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경제위기이후의 한․중 경제관계와 중국시장에 대한 접근전략 = Global Economic Crisis and Korea-China Trade: Implications for Future Strategy of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3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6(26쪽)
제공처
최근의 글로벌 경제위기는 세계경제와 무역구조에 큰 충격을 가져왔다. 본고는 이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의 한중경제관계의 변화 요인과 한국이 취해야 할 접근전략을 다루고 있다. 한중무역 구조는 한국이 중간재 또는 부품을 중국에 수출하고 중국은 이를 가공하여 최종재를 미국 등 선진국에 수출하는 형태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는데, 위기 이후에는 이러한 패턴이 지속되기 힘든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품 구조가 점차 경합구조로 바뀌고 있고 중국 자체의 자본재나 최종재의 수입이 확산되는 경향이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글로벌 임밸런스(global imbalance)의 해소에 따라 미국 소비시장의 중요성은 감소되는 반면 중국 내수지붕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건은 중국정부의 정책인데 중국의 고용 사정으로 인하여 수출을 늘려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소득의 절반을 저축하고 있는 현재의 구조에 비추어 위기 이후 내수확대 정책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민간 저축률이 매우 낮은 수준에 있는 한국으로서는 위기 이후 한국자체의 내수를 늘리려 하기보다는 중국 내수 시장을 겨냥한 전략수립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의미에서 한중FTA의 조기 추진이 필요하다.
더보기The world economy experienced a global shock after the Lehman Brothers bankruptcy in fall 2008.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mpact of global economic crisis on Korea-China trade. The typical pattern of trade before the crisis was that Korea exported parts and intermediate goods to China, and China manufactured final goods and re-exported to U.S.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We find that this pattern is likely to change after the crisis recovery. The difference in level of technology between Korea and China is being reduced, and consequently composition of export goods is changing. Due to the adjustment of global imbalance, U.S. market as final demand source will not be expanding as fast as before and China has to rely more on domestic demand. Current excessive savings of China(savings of more than half of GDP) will be reduced and domestic cunsumption will be increased. Therefore, China's market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Korea. Korea needs to target China's market, and in this regard, Korea should make efforts for a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 with China at the earliest possible tim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