 한국개발연구원 2009
    • 150 성공회대학교 새마을운동연구팀, "1970년대 새마을운동 일지" 2008
    • 151 성공회대학교 새마을운동연구팀, "1970년대 새마을운동 소사전" 2008
    • 152 성공회대학교 새마을운동연구팀, "1970년대 새마을운동 계통도" 2008
    • 153 성공회대학교 새마을운동연구팀, "1970년대 새마을 통계자료집" 2008
    • 154 엄석진,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의 재조명: 좋은 거버넌스(Good Governance) 특성을 중심으로" 2011
    • 155 韓炳震, "1970년대 국가와 농민관계에 관한 연구 : 새마을운동이 농민의 정치적 태도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 156 이환병, "1960년대 마을 개발과 농촌 새마을운동의 초기 전개과정" 23 : 81-12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