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성준 장고춤의 전승고찰: 강선영의 재현과 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Han Seong-jun‘s Janggo-chum (Korean Drum Dance) : Centering on the Re-presentation and Restoration by Kang Sun-you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7-95(2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examines the formation background of Han Seong-jun’s Janggo-chum, the performance activity of his disciple Kang Seon-young, and its transmission to Yang Seong-ok.
The celebrated drummer Han Seong-jun understood fully the united relation between dance and rhythm, and developed it into a traditional dance through musical elaboration.
Kang Seon-young, a pupil of the Joseon Music Dance Research Association led by Han Seong-jun, was attached to his dance and idea to preserve and hand down the Korean Dance.
In 2000 she presented the performance, restoring the prototypic repertoire of nine piec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cluding Janggo-chum performed by her master in 1930s.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nsmission aspect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movements presented in literature, performance pamphlets, moving pictures, and interviews.
First, the composition puts emphasis on playing the hand beat that can back up dance movements so that a dancer skilled at beating by hand can dance without help of a drumstick.
Second, the music is made up with a ballad tuned accompaniment, starting from the lengthy tune over to fast, and back to lengthy in the end. Third, the dance contains the Korean beauty of moderation in the harmony of elegant movements and light rhythm according to the musical change. Fourth, the costume consists of a white upper garment with indigo cuffs and purple garment strings, and a crimson skirt. Fifth, the genealogy is from Han Seong-jun to Kang Seon-young, again to Yang Seong-ok, and there are many successors today.
이 연구는 ‘한성준 장고춤의 전승고찰: 강선영의 재현과 복원 과정을 중심으로’를 논제로 한성준 장고춤의 형성배경과 제자인 강선영의 장고춤 활동 그리고 양성옥으로 이어지는 한성준 장고춤의 전승양상을 고찰하고 그 특이성을 모색하였다. 명고수인 한성준은 춤과 장단의 일체화된 관계를 몸으로 체득하여 치밀한 음악적 분석아래 전통춤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한성준이 주도하였던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문하생인 강선영은 우리춤의 전승과 보존을 중요시 했던한성준의 춤과 사상을 이어갔다. 2000년 강선영은 스승 한성준이 1930년대 추었던 전통춤 레퍼토리의원형을 복원·재현하는 공연을 하였다. 공연된 작품은 신선무, 승무, 바라춤, 즉흥무, 검무, 한량무, 훈령무, 장고춤, 태평무의 아홉 종목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전통 음악과 춤에 탁월한 기량을 가진그의 작품 중 장고춤의 전승양상에 집중하였다. 연구는 문헌자료와 공연 팸플릿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춤사위 특성의 분석을 위하여 동영상자료와 대담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성준 장고춤의 특징은 첫째, 궁편 장단을 손장단으로 구성함으로서 궁글채의 도움 없이 손장단에능한 무용수가 춤 출수 있다. 둘째, 음악은 한강수타령에서 자진한강수타령, 다시 한강수타령으로 끝맺는 민요조의 반주음악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춤의 특징은 음악의 변화에 따른 우아하고 아름다운 몸짓과 경쾌하고 절도 있는 리듬의 조화로 절제미와 한국적 미를 담고 있다. 넷째, 춤의 구성은 춤사위를위한 장단 즉, 춤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장단을 연주하며 손장단을 중요시하여 춤추는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다섯째, 복식은 흰 저고리에 남 끝동과 자주고름 그리고 붉은 치마로 구성된다. 여섯째, 춤의전승양상은 한성준에서 강선영, 양성옥으로 이어져 송영환을 비롯한 태평무 보존회에 의해 전승되고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1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 KCI등재 |
2020-04-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8-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 KCI등재 |
2014-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KCI등재 |
2014-04-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6-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0.943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