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해적, 제국, 망명 —20세기 초 일본과 한국에 번역된 바이런의 『해적』(The Corsair) = Pirate, Empire, Exile —Lord Byron’s The Corsair Translated in Japan and Kore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51(47쪽)
제공처
이 글은 바이런의 『해적』(The Corsair, 1814)이 20세기 초 일본과 한국에 번역되고 수용되었던 정치적 맥락과 함의를 분석한다. 『해적』에서 『섬』(The Isle, 1823)에 이르는 바이런 시의 ‘해적’들은 때로는 억압적 사회의 이탈자들로, 때로는 적극적인 저항의 전사나 대안 사회의 개척자들로 그려져 있지만, 그 밑에는 ‘자유’를 향한 일관된 욕망이 흐르고 있었다. ‘낭만적 해적’으로 표상된 ‘야생의 자유’란 ‘문명적 자유’라는 식민주의적, 인종주의적 가치를 넘어 자유를 모든 인간과 생명의 본원적 욕망이자 권리로 간주하는 급진성을 띠었다(2장). 기무라 다카타로(木村鷹太郎)는 3국간섭 직후인 1895년 바이런의 ‘해적주의’를 힘이 곧 권리라는 강자의 권리 사상으로 해석하면서, 세계의 바다를 무력으로 제패한 제국주의 열강들과 강자의 압박에도 끝내 굴하지 않고 저항하는 ‘반란자’를 모두 ‘해적’에 비유했다. 그러나 러일전쟁기에 번역한 『海賊』(1905)에서는 ‘해적’을 일방적으로 제국주의적 팽창의 전위로 재해석하면서, ‘왜구’가 침략에서 ‘식민’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을 애석하게 여겼다(3장). 최남선이 『소년』에 번역한 「해적가」(1910.3)는, 안중근 의거(1909.10) 이후 급격히 악화되던 정세 속에서 독립전쟁 준비를 위해 망명을 결행한 안창호의 「거국시」(1910.4) 및 이 시기 『소년』의 다른 글들과 함께 읽힐 수 있다. 험난한 삶과 죽음조차 감내하며 꺾이지 않는 마음으로 끝내 저항하는 해적/망명자의 형상은 기무라의 ‘반역적 강자주의’와 상통하면서도, 약자의 ‘메시아니즘’과 결합함으로써 힘의 논리로 환원되지 않는 보편성을 획득했다(4장).
더보기This article explores Lord Byron’s The Corsair: A Tale (1814) and its translation in Japan and Kore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contextualized within their respective political landscapes. Byron’s poetic depictions were influenced by his encounters with Greek pirates under Ottoman rule, the Bounty incident in the South Pacific, and the Atlantic pirates associated with South America’s independence movements, blending these elements into his works. His portrayal of “pirates,” spanning from The Corsair to The Isle (1823), often portrays them as defectors from oppressive societies, active resistance fighters, or pioneers of alternative communities, all driven by an enduring quest for “freedom.” The concept of “savage freedom” embodied by the “romantic pirate” challenged conventional notions of freedom, rejecting colonial and racist values in favor of a more fundamental and universal human right.
In 1895, following the Triple Intervention, Kimura Takataro interpreted Byron’s pirate motif as embodying the principle of “Might is Right,” drawing parallels between imperialist powers dominating the seas through force and rebels resisting oppression. This interpretation mirrored Japan’s complex position in global history after the Sino-Japanese War, where it resisted Western imperialism while simultaneously aspiring to imperial ambitions of its own. As Japan’s national power grew, Kimura’s reading of Byron gradually shifted toward justifying imperialism, lamenting the decline of Japanese piracy as a missed opportunity for territorial expansion, exemplified in an essay of his 1905 translation 海賊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In the early 1900s, Chinese and Korean intellectuals studying in Japan encountered Byron’s works through Kimura’s translations and biographical accounts, selectively embracing the rebellious spirit within. In China, figures like Liang Qichao celebrated Byron’s poems on Greece, which inspired resistance against oppression by contrasting past glories with contemporary humiliations of Greece. In Korea, Byron’s depictions of the sea and pirates found prominence in the pages of Sonyeon (Youth) magazine. Of particular significance was “Pirate Song” (1910.3), a translation of Kimura’s “海賊,” specifically stanza 1 of Canto 1. This poem resonated with Ahn Chang-ho’s “Geo-guk-si” (Exile Poem, 1910.4), crafted in response to the worsening circumstances following Ahn Jung-geun’s assassination of Ito Hirobumi in October 1909. Published alongside other works in Sonyeon during this period, these writings portrayed pirates and exiles as resilient figures who confronted adversity with unwavering determination, even in the face of death. This portrayal aligned with Kimura’s rebellious ideals but also incorporated a subtle messianic element, seeking a universal significance beyond mere power dynamics. It transcended the narrative of Korea’s colonial redemption, evolving into a broader mission for achieving universal justice through enduring trials and advocating for the marginalized. The messianic hope for a future free from colonial oppression was symbolized by pirates navigating treacherous seas, embodying resilience amidst advers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