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대순진리의 해원(解冤)사상에 대한 해체(解體)론적 이해 :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론을 중심으로 = A Deconstructiv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aewon in Daesoon Truth: From the Perspective of Derrida’s Deconstruction The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291.1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97(2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Déconstruction’ is a system of thought that induces the emergent property that characterizes contemporary philosophy. The tradition of ancient Greek philosophy evolved over and over again, giving rise to the Renaissance and Enlightenment. It seemed to have reached its end under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modernity. However, contemporary philosophy wanted to see more possibilities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modern philosophy.
If modern philosophy dreams of a strange cohabitation between God and man with the humanistic completion of Plato’s philosophy, modern philosophy rejects even that through deconstruction. Although Plato’s classical metaphysics is a stable system centered around the absolute, it is ultimately based on God and religion. Under that system, human autonomy is only the autonomy bestowed by God.
Contemporary philosophy is one of the results of efforts that try to begin philosophy from the original human voice through deconstruction. Instead of epistemology dependent on metaphysics, they wanted to establish epistemology from human existence and realize the best good that would set humans free through deconstruction. As such, it is no mistake to say that deconstruction is also an extension of the modern topic of human freedom. Deconstruction and human freedom act as one body in that the two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ddly enough, Daesoon Thought, which seems to have religious faith and traditional conservatism as main characteristics, has an emergent property that encompasses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period of Korea, when Kang Jeungsan was active and founded Daesoon Thought,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ose who have a keen view of history. Such individuals likely think that they have found a valuable treasure. This is because that period was a time when ideological activities were conducted due to an intense desire to discover the meaning of human freedom and envision a new world without copying the ways of the West. Instead they looked to face internal problems and raise people’s awareness through subjectivity.
In other words, the subtle ideas created by Korea’s self- sustaining liberalism often take the form of what is commonly called new religions in modern times. Among these new religions, Daesoon Thought, as a Chamdonghak (true Eastern Learning), aims to spread a particular modern value beyond modern times through the concept of Haew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that was proclaimed by Jeungsan.
The Haewon espoused in Daesoon Thought is in line with the disbandment of modern philosophy in that it contains modernity beyond modern times. First, Haewon means to resolve the fundamental resentment of human existence, which arose from Danju’s grievance. Secondly, Haewon in Daesoon Thought encompasses the Haewon of th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centers on a Haewon-esque style of existence called Injon (Human Nobility).
Haewon in Daesoon Thought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Derrida’s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Modern deconstruction attempts to expose the invisible structures and bonds within human society and attempt to destroy them. In a similar way, Haewon endeavors to resolve the conflicts among the Three Realms by releasing the bonds of fundamental oppression that hinder th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해체(解體, déconstruction)’는 현대철학을 특징짓는 속성의 하나인 창발성(創發性, emergent property)을 유도하는 개념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의 전통이 탈피를 거듭하여 개체의 자유와 평등에 대한 열망을 낳고 이로부터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에 이르러 근대라는 역사적 방점 하에 철학의 종지부를 찍는 듯했다. 하지만 철학은 근대마저도 그러한 해체를 통해 그 이상의 가능성을 바라보고자 했다.
근대철학이 플라톤 철학의 인문적 완성으로 신과 인간의 묘한 동거를 꿈꾼다면 현대철학은 해체를 통해 그마저도 거부한다. 플라톤류의 고전적 형이상학은 절대자를 중심으로 순치된 안정된 체계이기는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신과 종교를 토대로 할 수밖에 없고 인간의 자율성 또한 신 아래의 자율성일 뿐이다.
현대철학은 해체를 통해 인간 본연의 목소리로부터 철학을 시작하고자 한 노력의 결과 가운데 하나이다. 형이상학에 종속된 인식론이 아닌 인간 실존으로부터의 인식론을 구축하고 자유라는 말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선을 해체를 통해 실현하고자 했다. 그렇듯 해체 또한 인간의 자유라는 근대적 화두의 연장선에 있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해체와 인간의 자유는 결국 서로 떼어낼 수 없는 하나의 몸인 것이다.
묘하게도 종교적 신앙성과 전통적 보수성을 주된 색채로 할 것만 같은 대순사상은 현대적 창발성을 가지고 있다. 대순사상을 창시한 증산이 활동하던 한국의 시기는 역사를 해석하는 예리한 시각이 있는 이들에게는 보물과 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외세에 의한 답습이 아닌 주체적 문제의식 가운데 새로운 세상과 인간의 자유의 의미를 발견하려는 강렬한 염원에 의한 사상적 활동이 펼쳐진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한국의 자생적 창발성이 낳은 비권력적 사상이 바로 흔히 말하는 한국 근대의 신종교인 셈이다. 그 가운데서 대순사상은 참동학으로서 증산의 명맥을 잇고 증산이 남긴 해원의 개념 속에서 근대를 넘은 현대의 가치를 현실 가운데 펼치고자 한다.
대순사상의 해원은 근대를 넘은 현대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철학의 해체와 상통한다. 해원은 첫째로 단주로부터 발현된 인간 실존의 원초적 억압에 따른 근본 원(冤)의 해소를 의미한다. 두 번째로 대순사상의 해원은 인존이라는 해원적 실존을 중심으로 천지인 삼계의 해원을 아우른다.
데리다의 해체가 인간과 사회 내부에 잠재된 보이지 않는 구조와 속박의 틀을 드러내고 그것을 파기하는 것으로부터 억압을 풀고 인간의 근본 자유를 실현하고자 한 것은 대순사상의 해원이 천지인 삼계를 휘감고 있던 근본 억압을 풀어 삼계의 대립을 상생으로 개방하고자 한 점과 동일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겠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3-07-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진학술원 -> 대순사상학술원영문명 : Institute of Daesoonjinri of Daejin University ->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2009-06-1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순사상학술원 -> 대진학술원영문명 : Daesoon Religious Academy -> Institute of Daesoonjinri of Daejin University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