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Business Method)특허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Business Method Pate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35(7쪽)
제공처
4차산업혁명은 정보통신 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로의 이행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빅데이터를 이용한 산업, 인공지능 및 로봇 분야 산업 그리고 무인 운송 장치 및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하는 것을 근간으로 하는 기술적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새롭게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모바일 및 인터넷 인프라 기반 하의 비즈니스 모델 등은 바로 4차 산업혁명의 외연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기업은 그 어느시대 보다도 4차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기업환경 변화 속에서 적응하고 발전시켜나가야 할 상황이다.
특히 BM(Business Method)기술 특허분야는 휴대폰 등 개인이 사용하는 단말기의 사양이 고급화되고, 초고속 데이터통신 기술과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산업의 급성장 속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 세계 각국의 특허청은 발명의 대상을 BM분야까지 확대 적용하고 있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BM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전자상거래 등의 산업부문은 그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각국 특허청의 특허심사기준 및 판례 동향도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BM특허기술에 대한 심사 기준 및 소송 등에도 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M발명에 대한 국내 및 미국의 정책 및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4차산업혁명시대의 BM특허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aid to mean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communication era achieved by the convergence of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technological features are based on the use of big data industri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industries, unmanned transportation devic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Today's businesses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adapt and develop more than ever in the midst of a huge change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the patent field of BM (business method) technology is developing at a very fast pace amid the rapid growth of non-face-to-face industries such as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commerce. Due to this phenomenon, patent offices around the world are expanding the scope of inventions to BM, and the proportion of industrial sectors such as online e-commerce based on BM patent technology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patent examination standards and case trends of each country's patent offices are also reflecting this phenomenon, and major changes are being made in the screening criteria and lawsuits for BM patent technology. In this paper, we look at domestic and American policies and examples of BM invention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M patent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