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등재

      혁신적이고 포괄적인 동아시아 음악데이터베이스(EMDB II)의 디자인 및 웹 시스템 구축: 통합적인 음악 역사 기술(記述)의 길을 열다 = Design and the Web System of East-Asian Music Database, Innovative and Inclusive (EMDB II): Writing Integrated Music History of East Asi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Since November of 2011, our research of East Asian Music Culture, built a music database called EMDB (Ewha Music Database, 2011~2014) and EMDB II (East Asian Music Database, Innovative and Inclusive, 2014~2017). They are unique as it contains a vast array of primary music sources of the 20th century East Asia, namely, China, Japan, Korea, and Taiwan, in one plac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reason our research team dedicated the past eight years to establish such databases is that there has been no database for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of East Asia available until this point. There have been a few archives or documentation of primary music sources of the modern era from the region, yet those include only one culture as in the case of collections in Japan’s Diet Library and Kunitachi Library. As there has been no prior or concrete model to follow in the region, we have been dealing with many technical, practical, as well as philosophical issues in developing our databases, especially establishing the second Database (EMDB II) of composers, compositions, and performances of the contemporary music of East Asia. As it is technically innovative as its 3.0 symentic web system allows users to engage in dialogues with each other, and also with the composers for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of such a vast culture specific materials. Some features in EMDB II, such as ‘timeline’ and ‘events’, providing socio-cultural overview of the 20th century East Asia are especially useful for anyone who wants to learn more about the background of or positioning individual composers or compositions beyond just sonic experience.
      As with its 3.0 symentic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EMDB II,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technical merits, its design and web system and advocate the importance of using integrated and dialogic approaches in building database. Our research team hopes to generate further discourses on the more advanced development of music culture specific contents.

      더보기

      21세기 아카이브, 웹, 그리고 도서관의 역할이 2.0에서 3.0으로 변화하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서 ‘개인 맞춤화’와 ‘협업화’가 중요해졌다. 급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시맨틱 웹을 통한 논리적 추론을 기반으로 사용자 패턴 및 성향을 예측하여 최적의 정보로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현을 위해 본 동아시아 음악문화 연구팀은 한국연구재단의 중점연구소 사업(2014~2017)을 수행하며 동아시아 음악문화 데이터베이스(East-Asian Music Database: Innovative/Inclusive, EMDB II)를 구축하였다.
      연구의 핵심 방법론은 서구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침체 된 동아시아 음악에 대한 교육, 창작,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디지털 인문학, 음악학, 문헌정보학,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기술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컴퓨터 공학 등)의 전문가들의 의견이 동등하게 고려되는 대화적(dialogic)이며 통합적인(integrated) 방법으로 시대별·유형별 음악콘텐츠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협업’과 ‘개인맞춤’을 통한 새로운 음악문화 콘텐츠 창출에서, 설계와 제반기술에 중점을 두고, 그 과정을 연도별, 단계별로, 즉 3차연도의 최종결과물에서 1차연도로 거슬러 올라가는 형태로 각각의 항목별 진행을 면밀하게 제시하며, 우리 문화에 맞는 미래의 아카이브 구축 개선을 위한 정보 및 의견을 개진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논의의 장(場)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와 더불어 본 논문은 연구팀이 연구 수행과정에서 직면해야 했던 가장 큰 어려움, 즉 어떻게 서로 다른 학문의 목소리(polyphony-multiple voice)가 대화(dialogic)를 통해서 통합(inegrated)되고 실질적인 결과물인 동아시아 음악문화콘텐츠를 만들어냈는지, 특히 음악문화 연구의 방법론과 컴퓨터 공학 기술, 그리고 웹 디자인 설계가 일상작업에서 어떻게 서로 작동하여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는지 대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 1 민경찬, "해방공간기 양악계의 양상 -음악 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53) : 169-196, 2014
      • 2 신기욱,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넘어서" 삼인 2006
      • 3 최유준, "한국음악과 아시아적 공감 - 탈민족주의 음악론과 ‘방법으로서의 아시아’" 한국음악학학회 19 (19): 7-36, 2011
      • 4 이유선, "한국양악백년사" 음악춘추사 1985
      • 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
      • 6 이덕주, "한국교회의 처음여성들" 기독교문사 1990
      • 7 이희경, "한국 현대음악의 현장에 관한 사례 연구 - 서울시향 “진은숙의 아르스 노바” 시리즈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학회 19 (19): 73-104, 2011
      • 8 손원영, "한국 초기 주일학교의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8) : 153-178, 2008
      • 9 민경찬, "한국 근대음악과 ‘고향’" 한국문학연구소 (30) : 75-99, 2006
      • 10 장석만, "한국 근대성 연구의 길을 묻다" 돌베개 2006
      • 11 채현경, "한국 근·현대 음악사 서술과 여성 작곡가 김순애" 한국음악사학회 (41) : 301-333, 2008
      • 12 문옥배, "한국 교회음악 수용사" 예솔 2001
      • 13 채현경, "한 여성 작곡가의 금의환향: 디아스포라와 예술음악의 전통" 50 : 193-222, 2011
      • 14 김미현, "피아노와 근대 - 초기 한국 피아노음악의 사회사" 한국음악학학회 18 (18): 153-187, 2010
      • 15 서우선, "피아노 도입기 수용계층의 특성과 피아노의 사회문화적 의미" 민족음악학회 (33) : 135-160, 2007
      • 16 고모리 요이치, "포스트콜로니얼: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 삼인 2002
      • 17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
      • 18 "청암학술정보관"
      • 19 김희정, "창작음악과 여성: 진단과 개선방안" 세계음악학회 (4) : 33-58, 2001
      • 20 "창악회"
      • 21 서정은, "진은숙의 음악언어, 추상화(抽象化)를 통한 재맥락화(再脈絡化) -생황협주곡 《슈》(Šu für Sheng und Orchester, 2009/2010)를 한 예로-" 한국서양음악학회 16 (16): 135-169, 2013
      • 22 안, 캐서린, "조선의 어둠을 밝힌 여성들" 포이에마 2012
      • 23 이경분, "일제시기 서양음악문화와 일본인의 영향" 음악연구소 25 : 159-186, 2011
      • 24 이진원, "일제강점기 이화전문학교의 전통음악 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44) : 367-410, 2010
      • 25 민경찬, "일본 근대양악의 흐름" 15 : 201-214, 1995
      • 26 김은하, "이화학당과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중심으로 본 초기 한국 여성작곡가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3) : 47-78, 2009
      • 27 이강숙, "음악적 모국어를 위하여" 현음사 1985
      • 28 채현경, "음악문화연구자가 갖춰야 할 두 가지 필수 품성: 자성과 대화" 세계음악학회 (10) : 19-38, 2004
      • 29 이강숙, "우리양악100년" 현암사 2001
      • 30 박정숙, "왜 여성 음악사인가" 한국음악학학회 (16) : 113-139, 2008
      • 31 사이드, 에드워드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0
      • 32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20세기 전반기 신여성과 근대성" 푸른 역사 2004
      • 33 이윤미, "식민지 초기 여성선교사의 교육 활동" 한국교육사학회 29 (29): 87-118, 2007
      • 34 양지영, "식민지 조선의 음악계" 역락 2015
      • 35 오스터함멜, 위르겐, "식민주의" 역사비평사 2006
      • 36 박명규, "식민 지배와 헤게모니 경쟁: 조선총독부와 미국 개신교 선교세력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82) : 5-39, 2009
      • 37 김은하, "시(詩), 노래의 ‘날개’ 달다: ‘죽음’을 노래하는 한국창작가곡들에 대한 연구 -김소월과 천상병의 시를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54) : 89-115, 2017
      • 38 이승원, "소리가 만들어낸 근대의 풍경" 살림 2005
      • 39 민경찬, "서양음악의 수용과 아시아 - 한국·중국·일본·타이완의 초기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 낭만음악사 18 (18): 99-139, 2005
      • 40 김사랑, "새로운 음악문화 수용을 위한 제의적 공간으로써의 평양 - 1920~30년대 선교사들과 한국인들의 음악적 만남 -" 한국음악학학회 24 (24): 59-101, 2016
      • 41 채현경, "박영희의 「달그림자」(2006)에 재현된 안티고네, 그는 과연 누구인가" 음악연구소 15 (15): 117-145, 2011
      • 42 김은하, "박-파안 영희의 음악세계 및 작품 <만남 I>에 관한 소고" 한국음악학학회 (14) : 101-145, 2007
      • 43 류대영, "매티 노블(Mattie W. Noble)의 일지 : 한 부인 선교사의 삶과 ‘여성의 영역(Women's Sphere)’" 국학연구원 (160) : 211-253, 2012
      • 44 민경찬, "동아시아와 서양음악의 수용" 음악세계 2008
      • 45 하희정, "동아시아 근대 여성관의 형성, 1880-1920: 미국 복음주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근대국가 세우기" 94 : 3-18, 2011
      • 46 채현경, "누구의 목소리인가: 서구식 음악교육과 여성의식의 변화" 세계음악학회 (29) : 119-158, 2013
      • 47 김사랑, "내한선교사들의 음악활동과 청각적 근대화: 1885-1940년까지 미북장로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6
      • 48 조윤영, "남성의 시선으로 만들어진 여성의 노래: 백우용의 <이십세기청년여자창가>(二十世紀靑年女子唱歌)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학회 23 (23): 55-86, 2015
      • 49 이은진, "근대적 여성성의 구성과 훈육: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의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 50 윤해동, "근대를 다시 읽는다" 역사비평사 2006
      • 51 박선미, "근대 여성, 제국을 거쳐 조선으로 회유하다" 창비 2007
      • 52 "국립중앙도서관"
      • 53 조윤영, "경성(京城)의 음악회(1920-1935): 식민지 일상과 근대의 경험, 그다양한 시각에 대하여" 이화여자대학교 2017
      • 54 남궁요열, "개화기의 한국음악" 세광음악출판사 1987
      • 55 민원득, "개화기의 음악교육" 9 : 9-106, 1966
      • 56 夏滟洲, "中国近现代音乐史简编" 上海音乐出版社 2004
      • 57 汪毓和, "中国现代音乐史史纲(1949~2000)" 中央音乐学院出版社 2009
      • 58 梁茂春, "中国 近代音乐(1949-1989)" 上海音乐学院出版社 2004
      • 59 김은하, "“음악원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동아시아 음악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세계음악학회 (31) : 149-169, 2014
      • 60 김사랑, "‘문명’의 노래, 조선인을 ‘위한’ 음악교육: 1910년대 선교사가 만든 『챵가집』 분석" 음악연구소 17 (17): 35-64, 2013
      • 61 "project21AND"
      • 62 Galliano, Luciana, "Yōgaku: Japanese Music in the Twentieth Century" Scarecrow Press 2002
      • 63 Choi, Hyaewol, "Women’s Work for Heathen Sisters: American Women Missionaries and Their Educational Work in Korea" 2 : 1-22, 1999
      • 64 Takeuchi Yoshimi, "What is Modern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 65 Carr, E. H., "What is History"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1961
      • 66 Phelan, Peggy, "Unmarked : The Politics of Performance" Routledge 1993
      • 67 "Ufficio Ricerca Fondi Musicali, Milan Conservatory Library"
      • 68 "Turkish Music State Conservatory, Istanbul Technical"
      • 69 Josias, Anthea, "Toward an understanding of archives as a feature of collective memory" 11 (11): 95-112, 2011
      • 70 Veloz, Tomas, "The State Context Property Formalism: from Concept Theory to the Semantics of Music" 21 (21): 1505-1513, 2017
      • 71 Spivak, Gayatri Chakravorty, "The Spivak Reader" Routledge 1996
      • 72 Herd, Judith Ann, "The Neonationalist Movement: Origins of Japanese Contemporary Music" 27 (27): 118-163, 1989
      • 73 Chatterjee, Partha, "The Nation and Its Fragments: Colonial and Postcolonial Histo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6-134, 1993
      • 74 "The Music and Theater Library of Sweden"
      • 75 Bhabha, Homi K.,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1994
      • 76 Geertz, Cliffor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Basic Books 1973
      • 77 Bakhtin, Mikhail, "The Dialogic Imagination: Four Essay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1
      • 78 김은하,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Music Archives in Korea" 음악연구소 20 (20): 109-139, 2016
      • 79 Serra, Xavier, "The Computational Study of a Musical Culture through Its Digital Traces" 89 (89): 24-44, 2017
      • 80 "The British Library, Music Collections"
      • 81 Chen, Kuan-Hsing, "Takeuchi Yoshimi’s 1960 ‘Asia as Method’ Lecture" 13 (13): 317-324, 2012
      • 82 "Tacit Group"
      • 83 Duff, Wendy, "Stories and Names: Archival Description as Narrating Records and Constructing Meanings" 2 (2): 263-285, 2002
      • 84 Oak, Sung-Deuk, "Sources of Korean Christianity : 1832-194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 85 채현경, "Songs of East Asia at the Turn of the Century: Why Do We Need to Study Primary Sources?" 음악연구소 16 (16): 101-128, 2012
      • 86 Wong, Chuen-fung, "Some Issues on the Role of Traditional Music Thoughts in the School Song Movement at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hina" 1 : 123-152, 2000
      • 87 Pryakhin, Alexey, "Similarity Search and Data Mining Techniques for Advanced Database Systems" Ludwig-Maximillans-Universität München 2006
      • 88 "Sibelius Museum, Department of Musicology"
      • 89 "San Diego State University Library"
      • 90 채현경, "Rethinking the ‘Independent’ Voices of the ‘Subaltern’ of Korea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음악연구소 17 (17): 127-149, 2013
      • 91 "Radarnetworks.com"
      • 92 "RISM-South Korea"
      • 93 "RISM(Répertoire International des Sources Musicales)"
      • 94 "RISM Czech Republic"
      • 95 Howard, Keith, "Preserving Korean Music :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Icons of Identity" Ashgate 2006
      • 96 Lee, Hyung June, "Power-Aware Relay Selection and Routing Scheme for Multi-Interface Sensor Networks" 10 (10): 441-451, 2015
      • 97 "Paul Sacher Stiftung"
      • 98 Calichman, Richard F., "Overcoming modernity : Cultural Identity in Wartime Japa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 99 Conrow, Marion L., "Our Ewha : A Historical Sketch of Ewha Womans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56
      • 100 Said, Edward W., "Orientalism" Pantheon Books 1978
      • 101 "Nederlands Music Institute"
      • 102 "National Széchényi Library, Department of Music"
      • 103 "National Library of France, Department of Music"
      • 104 Lütteken, Laurenz, "Music(ologic)al Knowledge in the Digital World:Preliminary Notes Concerning MGG Online" 63 (63): 222-229, 2016
      • 105 Lau, Frederick, "Music in China : Experiencing Music, Expressing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 106 Li, Tao, "Music data mining" CRC Press 2012
      • 107 Koo, Jasmine Ching Lan, "Metadata Design for Digital Chinese Orchestral Scores with Instrumental Parts" 55 (55): 297-339, 2008
      • 108 "Linked Data"
      • 109 Bird, Isabella L., "Korea and Her Neighbors" Revell 1898
      • 110 Manning, Christopher D., "Introduction to Information Retriev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 111 Krause, Magia, "Interaction in Virtual Archives: The Polar Bear Expedition Digital Collections Next Generation Finding Aid" 70 : 282-314, 2007
      • 112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Institucion Mila I Fontanals. DCH-Musicologia"
      • 113 Kim, Sungchan, "In-storage processing of database scans and joins" 327 : 183-200, 2016
      • 114 Killick, Andrew, "In Search of Korean Traditional Opera : Discourses of Ch'anggeuk"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0
      • 115 "IAML(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usic Libraries, Archives and Documentation Centres)"
      • 116 "FOAF Project"
      • 117 Lewis, Richard J., "Exploring information retrieval, semantic technologies and workflows for music scholarship:the Transforming Musicology Project" 43 (43): 635-647, 2015
      • 118 Downie, J. Stephen, "Evaluation of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Foundations and Future" 28 (28): 12-23, 2004
      • 119 "Europeana Colletions"
      • 120 "Estonian Theatre and Music Museum"
      • 121 채현경, "Enhancement of Understanding East Asian Music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of the EMDB(Ewha Music Database)" 음악연구소 19 (19): 137-150, 2015
      • 122 채현경, "East Asian Music Database II and its implications for New Integrated and Dialogic Music Research" 한국음악학학회 26 (26): 130-160, 2018
      • 123 Corrado, Edward M., "Digital preservation for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Rowman & Littlefield 2014
      • 124 김은하, "Digital Musicology as a Method" 음악연구소 21 (21): 117-139, 2017
      • 125 "Deutsches Musikinformationszentrum"
      • 126 Mittler, Barbara, "Dangerous Tunes: The Politics of Chinese Music in Hong Kong,Taiwan,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ince 1949" Otto Harrassowitz 1997
      • 127 "Croatian Musicological Society"
      • 128 Munro, Bruce, "Copyright Implications for Creating Online Print Music Databases" 34 : 27-34, 2005
      • 129 Toru Takemitsu, "Contemporary Music in Japan" 27 (27): 198-204, 1989
      • 130 채현경, "Contemplating Alternative Musicology in Contemporary South Korea - A call for "Integrative Musicology"" 동양음악연구소 21 : 97-112, 1999
      • 131 Wade, Bonnie C., "Composing Japanese Musical Modern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
      • 132 Spivak, Gayatri Chakravorty, "Colonial Discourse and Post-Colonial Theory" Harvester Wheatsheaf 66-111, 1993
      • 133 Chae, Hyun-Kyung, "Challenges to Music Document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East Asian Music Education Documents" 61 (61): 249-259, 2014
      • 134 Chae, Hyun-Kyung, "Challenges to Music Document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East Asian Music Education Documents" 61 (61): 249-259, 2014
      • 135 채현경,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Database for Research in Modern East Asian Music" 음악연구소 18 (18): 147-180, 2014
      • 136 "Carnegie Hall Corporation"
      • 137 Lee, Hyung June, "CPAC:Energy-Efficient Data Collection through Adaptive Selection of Compression Algorithms for Sensor Networks" 14 (14): 6419-6442, 2014
      • 138 Evans, Woody, "Building Library 3.0: Issues in Creating a Culture of Participation" Chandos Pub 2009
      • 139 "Biblioteca Nacional de Portugal, Área de Música"
      • 140 "Belarussian Academy of Music"
      • 141 McLeod, John, "Beginning Postcolonial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 142 "Beethoven-Haus"
      • 143 "BRICKS Community"
      • 144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 145 Chen, Kuan-Hsing, "Asia as Method : Toward Deimperialization" Duke University Press 2010
      • 146 Schwartz, J., "Archives, Records, and Power: the Making of Modern Memory" 2 : 1-19, 2002
      • 147 Cook, Terry, "Archives, Records, and Power: From (Postmodern) Theory to (Archival) Performance" 2 : 171-185, 2002
      • 148 Ketelaar, Eric, "Archives as Spaces of Memory" 29 (29): 9-27, 2008
      • 149 Derrida, Jacques, "Archive Fev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 150 Winget, Megan A., "Annotations on Musical Scores by Performing Musicians:Collaborative Models, Interactive Methods, and Music Digital Library Tool Development" 59 (59): 1878-1897, 2008
      • 151 Adams, Margaret O., "Analyzing Archives and Finding Facts: Use and Users of Digital Records" 7 (7): 21-36, 2007
      • 152 "ACL"
      • 153 "AADL(Ann Arbor District Library"
      • 154 Typke, Rainer, "A Survey of Mus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153-160, 2005
      • 155 Allison-Cassin, Stacy, "A Scenes Approach to Metadata Models for Music" 26 (26): 181S-201S, 2016
      • 156 Lee, Ki-baik. A History of Korea, "A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 157 Ching-Chih, Liu, "A Critical History of New Music in China" Chinese University Press 2010
      • 158 "21세기악회"
      • 159 장정윤, "1920년대 한국 근대음악문화 지형그리기 : 음악출판물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7 0.55 0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