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안동 진성이씨 온혜파 종택 퇴계선생태실의 위치적 특성에 관한 시론(試論)
본 논문은 퇴계태실의 위치적 특성에 관한 것으로 조선시대 상류가옥 중 출산장소로 전하는 세 곳의 위치적 특성과 공간 명칭을 비교 고찰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실은 왕실 자녀들의 태를 보관한 석실을 일컫는 용어이며, 일반적으로 반가의 출산장소는 산실, 산방, 산실청으로 지칭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태실은 반가에서 사용할 수 없는 용어이지만 후대에 퇴계선생이 태어난 곳이라는 상징성을 부각하기 위해 태실의 명칭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한다. 둘째, 퇴계태실은 누각(樓閣)형으로 본채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다. 안채 마당의 중간에 돌출된 태실은 다른 가옥의 출산장 소와는 확연히 다른 곳에 위치하였다. 셋째, 노송정 종택에 걸린 편액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동방의 주자’로 불리며 조선시대 성리학을 집대성한 퇴계 이황에 관한 내용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조선시대 반가의 출산공간은 퇴계태실 처럼 출산장소가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었다. 주로 며느리가 기거하는 건넌방이 출산장소였으며 사당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였다. 상류가옥에서 일반적인 출산장소 인 건넌방은 퇴계태실과 다른 방향에 위치하였지만 본채의 가장 좋은 터에 건넌방을 배치한다는 동일한 맥락에서 좌향을 잡은 것으로 추정한다. 다른 가옥에서는 볼 수 없는 퇴계태실의 위치적 특성과 편액에 전하는 종택의 내력을 고찰한 결과‘귀한 자손’이 태어날 수 있는 곳에 종택을 건립하고 가장 좋은 터에 태실을 배치한 것이 아닐까 한다. 또한 노송정 종택은 ‘이황의 생가(生家)’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공간에 투영시켜 태실을 중심으로 종가의 내력이 형성되고 강화된 것으로 추정한다.
더보기This paper is about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oegye Taesil. It compares and examines the spatial names and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ree places that are said to have been birthing places among upper-class houses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term Taesil cannot be used in Joseon Dynasty's Noble Family, it is presumed that the name Taesil was used later to highlight the symbolism of it being the birthplace of Master Toegye. Second, the Toegye Taesil is located in a place that protrudes from the middle of the inner courtyard, making it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birthing places of other houses. Third, the birth space of the Joseon Dynasty's Noble Family was mainly the Keonneonbang where the daughter-in-law lived. It wa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ncestral shrine. Keonneonbang was locat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Toegye Taesil, but it is thought to have been located in the best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Fourth, the largest portion of the Pyeon-aek hanging in Nosongjeong Jongtaek is about Toegye Yi Hwang, who was called the ‘Zhu Xi of the East’ and summarized the Neo-Confucianism of the Joseon Dynast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