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손상 유발견에서 자가 및 동종이계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효과 비교 = (A)comparison of autologous and allogenic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anine spinal cord injury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수의학과 수의내과학전공 , 2008.2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영어
주제어
DDC
636.089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79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71-78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ect of autologous and allogenic bone-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anine SCI.
Thirty adult Beagle dogs were divided into 3 groups of 10 dogs each as follows: 1) Control group; no MSC transplantation after SCI, 2) Autologous group; autologous MSC transplantation after SCI, 3) Allogenic group;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after SCI. Five dogs in each group were euthanized at 2 weeks after SCI, and the other 5 dogs in each group were euthanized at 5 weeks after SCI. Prelabeled MSCs were transplanted into the injured lesion at a density of 1 × 107 cells by intrathecal injection into the lumbar spinal cord 7 days after SCI.
On behavioral analysis, dogs receiving autologous and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showed improved neurological function in their pelvic limbs after SCI in comparison with those that did not receive MSC transplantation after SCI. At 5 weeks after SCI, the Olby score of dogs in control, autologous, and allogenic group were 0.2 ± 0.44, 5.4 ± 0.54, and 3.2 ± 0.83, respectively. Moreover, the valuable efficient of autologous and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were also identified in MRI results. The CSF analysis results from autologous group showed no remarkable findings. Whereas, the number of mononucleated cells in CSF was increased after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autologous and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reduced cystic cavity formation after crushing damages in spinal cord compared to control group. On immunofluorescence analysis, prelabeled autologous and allogenic MSCs were detected on the injured lesion both at 1 and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However, the distribution ratio of transplanted allogenic MSCs on injured are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The results of expression of the mRNA species encoding for neurotrophic factors indicated that SDF-1, VEGF, and TGF-β expression levels in autologous and allogenic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groups.
Although autologous MSC transplantation showed more therapeutic effect than that of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it was obvious that transplantation of allogenic bone marrow-derived MSCs improved functional recovery of the spinal cord in dogs after severe SCI. This study indicates that both autologous and allogenic MSC transplantation could be clinically useful therapeutic approaches for treating severe SCI.
이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유발견에서 자가 및 동종이계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 후 치료 효과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30 마리의 비글견들을 본 실험에 사용하였고 실험군은 3군 (대조군, 자가 줄기세포군, 동종이계 줄기세포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에 비글견 10마리를 배정하였다. 대조군은 척수 손상 후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하지 않았으며, 자가 줄기세포군과 동종이계 줄기세포군은 척수손상 후 각각 자가 및 동종이계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하였다. 각 군에서 5마리는 척수손상 2주 후 안락사를 실시했으며, 나머지 5마리는 척수손상 5주 후 안락사를 실시하였다. 척수손상 7일 후, 표지물질을 염색한 1 × 10^(7) 개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요추부에서 수막 공간 내로 주입하여 이식하였다.
행동학적 평가에서 척수손상 후 자가 및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한 경우 이식하지 않은 경우보다 후지의 신경학적 기능이 향상되었다. 척수손상 5주 후, 대조군, 자가 줄기세포군, 동종이계 줄기세포군 실험견들의 올비 스코어(the Olby score)는 각각 0.2 ± 0.44, 5.4 ± 0.54, 그리고 3.2 ± 0.83 이었다. 또한 자기공명영상 결과에서도 자가 및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의 유의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자가 줄기세포군의 뇌척수액 검사에서는 특이소견이 없었지만, 동종이계 줄기세포군에서는 이식 후 뇌척수액에서 단핵구들의 증가 소견을 보였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자가 및 동종이계 줄기세포 군에서 척수의 압착 손상 후 공동 형성 부분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면역형광항체 검사에서 표지물질을 염색한 자가 및 동종이계 줄기세포들이 이식 1주와 4주 후에서 모두 척수 손상 부위에서 관찰이 되었으나, 이식 4주 후 동종이계 줄기세포의 손상 부위 내 분포율이 크게 감소하였다. 신경작용성 인자들의 발현에 관한 검사 결과, SDF-1, VEGF, 그리고 TGF-β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자가 및 동종이계 줄기세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자가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이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보다 더 효과적이었지만,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도 심한 척수손상 후 기능적인 회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가 및 동종이계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은 심한 척수 손상을 치료하는 것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유용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