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 별」(斜, 崖)형 지명에 대하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8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01-217(17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山野 혹은 취락지의 형세가 바르지 않게 비스듬히 누웠거나 고개나 계곡이 매우 가파르게 급경사진 지형을 일러 흔히 「빗-」형의 지명을 붙였다. 斜․橫의 뜻을 지닌 이 어사는 현대어에서는 접두사로 쓰이지만 우리말이 본래 개음절어였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그 기원형은 「비사」일 것이다. 고지명에서 발견되는, 현 전주나 창령의 比斯(比自)를 비롯하여 比史, 卑沙, 卑奢, 毗瑟 등이 이 어형의 차음표기이며, 반면 比火, 非火, 雨坪 등은 말 모음 탈락형을 보여주는 지명례이다.
중세어에 보이는 「빗ㄱ」을 비롯한 비탈 및 벼로(벼루․벼리)>「별ㅎ」의 벼랑을 뜻하는 어사도 모두 이 비사>빗의 파생어라 생각된다. 현지명에도 쓰이고 있는 「빗가(거)리」가 바로 고지명의 比只, 八居里의 계승이며, 非達은 「비탈」의 기원형을 보이는 고지명 표기라 생각된다.
한편 比列․卑列은 「별ㅎ」형 어사의 차음표기이다. 星과 대응된 碧珍이나 平珍도 「별」형을 표기한 것으로, 平珍峴縣>偏嶮縣(지리 2)에서 이 어형이 벼랑(崖)을 뜻함을 알 수 있다. 碧珍이나 平珍이 「별」을 적기 위한 反切式 표기라면 ‘別’(別史-, -別)은 직접적인 차음표기이다. 이 「별」형 지명은 후대에 이르러 遷을 비롯한 硯, 崖 등 다양한 차훈자로 옮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빗-, 별」형 어사는 그 대응표기에서 斜․橫․崖․遷 등의 본래의 뜻을 드러내는 차훈자는 쓰이지 않았다. 이는 앞서도 말한 바처럼 이 어사가 “바르지 않게, 어긋나게, 잘못되어”라는 부정적 의미로 쓰이게 됨에 따라 지명 개칭시 이왕이면 좋은 이름을 택하고자 하는 심리가 은연 중에 작용했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지금까지 고지명의 해독에서 갖가지 추측을 불러 일으킨 것도 이런 연유에서 비롯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이를테면 比斯伐을 빛고을(光村)로, 雨平縣을 웃벌(上村)로, 碧骨을 볏골(禾村) 정도로 해석한 것이 그런 예들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빛」계 어사는 예나 지금이나 인명표기에서는 자주 쓰였으나 지명표기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雨를 高(雨平:高澤)와의 대응에서 차음으로 읽거나 碧(臂)骨을 볏골로 읽은 것은 金堤가 곡창지대라는 현실을 감안한 단순한 추정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빗-」이나 「별」형 어사가 고지명 표기례는 물론 현지명에서도 많은 분포를 보이는 만큼 이 어사도 우리 지명어의 어휘목록에 당당히 자리해야 마땅하리라 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7 | 0.603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