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진왜란기 경상좌도 지역 청도군수의 임용실태와 전쟁대응 = Cheongdo Governor's the Appointment Situations and Task in War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1-198(28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race real condition of bureaucracy in Joseon Dynas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y analyzing appointment situations, war task, and the process of local governor selection and detailed task of the local governor in Cheongdo. Through this research, how Joseon Dynasty’s state management was carried out during 7 year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Until today, circumstances of the war in locals were researched primarily through analyzing local battle between Joseon army and Japanese army, and civilian army activity. The contribution that civilian army achieved was more than enough to cover the shame of those who ran away from front-line including the king, local governors.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government army and civilian army was not clear in premodern era. According to the daily records, Cheongdo civilian army called themselves as government army and came under Cheongdo governor, which shows that civilian army and government army was not a dichotomy.
Meanwhile, local governors who are classified as fled included those who left their governing area and joined their superiors or died in battle. According to the record of a deceased Bea Yeung-Keang's life, who was Cheongdog governor at the time of the outbreak of the war, he has left his governing area due to his duty of chasing deserters. Later, the Office of Border Defense classified Bea Yeung-Keang as granted amnesty while they were handling local governors who fled. Unlike the Office of Border Defense in the premodern era which had several cases for local governors who left their governing area, today’s researchers only have one case; “ran away to keep their lives.” There were 5 Cheongdo governors during the time of war who were selected without any administration gap. Average incumbency during the war was 1.5 years long, which is not quite different from normal incumbency of 2 years. Out of Cheongdo governor during the war, three of them were from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and others form a civil servant but with a talent commander.
Tasks that were carried out by Cheongdo governor varied from the war situation of the area. The tasks can be divided into supporting a civilian army and Ming army and building mountain fortresses. Building mountain fortresses were not limited to Cheongdo O-Rea mountain fortress, but supporting Changnyeong building Huea-Yang mountain fortress which was adjacent to Cheongdo. The citizens of Cheongdo had to work on building Huea-Yang mountain fortress and its defense after completion of it.
The general war situation and situations that each region’s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were facing was different.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s is the reason for the need of case studies, and accumulation of data about the difference to understand the life of citizens who underwent the war is expected.
이 논문은 임진왜란기 수령의 활동상황을 추적하고자 청도군수의 재임상황과 전쟁업무를 살핀 것이다. 전란 초기 수령이 임지에 있었는지부터 확인해야 할 만큼 전란기 수령의 부재와 도망은 이 시기를 특징짓는 부정적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최근 연구를 통한 임란기 수령과 관군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수령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필 필요와 호응하고 있다.
이에 청도군수가 국가 전란 시기 어떤 기준으로 선발되었으며,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를 살폈다. 관료제로 운영되고 행정체계가 작동하였던 조선시대에 7년간 겪은 전란의 혼란기에 정부의 통치력은 어느 정도 작동하였는지를 고찰할 수 있는 일단이 되고자 하였다.
한편 도망으로 분류된 수령 중에는 전란 중 비록 순찰사나 조방장의 진에 합류하여 임지를 이탈한 경우나 전투 중 사망으로 연락이 두절된 경우도 포함되어 있었다. 임란 발발 당시 청도군수였던 배응경도 그의 행장에 따르면 포망장으로 임지를 떠났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 비변사에서 도망친 수령에 대해 처리할 때 배응경은 사면대상자로 분류되었다. 이처럼 당대에는 도망한 수령을 여러 경우로 분류한 반면, 오늘날에는 도망친 수령이란 개인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한 한 가지 경우로 일괄되고 있는 점은 재고가 필요해 보인다.
전란기에 재임한 청도군수는 5명으로, 전란 중에도 행정적 공백 없이 선발되었으며 평균 재임기간은 1.5년으로 평상시 재임기간인 2년과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이 당시 선발된 수령 5명 중 3명은 무과 출신이고 1명은 장수의 재능이 있는 문신으로 평가되어 차출되었다는 점이 주목되는 특징이다.
청도군수가 전란기 수행한 업무는 이 지역의 전쟁 상황에 따라 변화하였다. 전란시 청도군수의 역할은 의병지원, 명군지원, 산성축성 등으로 나뉜다. 특히 산성축성은 청도 오례산성뿐만 아니라 인접 고을인 창녕의 화왕산성에 대한 축성 지원 활동이 계속되었다. 청도 백성들은 화왕산성의 축성 지원뿐만 아니라 수비도 함께 분담해야 하였다.
임진왜란의 대체적 추세와 각 고을 수령과 백성들이 처한 구체적 상황은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지역별 상이함은 여전히 사례연구가 요구되는 까닭이며, 전란을 겪은 백성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바탕으로 지속적인 축적을 고대하는 이유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8 | 0.553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