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독일, 일본 상고심의 민사 판결서 작성 방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223(109쪽)
비고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제공처
최고법원의 판결서는 소송사건에 대한 최종 결론으로서 소송당사자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사법제도의 전통·역사 및 현황, 최고법원의 위상과 권위, 일반 국민의 법의식 및 사법부에 대한 신뢰도 등을 그대로 반영하는 상징적 존재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프랑스 파기원, 독일 연방일반법원, 일본 최고재판소의 민사 판결서 작성 방식을 실제 판결을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상고제도 및 대법원의 판결서 작성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이고도 실천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각국의 상고심 판결서 작성 실무는 그 나라 사법제도에서 상고심이 차지하는 위상, 상고제한 제도의 채택 여부와 그 내용, 상고심 재판부의 규모와 인적구성, 재판보조인력의 규모와 역할 등의 요소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판결서 작성 방식’이라는 이 논문의 주제와 관련된 범위에서 위 요소를 우선 개관하였다. 그다음 민사 상고사건에 대한 실제 판결례를 검토하여 그 나라 판결서만의 고유한 특징을 파악하고 그러한 특징을 갖게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건 통계를 통하여 상고심 법관의 업무 부담과 판결서 작성 방식 사이의 상관관계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프랑스 파기원, 독일 연방일반법원,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결서는 다른 나라와 뚜렷이 구분되는 고유한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 및 그 특징은 그 나라 사법제도와 상고제도, 사법전통, 상고심의 업무부담 및 법조인 양성제도 등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검토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은 우리나라 대법원의 판결서 작성 실무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항소법원의 상고이유 검토 및 의견제시, 소수의 사건에 대한 예외적 심리 속행, 심리불속행 이유의 예외적 설시를 제안하였다
The final written judgment rendered by the highest court is not only of importance to the litigants as an ultimate conclusion of the case, but of symbolic significance that reflects the tradition,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the judicial system, the status and authority of the highest court, and legal consciousness and confidence in the judiciary of the public. This paper looks into the method of judgment writing in civil cases of Cour de Cassation(France), Bundesgerichtshof(Germany) and Supreme Court of Japan reviewing the actual written judgments thereof, and thereby draws concrete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method of judgment writing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as well as the Korean final appeal system.
The practice of judgment writing of the highest court in each coun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ors such as the status of the highest court in the judicial system, the adoption and content of restrictions on final appeals, the size and personnel composition of the judicial panel in the highest court, and the size and role of trial assistants. Thus, those factors are first examined within the scope of the subject of this paper. Next, this paper reviews the actual written judgments in civil cases of respective highest courts and identifi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judgments and the reasons why such characteristics have been formed.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kload of the judges in the highest court and the method of judgment writing by going through the caseload statistics of the highest court.
In so doing, this paper figures out that the highest courts of France, Germany and Japan each retains special characteristics which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ose of other countries, and those characteristics are deeply correlated with the judicial system, the final appeal system, the judicial tradition, and the training of legal professionals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examination, in terms of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 method of judgment writing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is paper makes a number of practical suggestions, such as review of grounds for the final appeal and presentation of opinion thereto by the court of appeal, continuance of trial on an exceptional basis, and explanation of reasons for discontinuance of the trial provided on exceptional ground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