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으로 본 주요 5개국의 알로에 활용 기술 분석활용 기술 분석 = Analysis of aloe utilization technology in 5 major countries based on the status of patent applications and registrations
저자
김범용 (국립 제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70(14쪽)
제공처
알로에는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열대성 작물에 속한다. 알로에를 활용한 화장품, 식품 등에는 베라(vera) 종과 아보레센스(arborescens) 종이 대부분 이용되고 있으나 이 종들과 함께 연구는 페록스(ferox) 종, 아프리카나(africana) 종, 페리(perryi) 종, 사포나리아(saponaria) 종 등 알로에 일부 종을 중심으로 연구가 집중되어져 왔으며, 알로에 종의 분류, 유연관계 및 종 다양성 등에 대한 기초적이며 학술적인 접근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고, 산업적으로 주로 약용, 건강식품 및 화장품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중국과 일본 특허청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 관련 통계를 조사하였고, 한국 ㈜윕스 Wintelips (www.wintelips.com)를 활용하여 미중일과 유럽 그리고 한국 등 5개국 전체를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발명의 명칭에 ’알로에’ 또는 ’aloe’ 라고 입력하여 그 결과를 분석 정리하였다.
특허출원 추세를 보면 2005년에 꺾였다가 점차 회복하였으나 2015년에 최고점을 찍고 나서 다시 감소하다가 최근 다시 또 부활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세계 전체 특허출원 물량 비중을 보면 중국 75%, 한국 10%, 미국 7%, 일본 6%, EP 3% 순으로 차지하였다. 여러 국가에 중복해서 출원하여 특허 패밀리(family)를 이루는 다국적 특허는 전체 세계 알로에 특허 물량 중에서 15%로서 380건이었다.
우리나라 업체들이 세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김정문알로에 2위, ㈜유니베라 7위, ㈜아모레퍼시픽 11위로, 모두 2000년 이전부터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특허출원을 이어오고 있으나, 특정 기술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어서 다각화가 필요해 보인다.
Aloe is native to Africa and belongs to a tropical flora. So far research has focused on vera, arborescens, ferox, africana, perryi, saponaria, which are species of aloe. Detailed species’ classification, polymorphic DNA and species diversity have been disregarded as of research topics. Major utilization fields of aloe are curative medicines, health care foods and cosmetics.
The related stat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e Chinese and Japanese Patent Offices. Using Wintelips (www.wintelips.com) in Korea we searched all five countries including the US, China, Japan, Europe, and Korea.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by entering『알로에 or aloe』in the name of the invention.
Looking at the trend of patent applications, it declined in 2005 and then gradually recovered, but after reaching the highest point in 2015, it declined again, and recently revived again. When looking at the proportion of global patent applications, China 75%, Korea 10%, US 7%, Japan 6%, and EP 3%. Multinational patents, which form a patent family by applying multiple applications in several countries, accounted for 15% of the total world aloe patent volume, accounting for 380.
Looking at the share of Korean companies in the whole world, KIM JUNG MOON ALOE CO LTD is second, UNIVERA INC & etc is 7th, and AMOREPACIFIC CO LTD is 11th in the world. However, it seems that diversification i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 tendency to be biased toward specific technolog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