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CI
SCOPUS
KCI등재
Toward everyday practices of gender : Implications of feminist political ecology for gender mainstreaming in Korean ODA
저자
발행기관
Asian Center for Women's Studies : Ewha Womans University Press(Asian Center for Women's Studies)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KDC
337.000
등재정보
SSCI,SCOPUS,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63-488(26쪽)
제공처
중단사유
※ 저작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논문은 원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소장기관
This paper suggests feminist political ecology (FPE) as a knowledge resource for policy makers,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volved in Korean gender equalityfocused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grams. Since Korea joined the OECD in 2010, its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incorporate gender mainstreaming into Korean ODA programs. This has generally taken the “topdown approach,” (i.e., shifting the practice of official institutions in ODA agencies of the donor country to recipient countries). Howeve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recipient countrie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assessing what the outcomes would be in these. This paper reviews feminist political ecology, which has examined multi-scalar gender politics and considers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for Korean ODA programs to embrace things in a nuanced way regarding gender politics. This paper argues for the potential of FPE as an effective tool for these programs that relate to gender. It proceeds as follows: first, it criticall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Korean gender equalityfocused ODA. Then it reviews what FPE is about, including four themes of feminist political ecology: property rights, gender division of labor, women knowledge resource for policy makers, practition on its review, the paper discusses ways in which feminist political ecology can generate insight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volved in the ODA programs of Korea.
더보기본 연구는 한국 젠더 관련 ODA 정책실무자 및 연구자들에게 페미니스트 정치생태학을 유용한 연구분야로 제안한다. 2010년 한국이 OECD에 가입한 이래, 한국 정부는 ODA 프로그램의 젠더 주류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에 있어 공여국과 수여국의 ODA 관련기관 내 제도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상향식 접근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수여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평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 특정 지역들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다중스케일적 젠더 정치를 다루는 페미니스트 정치생태학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맥락성이 상대적으로 결여된 젠더 관련 한국 ODA 프로그램을 보완함에 있어 페미니스트 정치생태학이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페미니스트 정치생태학을 재산권, 성역할분담, 여성 권한강화, 여성의 주관성 등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다음으로 페미니스트 정치생태학이 폭넓은 민족지학적 현장연구를 기반으로 한 개발도상국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구축된 분야인 만큼, 이러한 기반이 부족한 한국 젠더 ODA 정책수립 및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지니는 특수한 위치로 인해한국의 젠더 ODA 관련 연구 역시 페미니스트 정치생태학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님을 본 연구는 지적하고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