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의 제 문제: 일본 에도시대 아미타구품인 도상의 형성, 확산 그리고 일반화 = Questions on the Issues of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저자
정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0-157(3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examines that the ‘Mudra-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is newly created by the Japanese in the Edo period (1615-1868). Moreover, I try to trace the previous stages of how they were formulated and spread.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a-bha Buddha’ are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 hand gestures of Amitābha Buddha, although the term, concept, shapes and figures are never mentioned in any texts including the Amitāyurdhyāna Sūtra.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as is well known, first appeared in the Butsuzō zui (Illustrated Compendium of Buddhist Images), compiled in 1690, which explicitly contains nine different Amitābha images with the respective mudrās. Those are Dhyana Mudrā, Dharmachakra Mudrā, and Welcoming Mudrā, the three most popular hand gestures of Amitābha Buddha since the Heian period (794-1185). The book respectively redefines them as Upper, Middle, and Lower Birth, and classifies them again Upper, Middle, and Lower Level according to the finger (index, middle, ring finger) that touches the thumb tip.
It is not clear by whom and why this iconography was created. However, due to the publishing background and encyclopedic character of the Butsuzō zui, it seems that it is not the author’s own creation. In addition, there are nine Amitābha statues, almost identical to those in the Butsuzō zui, in Joushinji which was built 10 years earlier. A large number of temples enshrining nine corresponding forms of Amitābha based on the theory of the nine grades of rebirth were built during the 11-12th centuries in Japan. Interestingly, contrary to the scale of the popularity, there was no distinct standard including hand gestures. The same is true of the Edo period because not only the typical type of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which we are familiar with, but also others existed. What we take for granted would be just one of the many types, thu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is very special or unusual.
Then, from when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began to be called and came to be considered special? The countless printing and distribution of the Butsuzō zui played a vital role in the creation of the term. But Japanese modern scholars who established the Buddhist iconography based on the Butsuzō zui should not be ignored. Moreover,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began to appear in late 1970s Korea. The term and concept of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spread in academia rapidly afterwards. As a result, it became the common notion that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is the most general iconography of Amitābha Buddha. Some Japanese scholars have raised questions about this iconography since the late 1960s. They argued that this was a newly created iconography without any scriptural evidence so that it should be reconsidered and reexamined. However,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is still in use in the Korean academia. It is time to revisit and reexamine the term and concept of the ‘Mudrās of the Nine Grades of Amitābha Buddha.’
이 글은 ‘아미타구품인’에 관한 오류를 바로잡고자 시작되었다. 필자는 아미타불의 대표 수인이라 여겨졌던 아미타구품인이 후대에 만들어진 도상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필자는 이를 위해 아미타구품인을 구성하는 아홉 가지 수인의 본래 의미는 무엇인지, 또 아미타구품인이라는 이름 아래 하나로 조합된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이 용어 및 개념이 언제부터 우리의 인식 속에 당연한 것으로 이해된 것인지, 그 일반화의 과정을 추적하고자 했다.
‘아미타구품인’은 아미타불상의 손 모양을 묘사할 때 흔히 사용되어 온 도상이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譯 424-442)을 포함한 어떤 경전에서도 아미타구품인의 용어, 개념, 형상 등은 확인되지 않는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아미타구품인의 전형은 일본 에도시대(江戶時代)에 편찬된 불교 도상집인 『불상도휘(佛像圖彙)』(1690)에 처음 등장한다. 이 책에는 헤이안시대 이래 일본 아미타불의 수인으로 가장 많이 선택되어 온 ‘묘관찰지인’, ‘설법인’, ‘내영인’이 각각 상생, 중생, 하생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양 엄지와 맞닿은 손가락을 검지, 중지, 약지로 바꿔가며 상품, 중품, 하품으로 이름 붙여졌다. 결과적으로 상생, 중생, 하생의 삼생과 상품, 중품, 하품의 삼품이 교차하게 되면서 총 9개의 수인(手印)인 ‘아미타구품인’이 만들어진다.
누가, 왜 이와 같은 도상을 만들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런데 『불상도휘』 서문에 실린 “이 책에서 추려 모은 것들은 ……”의 구절, 책이 갖는 백과사전적·학술서적인 성격, 그리고 『불상도휘』보다 약 10년 일찍 조성된 토쿄 죠신지(浄真寺)에 있는 구체아미타여래좌상(1664-1680년경)의 선례 등을 보면 아미타구품인은 『불상도휘』의 저자가 홀로 만들어낸 도상일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즉, 이미 잘알려져 있던 도상을 저자가 옮겨 그렸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11-12세기 일본에 서는 ‘구체아미타당’ 혹은 ‘구체아미타불’의 조성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당시의 유행 규모와 달리 9구의 불상을 구분 짓는 도상에는 일정한 기준이 없었다. 이는 에도시대에도 마찬가지였던 듯한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아미타구품인의 전형 이외에도 또 다른 유형들이 확인되며, 또한 전형으로 여기는 형식도 『불상도휘』와 죠신지 불상, 단 두 건뿐이다. 우리가 아미타구품인이라 당연시하는 것 역시 적어도 당시에는 구체아미타불 손 모양의 여러 유형 중 하나에 불과했던 것은 아닐까? 만약 필자의 견해가 맞는다면 아미타구품인은 아주 특별하거나, 혹은 이례적인 도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즉, 예로부터 관습적으로, 또 일정한 기준 없이 조성되어왔던 구체아미타상의 손 모양 중 하나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부터 이 도상을 ‘아미타구품인’이라 확신하고, 또 특별한 것으로 취급하였던 것일까? 물론 무수히 인쇄, 배포된 『불상도휘』가 주요한 역할을 했지만 이를 기준으로 불교 도상을 정립한 근대기 일본 연구자들의 역할 또한 무시할 수 없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는 다소 늦은 1970년대 후반의 연구물에서부터 아미타구품인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매우 빠른 속도로 학계에서 이 용어 및 개념이 확산되었다. 특히 당시 출판된 불교미술 개설서는 아미타구품인의 일반화·대중화를 가속화시켰으며 ‘아미타구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5 | 0.90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