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인 문학에 나타난 '예술'의 의미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 2014.8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한국어
DDC
811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서울
기타서명
The meaning of 'Art' found in Kim Dong-in's literature
형태사항
vii, 89 L.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시한
참고문헌: p. 78-85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Kim Dong-in’s written criticism and novels associatively with the mediation of ‘art’ and also consider the status and value of them and interpret his works from a new perspective. Kim Dong-in’s art theory takes romanticism at the point that it pursues ideal art alienated from realty; therefore; in his words, too, art contrasts with reality. Kim Dong-in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process that Korean modern literature was being positioned as art as he unveiled and emphasized his art theory. However, he rather neglected profound inquiries about how art can contribute to reality and how artists should see and embody reality. This, in fact, implies a lot when we try to examine not only Kim Dong-in’s literature but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First of all, this study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literary history from the late 1910’s till the early 1920’s when Kim Dong-in advocated his art theory. Seen from the context of the time, among the intellects leading new literature then, art was recognized as a modern product that could realize an individual’s liberal pursuit of value freed from feudalism that had to correspond to collective valu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im Dong-in’s art theory found in his written criticism from this context of the time were considered with the categories of originality, doll manipulation, and autonomy. First of all, ‘originality’ in art is what emphasizes ‘individuals’ as independent subjects equipped with creative sources, and it was seen as the exhibition of ‘personality’ freed from existing norms or authority. Next, doll manipulation maximizes originality mentioned above and also elevates the level of artists as creative subjects to the status of ‘God’, and here, the key point is that artists should be able to rule the world that they have created just like manipulating a doll. The last characteristic of art theory is autonomy, and it is divided into a work’s autonomy and an artist’s autonomy. He shows his position that regarding an art work’s autonomy, a work should be discussed or evaluated separately from the author’s personal characteristics or the context of the time. And an author’s autonomy emphasizes his position that an author should never follow the public’s interest like popular novels published serially on newspapers and literature (art) must not be used as a tool for political propaganda or social revolution.
The meaning of Kim Dong-in’s art theo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 recognized the value of modern novels as art and suggested creative methodology to enhance the artistry of novels as a pioneer and also emphasized the expertise of artists based on that. Second, he escaped from the literary climate of the time leaning too much on the public interest of art just like Lee Gwang-su’s literature and emphasized individuals with a modern sense and autonomy in art.
At the point that Kim Dong-in’s art theory emphasizes the originality and authority of an artist, the subject creating art, it takes modernity, that is, the recognition of personality. As it absolutizes art too excessively and sets up a direction contrastive against reality, however, it fails in seeking harmon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reality. In other words, it only puts emphasis on the value of literature as art when expressing and reflecting on human life and mind, so it fails in exploring the essence of literature equipped with value profoundly. This, in fact, reveals his immaturity of being obsessed about only an aspect of art in the condition that he could not understand or embody deeply the concept of modern art that he had accepted as a colonized intellect. As a result, Kim Dong-in’s such view about art and reality is shown in the process of making art theory into novels as well.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Kim Dong-in’s art theory are closely associated with his novels. They are distinctively found in 「Gwangyeom Sonata」 and 「Gwanghwasa」. Although the description method and the narrative structure in the form of a frame exposing the process of art creation are recognized as the result of his experiment, despite such trial of his, the plot of the event in the frame is quite poor and lacks necessity. This is because he depicts an artist’s life pursuing ideal beauty too excessively and employs setting that is so much distant from reality. Besides, the description method to deliver the artist’s life is rather authoritative about the readers, and the contents to be delivered lack plausibility and are so contrastive with reality that readers can hardly emphasize with it. For example, the plot of 「Gwangyeom Sonata」 is that Back Seong-su who is a person with eccentricity can complete art finally through a criminal art. And the storyline of 「Gwanghwasa」 is that Sol-geo spoils the completion of art for the physical relationship in reality. Like this, art exists only as an aspect in discord with reality.
Such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art is also found in 「Baeddaragi」 that was written before them. 「Baeddaragi」 taking ‘Baeddaragi’ as its theme sublimates the reality of hardship and sadness resulted from a person’s excessive passion into a beautiful song (art) that contains desire that can never be satisfied. As the ‘beauty’ of ‘Baeddaragi’ that arises there is overlapped with ‘Qinshihuangdi’s Utopia’ found from the depiction of a foreign film, it represents the old happy days that have never existed in reality and deepens tragedy with the contrast of it with the present life.
「Kimyeonsiljeon」 shows ‘art’ that is important in the reality of the time but functions negatively through a person that is ignorant of it. This work properly depicts that art is something crucial in actualizing modernity but the modern girl appearing in it dramatizes the climate of the time
pursing only the illusion of art in reality.
To sum up, as in Kim Dong-in’s art theory, ‘art’ always exists in a way contrastive against reality or distant from it, in his novels about ‘art’, always the characters behave in discord with reality while pursuing art. That is why Kim Dong-in’s novels like 「Gwangyeom Sonata」 or 「Gwanghwasa」 employing ‘art’ as its theme genuinely lack reality and seem unfamiliar. From this context, 「Kimyeonsiljeon」 is an ironical work because it takes ‘art’ as its theme but deals with the reality not knowing it sarcastically to achieve success as a novel. With a story in which art functions negatively, the matter of ‘art’ contributes to the embodiment of the work reversely.
이 논문은 김동인의 비평문과 소설을 ‘예술’을 매개로 상호 연관 지어 논의함으로써, 그 위상과 가치를 재고하고 작품을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김동인의 예술론은 현실과 거리가 있는 이상적 예술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낭만성을 띠고 있으며, 그로 인해 작품에서도 예술은 현실과 대립적 관계를 이룬다. 근대문학이 예술로서 자리 잡는 과정에서, 예술론을 펼치고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김동인은 이바지한 바 크다. 하지만 예술이 현실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고, 예술가는 현실을 어떻게 바라보고 형상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천착은 소홀히 한 면이 있다. 이는 김동인의 문학은 물론 한국 근대문학의 특성과 문제점을 살피는 데 있어 시사하는 점이 많다.
먼저, 김동인이 예술론을 주창했던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의 문학사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당시의 맥락에서 보면, 새로운 문학을 주도하는 지식인들 사이에서 예술은 집단적 가치에 부응해야 했던 봉건성에서 벗어나, 개인의 자유로운 가치추구를 가능하게 한 근대의 산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당대의 맥락에서 비평문에 나타난 김동인 예술론의 주요 특징을 독창성, 인형조종술, 자율성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예술의 ‘독창성’은 창조적 원천을 지닌 자립적 주체로서의 ‘개인’을 강조하는 것으로, 기존의 규범과 권위에서 탈피하여 ‘개성’이 발휘된 결과로 보았다. 다음으로 인형조종술은 앞서 살핀 독창성을 극대화하면서 창조적 주체로서의 예술가를 ‘신’의 경지로 끌어 올리는데, 작가는 자기가 창조한 세계를 인형을 놀리듯 지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예술론의 마지막 특징으로 자율성을 들었는데, 작품의 자율성과 작가의 자율성으로 구분하였다. 예술 작품의 자율성은 작품을 논의함에 있어 작가 개인의 특성과 시대적인 맥락과는 별개로 평해야 한다는 입장을 드러낸 것이다. 작가의 자율성은 신문소설에 연재되는 통속소설처럼 작가가 대중의 흥미에 영합하거나, 정치적 선전 혹은 사회개혁의 도구로 문학(예술)을 이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상의 김동인 예술론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소설의 예술성을 자각하고, 소설의 예술성을 높이기 위한 창작방법론을 선구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과 그를 통해 예술가의 전문성을 강조했다는 점이다. 둘째, 이광수 문학을 비롯하여 예술의 공리성에 치우친 당대의 문학적 풍토를 벗어나, 근대적 의미의 개인과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했다는 점이다.
이처럼 김동인의 예술론은 예술을 창작하는 주체인 예술가의 독창성과 권위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성의 자각이라는 근대성을 지닌다. 하지만 지나치게 예술을 절대화하여 현실과 대립된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예술과 현실의 관계를 조화롭게 모색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즉 예술로서의 문학이 지니는 가치만을 중요하게 내세우고 인간의 삶과 정신을 표현하고 반영함으로써 가치를 지니는 문학의 본질을 깊이 있게 탐구하지 못한 것이다. 이는 식민지 지식인으로 받아들인 근대 예술의 개념이 깊게 이해되거나 체화되지 못한 상황에서, 예술의 일면에만 집착한 미숙함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예술과 현실에 대한 김동인의 입장은 예술론이 소설화 되는 과정에서도 드러나게 된다.
김동인 예술론이 지니는 특징과 한계는 그의 소설작품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그것은 「광염소나타」와 「광화사」에서 두드러진다. 예술 창작의 과정을 노출하고 있는 액자 형식의 서사구조와 서술방식은 나름의 실험적 성과로 인정되지만, 그러한 시도에 비해 액자 내부 사건의 플롯이 허술하고 필연성이 떨어지는 한계도 있다. 이는 지나치게 이상적인 미를 추구하는 예술가의 삶을 그리면서, 현실과 동떨어진 설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술가의 삶을 전달하는 서술 방식이 독자에게 권위적으로 강요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는데, 전달하려는 내용이 개연성이 떨어지고 현실과 대립적이어서 공감을 얻기 힘든 측면이 있다. 이를테면 「광염소나타」의 백성수는 괴벽을 지닌 인물이 범죄 행위를 통해 비로소 예술을 완성할 수 있고, 「광화사」의 솔거는 현실적 육체관계가 예술의 완성을 망쳐버린다는 이야기 구조는 예술이 현실과 불화(不和)하는 양상으로만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과 예술의 이러한 관계는 이보다 앞서 창작된 「배따라기」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배따라기」에서는 ‘배따라기’를 제재로 삼으면서 인물의 지나친 정념으로 발생한 고난과 슬픔의 현실이, 이룰 수 없는 열망을 담은 아름다운 노래(예술)로 승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배따라기’의 ‘아름다움’은 외화의 서술에 나타난 ‘진시황의 유토피아’와 겹쳐지면서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행복했던 과거를 표상하는 것으로 현재의 삶과 대비를 이루고 비극성을 심화한다.
「김연실전」에서는 당대 현실에서 중요한 것이 예술이지만, 그것을 모르는 인물을 통해 부정적으로 기능하는 ‘예술’을 보여주었다. 근대성의 실현에 중요한 것이 예술이지만 정작 현실에서는 예술의 허상만을 좇는 당대의 풍토를 신여성을 등장시켜 극화함으로써 적절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종합해보면 김동인의 예술론에서 ‘예술’은 현실과 충돌하거나 동떨어진 방식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예술’을 드러낸 소설에서는 인물이 현실과 불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며 예술을 추구하게 된다. 그래서 김동인의 소설에서 「광염소나타」나 「광화사」와 같이 본격적으로 ‘예술’을 제재로 삼은 작품일수록 리얼리티가 떨어지고 생경한 느낌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김연실전」은 반어적인 작품이다. ‘예술’을 제재로 삼되, 그것을 모르는 현실을 풍자적으로 다룸으로써 소설적으로 성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술이 부정적으로 기능하는 이야기를 통해 거꾸로 ‘예술’ 문제가 작품의 형상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