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제물품매매에 있어서 위험이전과 IncotermsⓇ 2020 = Application of IncotermsⓇ 2020 to Risk Transfer in International Goods Trad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88(5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국제물품매매에서는 물품이 장기간의 운송이나 복합적인 운송 수단에 의한 멸실·훼손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데, 이때 물품의 멸실·훼손에 대한 위험을 누가 부담하고 언제 누구에게 위험이 이전하는지와 같은 위험이전(passing of risk)의 문제는 실무상 매우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진다. 국제물품매매에서의 위험이전은 원칙적으로 각국의 국내 법제, 즉 준거법에 의해 규율되지만 당사자는 다른 거래조건이나 규칙의 적용을 개별적으로 의도할 수 있다. 이 때 실무상 가장 많이 활용되는 거래조건이 바로 국제상업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의 인코텀즈(Incoterms)이다. 현재 가장 최신판의 인코텀즈는 2020년판(이하, Incoterms 2020)으로 정형적인 거래조건에 관한 국제적 통일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Incoterms 2020에서의 위험은 대가위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기본적으로는 인도주의를 취하고 있다. 인코텀즈의 규칙은 인도주의 하에서 위험이전 시점과 직결하는 매도인의 인도의무 이행의 구체적 내용을 포함하여, 보험계약 및 운송계약체결의무 등 비용부담에 관해서도 구체적이고 명확한 해석 지침을 제공한다. 이에 본 논문은 국제 거래에서 중요한 위험이전의 문제에 관하여 현재 상거래 실무상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인코텀즈의 최신 버전인 Incoterms 2020의 내용을 상세히 검토하고 평가함으로써 거래 당사자가 거래 유형과 이익에 부합하는 거래조건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인코텀즈의 올바른 사용을 촉진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Incoterms 2020의 성격과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각 개별적인 거래 조건에 따라 이 규율하는 위험이전의 시기와 비용부담의 분기점에 관해 상세하게 검토한다. Incoterms 2020의 분류체계는 모든 운송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규칙과 해상 운송에만 적용될 수 있는 규칙으로 나누어 규율하고 있으므로 본고의 검토도 이에 따른다. 구체적인 규율 내용은 주로 매도인의 인도의무 이행완료시점, 위험이전시점, 운송계약체결의무와 운송비용지급의무, 보험료지급의무, 양하비용, 수출통관 및 수입통관책임 등을 중심으로 상세히 검토한다. 결론에서는 현행 Incoterms 2020에 대한 평가와 그 시사점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In international goods trading, there are frequent cases in which goods are lost or damaged by long-term transportation or combined transportation, but passing of risk, such as who bears the risk of loss or damage, is treated as a very important issue in practice. In principle, risk transfers in international commodity trafficking are governed by national legislation, i.e., governing laws, but the parties may individually intend to apply other terms and regulations. In this case, the most commonly used terms of business are the Incoterms of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Currently, the latest version of Incoterms is the 2020 ver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coterms 2020), which can be said to be an international unified rule on fixed terms and conditions. Although it is understood that risks in Incoterms 2020 represent consideration risks, they are basically humanitarian. Incoterms rules provide specific and clear interpretation guidelines for the burden of costs, such as insurance contracts and the obligation to conclude transportation contracts, including details of the seller's delivery obligations directly linked to the point of risk transfer. In contrast, this paper examines and evaluates the contents of Incoterms 2020, the latest version of Incoterms, which is currently the most commonly used version of Incoterms, on the issue of risk transfer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to promote the correct use of Incoterms. In this article, It is first examined the nature and structure of Incoterms 2020, and in detail the timing prior to this disciplined risk and the divergence point of cost sharing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transaction condition. The Incoterms 2020 classification system is divided into rules that apply to all transportation and rules that apply only to sea transportation, so this paper's review will follow. Specific discipline will be examin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ompletion of the seller's delivery obligation, dangerous exhibition, contract signing obligation and payment of transportation costs, insurance premiums, delivery costs, export and so on. In the conclusion, it is examined the current assessment of Incoterms 2020 and its implication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5-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Theory and Practice of Private Law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0.641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