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이비부머 대상 연구의 성공적 노화모델 적용 경향 분석 = Applying Trends in Successful Aging Research on the Baby Boomers Generation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 대상 연구들에서 성공적 노화 모델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연구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국내 논문의 성공적 노화 개념, 영향요인, 세대 특성 반영여부, 세대 내부 다양성에 대한 내용분석이다. 2000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124편의 논문 분석결과, 지금까지 연구들에서 성공적 노화의 개념은 주로 경제문제 차원이고, 연구모형에서 거시적 사회 환경 영향요인을 거의 고려하지 않으며, 세대 특성이나 세대 내부의 다양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는 연구들도 적은 편이다. 앞으로 국내 베이비부머 대상 성공적 노화 개념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고, 개념과 영향요인을 명료하게 구분하여야 할 것이다. 경제 가치 위주의 개인 단위 영향요인보다 노화 속 삶 자체 및 거시적 사회환경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활용해야 한다. 베이비부머의 고유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신노년문화적 가치 논의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베이비부머 세대 내 연령별, 성별에 따른 다양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itically analysis the applying trend of the successful aging research on the baby boomers Generation. Research method i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his study was analyzed by concepts, factors, heterogeneity and variety of gener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124 domestic articles on the journals on the successful aging from 2000 to 2016 are as follows: most of concepts in researches are about economic problems. In a research model,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re barely considered. Heterogeneity and a few studies showed identities and varieties of gene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are presented; First, consideration about the concepts of successful aging On a broad range is required. Secondly, concepts and influence factors should be clearly identified. Third, factors related to life itself in aging and macro social environment than factors of individual unit focused on economic value should be used. In addition, new age-old cultual value should b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Inherent traits of baby boomers. Lastly, studies to discuss varieties which are caused by age and gender of the baby boomers are needs to proceed.

    더보기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경향 분석
    • Ⅴ.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 1 정석환, "한국인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행복한 노년 개념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1 : 211-252, 2011
    • 2 이지현, "한국의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질적연구 - 서울 거주 중산층을 중심으로 -" 한국마케팅학회 14 (14): 127-156, 2012
    • 3 허목화, "한국의 베이비부머 세대 담론 분석" 353-355, 2014
    • 4 백지은,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37-153, 2007
    • 5 백지은, "한국노인의 전통적 가치관에 따른 성공적 노화 인식 차이" 한국노년학회 28 (28): 227-249, 2008
    • 6 백지은,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6, 2005
    • 7 서여주, "한국 중·고령자의 은퇴유형별 분류 규칙 도출에 관한종단적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18): 125-149, 2015
    • 8 황순기,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보유 및 공적연금"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0 (10): 89-106, 2013
    • 9 나일주,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국가인적자원개발측면에서"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151-174, 2008
    • 10 임정연, "한국 베이비부머(Baby Boomer)의 직업이동 특성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23-230, 2016
    • 11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11-231, 2008
    • 12 보건복지부,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5"
    • 13 이성철, "청년층, 예비실버층 및 노년층의 세대별로 여행동기가 여행상품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0 (20): 135-154, 2013
    • 14 오세영, "중앙정부 공무원의 자화상: 세대 간 조직몰입 영향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13 (13): 31-62, 2014
    • 15 이여봉, "중년여성의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세대" 한국가족학회 24 (24): 32-71, 2012
    • 16 임소진, "중년기 성인들이 인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생태학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129-147, 2011
    • 17 문용필, "중고령자의 개인연금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89-110, 2012
    • 18 임소진, "중·장년층의 경제적, 관계적 노후준비와 생활환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20 (20): 45-64, 2015
    • 19 박창제,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75-297, 2008
    • 20 정순둘, "죽음관련 요인과 죽음준비의 관계: 예비노인과 베이비부머의 비교" 한국인구학회 37 (37): 131-153, 2014
    • 21 김상균, "주택연금제도의 운영 개선방안" 한국지역경제학회 12 (12): 233-250, 2014
    • 22 서윤규, "주택연금(Reverse mortgage)제도에 대한 사용자 만족 결정요인 분석" 금융지식연구소 13 (13): 167-188, 2015
    • 23 김동배, "제3의 인생설계: 신노년문화" 소야 2015
    • 24 김옥희, "전기 베이비부머의 노화 인식과 성공적 노화 준비에 관한 연구 - 저소득 무배우자 남성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 (20): 87-111, 2015
    • 2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2010년~2060년" 통계청 2011
    • 26 박민경, "자살생각 경험이 있는 베이비부머의 우울궤적 예측요인" 한국노년학회 34 (34): 877-896, 2014
    • 27 김지훈,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통한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네트워크의 만족도 간 교차지연효과 분석과 사회정책적 함의" 사회과학연구소 27 (27): 111-130, 2016
    • 28 한경혜, "일·가족 상호성의 관점에서 본 베이비부머의 직무경험, 부부간 긴장과 행복감" 한국인구학회 38 (38): 33-62, 2015
    • 29 홍영준, "은퇴베이비부머의 영적안녕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5) : 95-119, 2014
    • 30 편상훈, "울산광역시 베이비붐세대의 노후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2 (12): 155-184, 2011
    • 31 정순둘, "우울 영향요인 :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305-324, 2011
    • 32 김경아, "우리나라의 세대별 노후준비 수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베이비부머와 이전 및 이후세대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7-30, 2014
    • 33 조성숙, "우리나라 중년 남성과 여성의 노후에 대한 인식차이 연구 - 베이비 붐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2 (22): 705-717, 2011
    • 34 오혜인, "연령주의에 관한 생태체계적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베이비부머와 노인세대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8) : 303-330, 2015
    • 35 박창제,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139-166, 2008
    • 36 이금룡, "연령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전략적 방안모색" 한국노인복지학회 (26) : 143-164, 2004
    • 37 한경혜, "여성 베이비부머의 근로생애와 부부관계의 질: 은퇴과정과 직종에 따른 이질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5 (25): 1-38, 2013
    • 38 조성남, "에이지붐세대 : 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 39 신경아, "신자유주의시대 남성 생계부양자의식의 균열과 젠더관계의 변화" 한국여성학회 30 (30): 153-187, 2014
    • 40 장재용, "신노년층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 (28): 22-33, 2016
    • 41 주소현, "세대별 개인재무관리 관련 태도 및 행동 분석: N, X, 베이비부머, 전쟁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7 (7): 123-146, 2011
    • 42 이은희, "세대별 가계경제구조 비교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1 (11): 197-227, 2015
    • 43 백가현, "세대 간 이전이 부의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 연령·소득집단별 영향력 분석 -" 한국사회보장학회 31 (31): 93-117, 2015
    • 44 안정신, "성숙한 노화척도개발을 위한 예비문항선정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129-149, 2012
    • 45 박현식,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년세대와 신노년세대 인식 비교" 한국지역사회학회 22 (22): 217-237, 2014
    • 46 변진숙, "성공적 노후 결정 요인연구 -2차 베이비부머 여성의 사회적 관점을 중심으로" 231-247, 2015
    • 47 장휘숙, "성공적 노화에 이르는 길" 1 : 15-30, 2007
    • 48 성혜영,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한국노년학회 22 (22): 75-93, 2002
    • 49 이주일, "생산적 노화에 대한 세대간 인식차 및 생산적 노화 척도의 타당성 분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1-27, 2011
    • 50 강상경,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91-119, 2012
    • 51 김미혜, "사회참여 및 여가문화"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295-315, 2013
    • 52 서미경, "비취업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취업의사 결정요인 비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125-173, 2011
    • 53 김수영, "베이비붐세대의 재취업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67) : 107-132, 2015
    • 54 김정선, "베이비붐세대의 자녀돌봄부담감, 노화불안, 노후준비 및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440-452, 2012
    • 55 권현정,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 :문화복지 관점에서" 한국노년학회 28 (28): 535-553, 2008
    • 56 김미령, "베이비붐세대 자원봉사활동이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 수도권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5 (35): 765-783, 2015
    • 57 이웅호, "베이비붐 세대의 재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학회 13 (13): 83-95, 2015
    • 58 강현정,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활동참여 여부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429-448, 2012
    • 59 손정연,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경제적·심리적·관계적 특성이 결혼만족도 및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185-216, 2014
    • 60 최영준,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경제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16): 353-378, 2015
    • 61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53-261, 2013
    • 62 김종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사회참여 의향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655-664, 2013
    • 63 김용하, "베이비붐 세대의 규모, 노동시장 충격,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6-59, 2011
    • 64 김주현,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유형" 한국인구학회 35 (35): 57-87, 2012
    • 65 김정미,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 (16): 197-221, 2014
    • 66 여관현,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세대의 사회특성에 대응한 서울시 지역정책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6 (16): 31-55, 2014
    • 67 차성란,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미래 사회적 자본-베이비붐 세대의 집단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67-83, 2012
    • 68 방하남, "베이비붐 세대, 무엇이 특별한가?"
    • 69 강철희, "베이비붐 세대 자원봉사행동에의 영향요인 탐색연구 : 이전세대 및 이후세대와의 비교분석" 사회복지연구소 43 : 41-71, 2015
    • 70 변루나, "베이비붐 세대 은퇴 후 사회참여 지원정책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15-344, 2011
    • 71 김미령, "베이비부머의 자원봉사활동 특성 및 참여동기가 자원봉사 역할정체성 및 자원봉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79-103, 2014
    • 72 정순둘,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희망 노후생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289-316, 2013
    • 73 백은영,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357-383, 2011
    • 74 남순현,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4 (34): 183-203, 2014
    • 75 정순둘, "베이비부머의 여가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주관적 신체건강과 주관적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여가문화학회 11 (11): 75-99, 2013
    • 76 김미혜, "베이비부머의 신체적 건강 및 심리사회적 특성: 한국, 미국, 영국 고령화패널 비교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987-1005, 2014
    • 77 권금주, "베이비부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1009-1022, 2013
    • 78 강욱모, "베이비부머의 성공적 노화 주요변인 간의 인과관계 연구" 65 (65): 341-360, 2014
    • 79 유인순,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안지역 공단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45-262, 2012
    • 80 손정연, "베이비부머의 생애사건 경험이 부부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PIM)의 적용" 한국노년학회 35 (35): 491-507, 2015
    • 81 이성규,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73-86, 2014
    • 82 김지훈,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분석: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25-50, 2013
    • 83 김미혜, "베이비부머의 부부관계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예비노인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213-241, 2012
    • 84 문정화, "베이비부머의 배우자 관계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05-132, 2015
    • 85 정순둘,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67) : 61-82, 2015
    • 86 박현식,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 관계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281-302, 2012
    • 87 이승신,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여부에 관한 연구 -일반적 및 경제적 특성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44 (44): 73-95, 2013
    • 88 최동주,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와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42 : 161-185, 2014
    • 89 박근수,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가 부모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67-479, 2016
    • 90 곽인숙,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 전·후기집단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7 (17): 147-172, 2013
    • 91 박창제,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327-351, 2011
    • 92 김유진, "베이비부머의 노후 준비에 대한 이해: “8만 시간 디자인 공모전” 에세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83-293, 2014
    • 93 김미혜, "베이비부머의 노후 자원봉사 참여 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83-109, 2014
    • 94 강향미, "베이비부머의 노후 공동체의식과 사회참여 태도가 노후준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상문화학회 (74) : 355-373, 2014
    • 95 강은나,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근로지속의사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5) : 159-182, 2012
    • 96 조선주, "베이비부머의 기부특성과 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영리학회 12 (12): 33-62, 2013
    • 97 최민정, "베이비부머의 근로소득 불평등과 변화"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160-200, 2014
    • 98 최민정, "베이비부머의 계급이동"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147-179, 2014
    • 99 조혜진, "베이비부머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노후의료비 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23-143, 2012
    • 100 정순둘,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Andersen과 Newman 모델의 적용"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237-256, 2013
    • 101 정순둘,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 영향요인: 성역할인식과 부양부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181-197, 2014
    • 102 홍성희,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69-92, 2012
    • 103 곽인숙, "베이비부머세대와 노인의 성인자녀와의 동거를 결정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23-44, 2012
    • 104 최원석, "베이비부머세대 여성의 취업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299-327, 2014
    • 105 허원구, "베이비부머세대 근로자의 경제, 사회요인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미치는 영향 -민간의료보험가입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57-272, 2015
    • 106 최영준, "베이비부머를 위한 경제교육 방향 탐색" 한국경제교육학회 19 (19): 123-145, 2012
    • 107 한경혜,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의 관련 요인 탐색 :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133-162, 2012
    • 108 이문정, "베이비부머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9 (19): 85-109, 2015
    • 109 전혜연, "베이비부머 장애인의 노후준비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1 : 63-93, 2014
    • 110 김태호, "베이비부머 예비은퇴자의 관계에 중심한 성공적 노화의 의미 - 기업체 CEO를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105-136, 2014
    • 111 정숙균, "베이비부머 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네트워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78-187, 2014
    • 112 김혜경, "베이비부머 세대의 집단주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 -전기 베이비부머 여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9 (39): 31-70, 2015
    • 113 김기승, "베이비부머 세대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경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585-1593, 2012
    • 114 정영금,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활동 특성과 여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61-77, 2014
    • 115 김형민, "베이비부머 세대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89-100, 2015
    • 116 박태정,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3 (13): 29-57, 2013
    • 117 이영면,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기 임금피크제의 정책적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임금피크제에 대한 기존 국내 연구의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14 (14): 35-67, 2014
    • 118 장유미, "베이비부머 세대 삶의 웰니스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15-220, 2015
    • 119 서지원, "베이비부머 가계의 경제구조 및 경제적 만족도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41-66, 2012
    • 120 이은환, "베이비 부머의 의료이용 관련 영향요인 분석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335-354, 2015
    • 121 이병찬, "베이비 부머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여가 태도, 레저스포츠 참여의사간의 관계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2 (22): 197-211, 2013
    • 122 정은경, "베이비 부머의 고용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조절・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355-385, 2015
    • 123 정해식, "다차원적 불평등의 세대간 특성:현 노인세대, 베이비붐 세대, 이후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3) : 337-369, 2014
    • 124 신경아, "뉴시니어로서의 베이비붐세대: 은퇴 후 삶에 대한 지향과 성공적인 적응을 위한 콘텐츠 수요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5) : 113-144, 2013
    • 125 김수정, "누가 맞벌이화를 주도하는가? 맞벌이 이행에서 시기, 연령, 코호트 효과 분석" 한국여성학회 31 (31): 147-180, 2015
    • 126 최상일, "노후생활인식 및 준비도가 은퇴기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 거주민을 중심으로 -" 대한부동산학회 30 (30): 167-185, 2012
    • 127 손용진,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 이후 베이비부머들의 친밀감 요소가 부양책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4 (14): 157-186, 2012
    • 128 정경희, "노인문화의 현황과 정책적 함의: 성공적 노화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 129 이수림, "나이듦과 지혜: 성공적 노화의 통합적 개념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65-87, 2007
    • 130 이신영, "국내의 성공적 노화 연구에 관한 일 고찰" 16 (16): 117-136, 2006
    • 131 김의영, "고령화 사회의 퇴직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인적자원 프로그램 개발: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8 (28): 115-136, 2014
    • 132 신호창, "고령화 사회 대비 효과적 고용정책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대연구 : 연령대별 인식차이를 바탕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5-40, 2010
    • 133 鄭基龍, "고령사회 일본의 노인문화" 한국일어일문학회 44 : 291-313, 2003
    • 134 최기탁, "고령 문화․관광 포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381-400, 2011
    • 135 임세영, "경영자원으로서의 세대간 다양성 활성화 실행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1-27, 2014
    • 136 원서진, "경상북도 거주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은퇴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농촌사회학회 24 (24): 85-112, 2014
    • 137 전찬호, "경력중기 남성 사무직 베이비부머의 경력개발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3 (13): 21-43, 2011
    • 138 나지나, "결혼 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29-54, 2010
    • 139 장미자, "개인내적 특성과 가족 특성 및 직업만족도가 중년남성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베이비붐 세대 대기업 근무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9 (49): 1-11, 2011
    • 140 최희경, "‘신노년’ 정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41-65, 2010
    • 141 Collings, P., "``If you got everything, it's good enough'':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in a Canadian Inuit community" 16 (16): 127-155, 2001
    • 142 Bowling, A., "What is successful ageing and who should define it?" 331 (331): 1548-1551, 2005
    • 143 Brandt, M., "Tracing the origins of successful aging : The role of childhood conditions and social inequality in explaining later life health" 74 (74): 1418-1425, 2012
    • 144 Strawbridge, W. J., "Successful aging and well-being self-rated compared with Rowe and Kahn" 42 (42): 727-733, 2002
    • 145 Martinson, M., "Successful aging and its discontents : A systematic reviewof the social gerontology literature" 55 (55): 58-69, 2015
    • 146 Pruchno, R., "Successful aging : Contentious past, productive future" 5 : 1-4, 2015
    • 147 Rowe, J. W., "Successful aging 2.0:conceptual expansions for the 21st century" 70 (70): 593-596, 2015
    • 148 Moody, H. R., "Successful AgingThrough the LifeSpan: Intergenerational Issues in Health" Springer Publishing 2005
    • 149 Holstein, M. B., "Self, society, and the"new gerontology"" 43 (43): 787-796, 2003
    • 150 Dillaway, H. E., "Reconsidering successful aging : A call for renewed and expanded academic critiques and conceptualizations" 28 : 702-722, 2009
    • 151 Moody, H. R., "Productive aging: Concepts and challeng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75-196, 2001
    • 152 Fernandez-Ballesteros, R., "Positive ageing. Objective, subjective, and combined outcomes" 7 (7): 22-30, 2011
    • 153 Davey, J., "Positive ageing : A critical analysis" 2 (2): 21-27, 2006
    • 154 Cosco, T. D., "Lay perspectives of successful age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ethnography" 3 (3): e002710-, 2013
    • 155 Hank, K., "How “successful” do older Europeans age? Findings from SHARE" 66B : 230-236, 2011
    • 156 Achenbaum, W. A., "Handbook of the theories of aging" Springer 2009
    • 157 Johnson, M. L., "Handbook of Theories of Aging" Springer 2009
    • 158 Kahn, R. L., "Guest Editorial On Successful Aging and Well-Being Self-Rated Compared With Rowe and Kahn" 42 (42): 725-726, 2002
    • 159 Tornstam, L., "Gerotranscendence: A developmental theory of positiveaging" Springer PublishingCompany 2005
    • 160 Minkler, M., "Fromcivil rights to civic engagement? Concerns of two older critical gerontologists about a"new social movement"and what it portends" 22 (22): 196-204, 2008
    • 161 Depp, C. A.,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14 (14): 6-20, 2006
    • 162 Coker, N., "Conscious Aging"
    • 163 Biggs, S., "Age, gender, narratives, and masquerades" 18 (18): 45-58, 2003
    • 164 강현정, "A Study on Evaluation of Baby Boomer’s Life Redesign Educational Program"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93-499, 2014
    • 165 VanWagenen, A., ""I'm still raring to go" : successful aging among lesbian, gay, bisexual, andtrans gender older adults" 27 (27): 1-1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