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미국의 공공조달법제와 조달방식의 발전과 GAO의 감사개혁방향 = Development of Public Procurement Laws and Procurement Methods in the US and Directions for Audit Reform of GAO
저자
김성배 (국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1-85(25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blic procurement legislation of the US federal government was developed in a hurry to provide smooth war supplies while carrying out various wars such as the Korean War and In addition to formal legislative legislati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precedents have taken the form of procurement law today. In practice, the federal procurement legislation is central to more than 1600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s (FARs), which are contractually competitive with seared bidding or sealed bidding. Divided into competitive negotiations, indefinite-delivery / indefinite-quantity (IDIQ) has recently emerged as the main contracting method of federal procurement contracts. This change in public procurement reflects technological advances, market changes, and the desire to more efficiently procure goods and create better value with public funds. However, there is an implication that the US still uses the general competitive bidding method in construction project. In the competitive negotiation method, the contract manager has much discretion compared with Korea, so that even if the price is not the lowest price, the technically advanced company can be selected and the public procurement market can consider anything other than that indicated in the bidding announcement. If procurement market is transparent, well-equipped, and well-controlled by the public, Korea also can take this method. The introduction of the convenience contract termination system and the modification of the binding force of general contracts under common law are also evaluated by the introduction of public law method. Efforts to improve the procurement law system and seek improvements through audits also depend on administrative reality and the integrity and market competitiveness of the private sector, so that existing mistakes and problems are based on accurate reality diagnosis and cold self-reflection rather than a simple port of law. The improvement and goal setting should be predicated on the participation and monitoring of the people.
더보기미국 연방정부의 공공조달법제는 독립전쟁 등 각종 전쟁을 수행하면서 원활한 전쟁물자 공급을 위해 급하게 마련되어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발전되었으며 연방의회의 형식적 법률뿐만 아니라 행정입법과 판례에 의해서 오늘날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미국의 연방조달법제에서 실무적으로는 1600면이 넘는 연방조달규칙이 핵심을 이루는데, 연방조달규칙상의 계약체결방식은 일반경쟁입찰과 경쟁적 협상으로 양분되다가 최근에는 불확정이행 및 불확정수량계약이 연방조달계약의 주요계약체결방식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공공조달방식의 변화는 기술발전과 시장의 변화 그리고 보다 효율적으로 물품을 조달하고 공적 자금으로 보다 나은 가치를 창조하고자 하는 욕구가 반영된 것이다. 다만, 입찰공고를 모두 충족시키고 기술적 우위가 비교적 적으며 이미 상세한 사양이 결정된 건설공사에서는 미국도 여전히 일반경쟁입찰방식이 사용된다는 점도 시사점이 있다. 경쟁협상방식에서 계약담당자에게 우리와 비교하여 많은 재량권이 존재하여 가격은 최저가가 아니더라도 기술적으로 진보한 업체를 선정할 수 있으며 입찰공고에 적시된 사항 이외의 것도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은 공공조달시장이 투명화되고 이의절차가 잘 갖추어져 있으며 일반시민의 감시가 이루진다면 앞으로 적극적으로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는 부분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보통법의 전통으로 인하여 공법과 사법이 미분화되어 있다고 알려진 미국이지만, 공공조달법제에서는 우리보다 더 공법적 수정이 가미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의적 계약해지제도를 도입하여 보통법상의 일반적 계약의 구속력을 수정한 것들도 공법적 관점의 도입으로 평가된다. 조달법체계를 개선하고 감사를 통해서 개선점을 찾으려는 노력도 행정현실과 사경제부분의 청렴성과 시장경쟁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법제의 단순한 이식이 아니라 정확한 현실진단과 냉철한 자기반성의 기반위에서 기존의 실수와 문제점을 개선한다는 뚜렷한 목표의식하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개선과 목표설정은 국민의 참여와 감시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6 | 1.025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