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전쟁기 군경에 의한 민간인 학살의 지역별 현황과 양상- 1기 진실화해위원회 조사 보고서를 중심으로 - = The Status and Patterns of Civilian Massacres by the Military and Police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the First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s Investigation Repor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ivilian massacres by region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first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ublic of Korea, which operated from 2005 to 2010.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massacres involved individuals suspected of collaborating with North Korean forces.
Civilian casualties also occurred due to counterinsurgency operations and other types of killings by military and police forces. Gangwon Province: Over half of the massacres occurred during military and police counterinsurgency operations, followed by killings of suspected collaborators. Chungcheongnam-do (South Chungcheong Province): More than 70% of massacres involved suspected collaborators. Incidents involving members of the National Guidance League and prison inmates were also notable, particularly in the Taean and Daejeon areas. Chungcheongbuk-do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e majority of massacres targeted members of the National Guidance League, with particularly severe casualties in Cheongwon.
Chungcheongbuk-do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e majority of massacres targeted members of the National Guidance League, with particularly severe casualties in Cheongwon. Gyeongsangbuk-do (North Gyeongsang Province): Over 60% of massacres involved members of the National Guidance League. Civilian massacres prior to the war and killings of suspected collaborators were also documented. Gyeongsangnam-do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largest number of casualties were caused by massacres of National Guidance League members. In Busan, Masan, and Jinju, there were also significant massacres of prison inmates. Pre-war civilian massacres were confirmed in the western parts of the region.
Jeollabuk-do (North Jeolla Province): Most civilian massacres occurred during counterinsurgency operations by military and police forces, with concentrated incidents in the southern areas, such as Gochang, Sunchang, Imsil, and Namwon. Jeollanam-do (South Jeolla Province): This region experienced the highest number of civilian casualties nationwide. Pre-war massacres were significant, and during the war, counterinsurgency operations resulted in numerous massacres. The eastern part of Jeollanam-do suffered greatly from pre-war massacres, while the western region experienced heavy casualties due to military and police operations and other incidents.
Seoul, Gyeonggi, Gangwon,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s: These areas recorded high numbers of massacres targeting suspected collaborators.
Early in the war, these regions were occupied by North Korean forces, resulting in relatively fewer massacres of National Guidance League members and preemptively detained individuals. Following the recapture of Seoul on September 28, 1950, military and police forces quickly regained control, enabling systematic massacres of suspected collaborators.
Chungbuk, Gyeongbuk, Gyeongnam, and Jeju: These regions saw significant massacres of National Guidance League members and preemptively detained individuals. Chungbuk, with its strong right-wing sentiment, experienced severe casualties among National Guidance League members. In Gyeongbuk, eastern Gyeongnam, and Jeju, where North Korean forces occupied the areas late or not at all, the timeframe for targeting these individuals was relatively longer. Meanwhile, Jeju Island is notable for pre-war incidents related to the Jeju4·3 Uprising.
Western Gyeongnam, Jeonbuk, and Jeonnam: Civilian casualties in these regions were largely the result of military and police counterinsurgency operations and other incidents. Following the recapture of Seoul, North Korean forces and leftist groups who failed to retreat continued their activities in mountainous areas and sought escape routes via the western coastline. This led to frequent counterinsurgency operations, causing significant civilian casualties.
이 연구의 목적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활동했던 1기 진실화해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민간인 학살사건의 유형과 성격을 검토하는 것이다. 진실화해위원회의 활동이 전수조사가 아닌 신청 사건을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관련 연구 및 조사 결과등도 참고하였다.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의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경기지역에서는 부역혐의자 학살이 전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며, 군경의 토벌작전 및 기타 학살 사건으로 인한 피해도 확인된다. 강원지역에서는 군경 토벌작전 중 학살사건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부역혐의자 학살이 그 뒤를 잇는다. 충남지역에서는 부역혐의자 학살사건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국민보도연맹원 학살과 형무소 재소자 학살사건도 태안과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충북지역에서는 국민보도연맹원 학살이 민간인 학살사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특히 청원에서 피해가 컸다. 경북지역은 국민보도연맹원 학살이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전쟁 전 민간인 학살과 부역혐의자 학살 피해도 확인된다. 경남지역에서는 국민보도연맹원 학살이 가장 큰 피해를 주었고 부산·마산·진주에서는 형무소재소자 학살도 적지 않았다. 경남 서부지역은 전쟁 전 민간인 학살 피해가 확인된다. 전북 지역은 군경의 토벌작전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고창, 순창, 임실, 남원 등 전북 남부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피학살자가 발생한 전남지역은 전쟁 전부터 피해가 컸으며 전쟁 중에는 군경의 토벌작전으로 인한 학살사건이 두드러지게 발생하였다. 전남 동부지역은 전쟁 전 피해가 컸고, 전남 서부지역은 군경 토벌 작전 및 기타 사건으로 인한 학살사건이 많이 발생했다.
서울·경기, 강원, 충남지역은 부역혐의자 학살사건 수치가 높게 확인된다. 이 지역들은 전쟁 발발 초기 북한군에게 점령되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 학살 사건이 상대적으로 적고, 9.28 서울 수복 이후 군경이 비교적 빠르게 장악했기 때문에 부역혐의자 학살사건이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충북, 경북, 경남, 제주 지역은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 학살사건이 많이 발생한 지역이다. 충북지역은 우익성향이 강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들의 피해가 컸고, 경북, 경남 동부지역, 제주지역은 북한군 점령이 늦거나 점령되지 않았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들을 학살할 수 있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었다. 경남 서부지역, 전북, 전남지역은 군경의 토벌작전 및 기타 사건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 이 지역들에서는 9.28 서울수복 이후 후퇴하지 못한 북한군 및 좌익세력들이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활동을 이어갔고, 서해안을 통해 퇴로를 확보하고자 했기 때문에 군경의토벌작전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민간인들이 학살 피해를 당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