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치료의 국내 학위논문 연구 동향 분석 : 인식론적 관점 중심으로 (1994 ~ 2017) = Analysis on the Trend of Thesis Research on the Drama Therapy in Korea
저자
발행사항
용인 :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연극치료학과 , 2018. 2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경기도
형태사항
85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미리
UCI식별코드
I804:41015-200000078847
소장기관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sis research on the drama therapy in Korea based on the epistemic perspective and utilize them as a resource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in the future.
Therefore, the researcher collected 110 domestic papers on the theatrical treatment submitted to the National Diet Library from 1994 to 2017. Since there were not enough doctoral degree dissertations in publication,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to master's degree dissertations.
Collected dissertations were classified into chronological order to identify the trend. Afterwards,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tents to analyze in the epistemic perspectiv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have been used by modifying the ones that were previously used in consultation academic journal.
Criteria of classifying the research contents include total six areas including the research for specific themes and overview, the study for characters and adaptation: case study, th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program and diagnostic tools, the study on the theoretical development, the research for the training and super vision of drama therapists, and the research about recognition and attitude of participants and the public on drama therapy and drama therapists. After classifying collected papers according to each area, they were divided into the empirical studies and phenomenological studies according to epistemic perspective to identify the trend of research based on details in each area.
Research trend of dissertations in drama therapy in Korea is as follow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in chronological order, research has been very insufficiently conducted from 1994 to 2003.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04.
Secondly, collected dissertation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tents to analyze the trend of them in the field of drama therapy according to the epistemic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based on research contents, there were 73 researches in characters and adaptation: case study (66%), 15 researches in specific themes and overview (14%), 11 researches in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program and diagnostic tools (10%), and 11 researches in theoretical development (10%). Studies about the training and super vision of drama therapists and about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participants and the public on drama therapy and drama therapists have not been studied.
Third, classified dissertations have been divided to empirical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es based on epistemic perspective of each researcher analyzing them according to detailed criteria in each area. There were total 73 empirical studies about characters and adaptation: cast study (66%). After analyzing them according to the therapy goal, types of participant problems, ages of participant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drama therapy work was analyzed. As for phenomenological studies, there were total 37 studies (33%) including 15 researches about specific themes and overview (40%), 11 studies about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program and diagnostic tools (30%), and 11 studies about the theoretical development (30%). They were analyzed by each them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in empirical studies, there were 51 studies in regard of self-reflection (41%), 15 studies dealing with the public with general characters (20.5%), 26 studies about adolescents (35.6%), and 27 studies with 6 to 10 participants (37%) that they represented the highest frequency in each type. Afterwards, work has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focus of research, environment of research, roles of researcher, and items for suggesting research results. The frequency of direct observation was the highest with 41 studies (42%) that participants had meeting for 92 minutes and 15 sessions in average. In addition, new understanding of researchers on the space and the importance of super vision and therapist ethics were confirmed.
As for phenomenological studies, the entire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in each research theme and method in each area.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hemes were from 18 studies in dealing with drama therapy factors of researchers on a particular theory of drama therapy (48.6%). In the studies in each method of skills - analysis - interpretation, there was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18 studies) with focus on the interpretation (49%).
본 연구의 목적은 인식론적 관점 중심으로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논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극치료의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국회도서관에 제출된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 논문 110편을 수집하였다. 박사 학위 논문의 경우 동향을 분석하기에 게재 현황이 미비하여,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연도별로 분류하여 현황을 살펴본 후 인식론적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 내용별로 분류하였다. 분류 기준은 상담학회에서 선행되었던 기준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분류 기준은 특정 주제 연구 및 개관 연구, 성격특성 및 적응 연구 : 사례연구, 연극치료 프로그램 및 진단 도구 개발연구, 이론 개발연구, 연극치료사 훈련과 슈퍼비전에 관한 연구, 연극치료․연극치료사에 대한 참여자 및 일반인들의 지각․태도 연구 총 6개의 유목이며 수집된 논문을 각 유목에 따라 분류한 후 인식론적 관점 중심으로 실증주의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로 나누어 각 영역의 세부 항목에 따라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논문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분류 결과 1994년에서 2003년도까지 연구가 매우 미비하였으나, 2004부터 연구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둘째,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논문 연구 동향을 인식론적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집된 논문을 연구 내용별로 분류하였다.
연구 내용별 분류 결과, 성격특성 및 적응 연구 : 사례연구 73편(66%), 특정 주제 연구 및 개관 연구 15편(14%), 연극치료 프로그램 및 진단 도구 개발연구 11편(10%), 이론 개발연구 11편(10%)이며 연극치료사 훈련과 슈퍼비전에 관한 연구, 연극치료․연극치료사에 대한 참여자 및 일반인들의 지각․태도는 연구되지 않았다.
셋째, 분류된 학위논문을 각 연구자의 인식론적 관점 중심으로 실증주의적, 현상학적 연구로 나누고 영역별 세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주의적 연구는 성격특성 및 적응 연구 : 사례연구로 총 73편(66%)이며 치료 목표별, 참여자 문제 유형별, 참여자 연령별, 참여자 수별로 분석한 뒤, 연극치료 작업을 분석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는 특정 주제 연구 및 개관 연구 15편(40%), 연극치료 프로그램 및 진단 도구 개발연구 11편(30%), 이론 개발연구 11편(30%)으로 총 37편(33%)이며 연구 주제별, 기법별로 분석하였다.
실증주의적 연구의 분석 결과 자아 성찰 51편(41%) 일반적인 특성을 가진 일반인이 15편(20.5%), 청소년 26편(35.6%), 6명에서 10명의 그룹이 27편(37%)으로 유형별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고, 이후 연구 초점, 연구 환경, 연구자 역할, 연구 결과 제시 항목으로 작업분석을 하였다. 직접 관찰의 빈도가 41편(42%)으로 가장 높았고, 평균 92분, 15회기의 만남을 가졌다. 또한, 연구자의 공간에 대한 재인식, 슈퍼비전과 치료사 윤리의 중요성에 관해 확인할 수 있었다.
현상학적 연구는 각 유목의 연구 주제별, 기법별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주제는 연극치료의 특정 이론에 대한 연구인 연극치료 요인연구 18편(48.6%)이며, 기술-분석-해석의 기법별 연구에서는 해석 중심 연구가 18편(49%)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