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부산 지역 화자의 어간말 자음군에 대한 표준 발음 인식과 실현 양상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Realization Patterns of Standard Pronunciation for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Focusing on Speakers in the Busan Area-
저자
최현정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82(32쪽)
제공처
이 글의 목적은 부산 지역의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어간말 자음군에 대한 표준 발음 인식과 그 실현 양상을 비교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10대~40대 화자 52명이며, 조사 항목은 표준 발음법에 근거한 어간말 자음군 9개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언 어간말 자음군 ㄵ, 체언/용언 어간말 자음군 ㅄ, 체언/용언 어간말 자음군 ㄻ은 표준 발음으로 인식되는 비율이 비교적 높으며 실제 발화에서도 대체로 표준 발음으로 실현되는 안정적인 부류이다. 둘째, 표준 발음 인식과 실제 발화의 실현 양상 정도가 비교적 높은 어간말 자음군의 부류는 용언 어간말 자음군 ㄾ과 체언 어간말 자음군 ㄳ이다. 셋째, 어휘 환경에 따라 표준 발음 인식과 실현 양상이 달라지는 자음군으로는 체언 어간말 자음군 ㄽ과 ㄼ이다. 넷째, 표준 발음으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발화에서는 비표준 발음의 실현 비율이 높은 자음군으로는 용언 어간말 자음군 ㄿ과 ㄼ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준 발음 인식과 실제 발음 간에 괴리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실제 발화에서도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으로 가장 크게 혼동이 일어나고 있는 부류는 체언/용언 어간말 자음군 ㄺ이다. 체언 어간말 자음군 ㄺ은 어휘에 따라, 그리고 같은 어휘라도 뒤따르는 모음 조사에 따라 표준 발음에 대한 인식이 일관되지 않으며, 이러한 인식 차이는 실제 발음 양상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용언 어간말 자음군 ㄺ은 혼동이 발생하는 가운데 규칙성을 보이며, 표준 발음 인식과 실제 발화에서 [ㄹ]로 실현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 지역 화자들의 어간말 자음군에 대한 표준 발음 인식과 실현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표준 발음 인식과 실제 발화 간에 일정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발음 규범의 실제 적용에 있어 다양한 사회적·언어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비표준발음으로 실현 되거나 혼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일부 자음군에서는 일정한 규칙성이 관찰되었으며, 그에 따른 발음 실현의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표준 발음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구어에서 나타나는 어간말 자음군의 변이 양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기초 자료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recognition of standard pronunciation and its actual realization of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among speakers in the Busan region. The participants included 52 speakers aged from their teens to their 40s residing in Busan. Nine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based on the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Rules, were examined.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ㄵ in verb stems, and ㅄ and ㄻ in both noun and verb stems, showed relatively high rates of recognition as standard pronunciations and were stably realized as such in actual speech. Second, the clusters ㄾ in verb stems and ㄳ in noun stems demonstrate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recognition and realization. Third, the clusters ㄽ and ㄼ in noun stems showed variation in recognition and realization depending on the lexical environment. Fourth, although the clusters ㄿ and ㄼ in verb stems were recognized as standard pronunciations, they exhibited a high rate of non-standard realizations in actual speech, indicating a discrepancy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Lastly, the cluster ㄺ in both noun and verb stems was not consistently recognized as standard and showed confusion in actual speech production, influenced by the following vowel or particle. For verb stems ending with ㄺ, despite the confusion, a consistent pattern was observed with both recognition and realization tending toward [ㄹ].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recognition and realization of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among Busan speakers and confirmed the presence of a gap between standard pronunciation recognition and actual speech production. This gap reflects the influence of various social and linguistic factors on the application of pronunciation norms. Notably, even in cases where pronunciation errors or confusion occur, some consonant clusters exhibited regular patterns and tendencies in their re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standard pronunciation education and to provide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variation patterns of stem-final consonant clusters in spoken Korea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