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89년 동유럽혁명의 유형화 시론 = Typology of East European Revolutions of 1989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KDC
92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3-305(23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고는 비교관점에서 1989 년 동유럽혁명을 재고찰하고 있다. 즉 동유럽혁명에 관해 각국의 상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통유럽혁명의 유형화를 시도해 본 것이다. 혁명의 국내적 요인으로서 동유럽은 정권의 정당성 상실과 경제체제의 비능률이라는 일반적 요소를 공유하되, 구공산체제하 개혁의 유무, 당 엘리트의 응집력 정도 등에 따라 체제가 직연한 위기의 내용과 그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혁명의 외적 요인으로서 서방의 영향과 고르바초프 개혁을 들 수 있으며, 국내적 개혁의 시도가있었고 서방과의 교류가 유리하였던 국가들은 고르바초프의 신사고를
적극 지지하였다. 이런 차이로 인해 고르바초프 개혁에 대한 태도에서“동유럽 4 인방”과 폴란드·헝가리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동유럽의 혁명 전개과정에서는 크게 시민사회의 재생을 보여 주었던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들로 분류되는데, 상대적으로 시민사회가 재활성화되어 있었던 폴란드와 헝가리의 경우 타협을 통해 점진적으로 진행된 “협상혁명"을 보여 주었으나, 시민사회적 요소가 약했던 국가들의 경우 시위 및 폭력혁명의 과정을 겪었다. 특히 루마니아의 유혈혁명의 경우는 시민사회의 부재가 잘 드러난 경우였다. 혁명직후의 변화도 시민사회 활성화 정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데, 구공산당의 약화나 영향력 유지, 체제변혁의 제한성 정도 등을 두고 중유럽형 또는 비세그라드4형과 발칸형으로 대별되곤 한다. 이처럼 구소련의 위성권이었던 동유럽은 보편성과 특수성을 통시에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의 체제변혁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This thesis reconsiders East European revolutions of 1989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nd attempts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s domestic causes of the revolutions, we can take the common phenomenon of lack of political legitimacy and ineffective economic system. However, the degree of crisis differed from country to country, according to whether there were efforts to reform the economic system and whether the party elite were united or not. As external causes, the West's influence and the Gorbachev factor are significant. Those countries that had attempted some economic reforms supported the perestroika and glasnost, like Poland and Hungary. However, Eastern Europe's so-called "Gang of Four" were against Gorbachev's policy or only reluctantly followed it. In the process of East European revolutions, the factor of civil society
played an important role. Poland, Hungary, and in some respect Czechoslovakia, with relatively active civil society, showed the examples of gradual "negotiated revolution," while those countries with lack of civil
society went through a violent course. Again in the aftermath of the revolutions, the breadth and depth of change in each country depended on the degree of the civil society's activation. With respect to this change, the former East European countries are usual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i.e., the Visegrad Four and the rest.
Thes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may repeat in the East Central Europe's system transformation in the future, too.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KCI등재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