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게임 이용자의 팬덤 문화와 콘텐츠 액티비즘: MMORPG <로스트아크>를 중심으로 = Game Users’ Fandom Culture and Contents Activism: Focusing on MMORPG <Lost Ark>
저자
박성준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86(26쪽)
제공처
오늘날 액티비즘은 도구와 수단이 무엇이냐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구분되며, 콘텐츠 액티비즘은 문화콘텐츠를 수단으로 삼아 액티비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문화콘텐츠가 사회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언로(言路)를 확장하는데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콘텐츠 액티비즘의 영역을 2가지 층위에서 확장해 보고자 한다. 먼저, 콘텐츠액티비즘이 다룰 수 있는 문제 인식과 아젠다의 확장이다. 이는 다차원적이고 공동의 이익이 파편화된 오늘날, 콘텐츠액티비즘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변화를 좀 더 미시적인 관점으로의 확장을 의미한다. 그리고 콘텐츠 액티비즘의 창작자뿐만 아니라 콘텐츠 수용자로 관심을 확대하고자 한다. 콘텐츠 액티비즘에 참여하는 수용자들이 어떠한 이유로 콘텐츠액티비즘에 참여하는지, 그리고 그 참여가 단순히 액티비스트를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액티비스트로서 ‘행위’로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본고는 팬덤을 공통된 대상에 대한 애정과 감정적 공명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구성체’로 이해하고, 팬덤의 주체적이고능동적인 콘텐츠 참여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팬덤이 단순히 셀레브리티나 콘텐츠를 막연히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팬덤의정체성에 따라 ‘행위’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참여하는 콘텐츠 액티비즘의 또 다른 주체임을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즉콘텐츠 액티비즘에서 논의하는 액티비스트와 추종자의 관계를 콘텐츠와 이를 향유하는 팬덤 간의 상호작용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라이브서비스 게임인 MMORPG <로스트아크>와 그 게임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콘텐츠액티비즘과 팬덤 문화에 대해 다룬다. 특히 <로스트아크> 게임 이용자들 사이에서 형성된 ‘기부 캠페인’을 중심으로, 게임사의 메시지가 팬덤 내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집단적 논의가 커뮤니티에서 형성되며, 궁극적으로팬덤의 주도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한다. <로스트아크>는 ‘게임을 게임답게 만들겠다’는 철학을 바탕으로팬덤과 개발사가 협력해 지속 가능한 게임 문화를 구축한 사례로서, 콘텐츠 액티비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게임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며, 팬덤과 개발사의 상호작용이 동시대적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모델이다.
Today, activism is divided into several types depending on the tools and means used, and contents activism means carrying out activism using cultural content as a means. This is because cultural content is effective in delivering messages to society and expanding language channels. This paper seeks to expand the scope of contents activism on two levels. First, it is an expansion of the problem recognition and agenda that contents activism can have. This means expanding the social changes that occur in contents activism to a more microscopic perspective in today’s multidimensional and fragmented common interests. And we want to expand interest not only to creators of contents activism but also to audience. We talk about why audiences participate in contents activism and that participation is not simply following an activist, but is an ‘action’ as another activist.
This paper understands fandom as a ‘cultural formation’ based on affection and emotional resonance for a common object, and focuses on the fandom’s subjective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ontent.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fact that fandom is not simply a vague following of celebrities or content, but is another subject of contents activism that actively sympathizes with and participates in ‘actions’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the fandom. In other words, we would like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sts and followers discussed in contents activism as an interaction between content and the fandom that enjoys it. To this end, this paper deals with contents activism and fandom culture, focusing on the live service game MMORPG <Lost Ark> and its game user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donation campaign’ formed among users of the <Lost Ark> game, we discuss how the message presented by the content is accepted by the fandom and forms fandom culture. <Lost Ark> is a case study of a sustainable game culture built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fandom and developers based on the philosophy of ‘making games like games’, and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content activis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