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6·25전쟁 시기 포병 탄약 보급체계 연구 - 철도, 도로 수송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Artillery Ammunition Supply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 Focused on Rail and Road Transport -
저자
강태윤 (국방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9-319(41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6·25전쟁 시기 한미연합군의 포병부대 탄약 보급체 계를 미군의 지원 이전과 이후 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했다. 한국군은 전 쟁 발발 직전과 유엔군의 지원 이전에는 미 군사고문단의 승인에 따라 탄약을 보급받았고 탄약의 양은 전면전을 수행하기에는 매우 부족했다. 탄약 보급은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고 육군 지휘관들의 탄약 확보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 정도에 따라 북한군의 남진 속도가 결정되 었다.
본격적인 탄약 보급체계는 미군이 참전하고 부산기지사령부가 창설 되면서 확립되기 시작했다. 미군은 일본군수사령부를 창설하여 일본 본 토를 군수지원 기지로서 활용했고 해상과 공중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부산에 위치한 창에 탄약을 보급했다. 이후 부산에 하역된 탄약은 기존 에 설치되어 있던 철도체계를 통해 전장으로 수송되었고 철도 수송이 제한되는 지역으로는 차량을 이용한 도로 체계를 통해 보급했다. 미군 의 탄약 보급체계는 전황이 진행되면서 부산기지사령부에서 부산군수 사령부를 거쳐 제2군수사령부로 개편하면서 완성되었다. 전쟁 초기 탄 약 저장 수준이 기준에 충족되지 못했을 때는 공중 수송을 통한 긴급 공수, 1일 CSR 조정 등 작전 수행을 위한 긴급 조치가 존재했다면, 전 쟁 후반기에는 탄약의 저장수준과 수송 체계가 확립되면서 안정적인 탄약 보급이 가능해졌다. 이처럼, 6·25전쟁에서 탄약 보급체계의 확립은 전쟁 수행 간 중요한 지속지원 요소였다
ThestudyexaminestheammunitionsupplysystemoftheROK-US combined forces' artillery units during the Korean War, divided into two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US military support. Before the outbreak of the war and the arrival of UN forces, the South Korean military received ammunition upon the approval of the US Military Advisory Group, with quantities insufficient for full-scale warfare. Ammunitionsupplywasnotsystematized,andthespeedoftheNorth Korean advance depended largely on the efforts of the South Korean Army commanders to secure ammunition.
A systematic ammunition supply began to take shape with the US interven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usan Base Command. TheUSestablishedtheJapanLogisticCommand,utilizingtheJapanese mainland as a logistical support base and supplying ammunition to thewarehousesinBusanviaseaandairtransportation.Subsequently, the ammunition offloaded in Busan was transported to the battlefield using the existing railway system, and in areas where rail transport waslimited,thesupplywasmanagedviaroadtransportusingvehicles. As the war progressed, the ammunition supply system was fully developed, evolving from the Busan Base Command to the Busan Logistic Command and eventually to the 2nd Logistic Command. In the early stages of the war, when ammunition storage levels did notmeettherequiredstandards,emergencymeasuressuchasaerial transportanddailyCSRadjustmentswereimplementedforoperational support. By the latter stages of the war, the establishment of stable ammunitionstorageandtransportsystemsenabledconsistentsupply. Thus,theestablishmentofanammunitionsupplysystemwasacrucial element of sustained support during the Korean War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