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역사문화소재 뉴콘텐츠를 활용한 한국형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운영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K-style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Model and Using New Contents Based on Historic & Cultural Resourc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3-223(3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역사문화 소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기획 및 개발 사업에 세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별 지자체들이 권역 내 역사문화 소재를 활용한 브랜딩 및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역사문화 소재는 오랫동안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가치와 연동하면서, 일반인들이 생활문화 속에서 쉽게 친밀감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자체 입장에서도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면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소속감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차별적인 지역 문화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력적인 소재임에 틀림없다. 현재 개별 지자체들이 버링고 있는 역사문화소재 활용 문화콘텐츠 개발 사업 은 권역 내 문화자원을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서 콘텐츠로 구상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수익모델을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역사문화 소재의 경우, 특정 지자체에 독점적으로 귀속된다기 보다는 다양한 지자체가 활영할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지며, 이에 개별 지자체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이를 다루는 양상이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공공재 성격을 가지는 역사문화 소재를 특정 지자체가 독점하려는 과정 속에서, 하나의 소재를 가지고 지역 간 치열한 소유 경쟁을 벌이는 모습마저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역사문화 소재를 다루는 관점 및 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며, 현재 시점에서 지자체 간 상생발전의 의미를 재정위하고, 그 방안을 새롭게 모색해 볼 필요 또한 가지게 한다. 본 연구는 시대 가치를 담은 미디어로서 역사문화 소재가 지니는 핵심 테마와 콘텐츠를 복수의 지자체들이 공유하고, 이를 차별적으로 개별 도시마케팅에 활용하는 지자체 간 유기적인 공동체 운영모델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국내 지자체들이 역사문화 소재 핵심 테마를 공유하면서 유기적으로 연합할 수 있도록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의 개념을 독일 테마가도 및 메르헨스트라세 사례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국내 지자체 및 미디어 환경에 맞게 수용하면서 역사문화 소재 뉴콘텐츠를 활용한 한국형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운영모델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기로 하겠다.
더보기As public interest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planning and developing projects using local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s growing,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branding and marketing us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ir regions.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 material that ordinary people can easily relate to in life and culture while linking with the values that dominate our daily lif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for local governments, it is undoubtedly an attractive material in that it can solidify their identity and elicit the sense of beloning of community members. The cultural content developing project us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is to shape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into contents as a tool for revitalizing cultural tourism, thereby creating a business model that can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However, in the case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based on historical facts, it is possible that various local governments can utilize it rather than being exclusively attributed to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it is true that the handling of them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a specific local government trying to monopoliz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good, fierce competition for ownership of one material is even seen between region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dealing with the exist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redefine the meaning of mutually beneficial development.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n organic community operation model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local governments share the core themes and content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s media containing the values of the times, and use them for individual city marketing differently. The concept of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model was derived from the German case so that local governments could organically unite while sharing the core theme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t could show operating model of K-style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0.9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 | 1.289 | 0.4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