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과 독일법상 물적분할시 소수주주보호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A Comparative Legal Study on the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in Corporate Physical Divisions under Korean and German Law
저자
이제인 (아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16(3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최근 한국 기업들이 물적분할 후 자회사 상장을 활발하게 추진하면서, 모회사 주주의 지분 가치 희석과 주주 보호의 미흡함이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들은 경영 효율성 제고와 자본 조달의 유연성을 이유로 물적분할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그 과정에서 소수주주의 의결권이 배제되고 모회사 주주가 자회사 상장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보장받지 못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는 주식시장과 기업 지배구조의 신뢰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독일의 회사분할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물적분할 과정에서 소수주주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법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연구를 위해 한국 상법·자본시장법의 관련 조항 및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을 검토하고, 독일의 조직재편법 및 주식법과 비교하여 양국 제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독일과 한국이 소수주주 보호를 위해 마련한 법적 장치를 비교 분석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독일의 회사분할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물적분할 과정에서 소수주주 보호를 강화할 수 있는 법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연구를 위해 한국 상법·자본시장법의 관련 조항 및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을 검토하고, 독일의 조직재편법을 중심으로 한국의 법제도와 비교하여 양국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특히, 독일의 경우 엄격한 주주총회 승인 요건과 분할검사제도 등 소수주주 보호를 위한 법적 장치를 보다 체계적으로 마련하고 있어, 이를 한국의 제도와 비교·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독일은 분할 시 주주 권리 보호를 위해 강력한 의결권 보장, 공정한 기업 가치 평가를 위한 검사인제도의 운영, 주주보상제도의 확대 등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이 한국의 제도와 차별화되는 핵심 요소로 분석되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물적분할제도가 경영전략으로 비교적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으나, 소수주주의 이익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법제 개선 방향으로 물적분할 시 주주총회 결의요건 강화 ,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검사절차 도입과 운영, 소수주주에 대한 보상 및 주식매수청구권 개선, 자회사 상장 시 상장제한 규정의 구체적 입법화, 정보 공개의무 강화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소수주주 보호와 기업 경영의 유연성 간 균형을 도모하고자 하며, 본 연구가 향후 한국의 회사분할제도 개편과 입법 논의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South Korean companies have actively pursued the listing of their subsidiaries following corporate divisions, raising significant concerns regarding the dilution of parent company shareholders’ equity value and inadequate shareholder protection. While companies utilize corporate divisions to enhance managerial efficiency and increase flexibility in capital financing, minority shareholders are often deprived of voting rights in the division process. Additionally, parent company shareholders frequently fail to receive direct economic benefits from the subsidiary’s listing. These structural issues undermine trust in the stock market and corporate governance, necessitating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rporate division systems of South Korea and Germany to explore legal alternatives for strengthening minority shareholder protection in the corporate division proces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relevant provisions in the Korean Commercial Act and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along with guidelines issued by financial authorities. Furthermore, it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German corporate restructuring laws and stock corporation laws, focusing on the legal mechanisms designed to 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in both countries.
The findings reveal that Germany enforces stringent shareholder approval requirements for corporate divisions and implements an independent examination system to ensure fair corporate valuation. Additionally, it has legally established extensive shareholder compensation mechanisms, distinguishing it from the Korean framework. In contrast, South Korea’s corporate division system allows for swift execution as a management strategy but fails to adequately safeguard minority shareholder interes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legislative improvements for South Korea’s legal framework: strengthening shareholder approval requirements in corporate divisions, introducing and institutionalizing an independent examination proces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disclosed information, improving minority shareholder compensation and appraisal rights, establishing concrete legislative restrictions on subsidiary listings, and reinforcing disclosure obligations.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reform and legislative advancement of South Korea’s corporate division system by balancing minority shareholder protection with corporate management flexibil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