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참여형 공공 환경 개선 사업의 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연구 - GPCI 상위 5개국을 중심으로 - = A study of Governance Arrangements for Participatory Public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top five GPCI countr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01-510(10쪽)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사회적 상황이 변화하면서 기존의 공급이 주가 되었던 공공 공간 조성 방식은 시민 주도의 다양한 보완책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행정과 시민 간 상호작용을 통해 공공 환경 개선을 개선하는 다자간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시민이 주체적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행정과 협력하는 참여형 공공 환경 개선 사업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둘째, 행정을 포함한 다자간 거버넌스 체계를 통해 참여형 공공 환경 개선 사업의 추진 체계와 시민의 참여 유형을 살펴본다. 연구의 범위는 2022년 기준 GPCI 상위 5개국인 런던, 뉴욕, 도쿄, 파리, 싱가포르로 지정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시민 참여형 공공디자인 사업 동향, 임시적 공공 환경 개선의 제도화 추이, 다자간 참여를 통해 공공 환경을 개선하는 디자인 거버넌스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GPCI 상위 5개국의 주요 도시별 시민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공공 환경 개선 사업 사례를 선정하고 각 사례들을 비교·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사업별 거버넌스 체계를 구조화한다.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 사업 내 시민참여 유형 및 시민 참여의 확장 범위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내 시민 참여형 공공디자인 사업 플랫폼에 관한 전략·지향점을 제언한다. (결과)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이 주체적으로 지역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면서 행정과 협력하는 참여형 공공 환경 개선 사업 사례를 비교했을 때, GPCI 상위 5개국의 참여형 공공 환경 개선 사업은 시민의 니즈를 가늠해볼 수 있음과 동시에 흥미로운 도시 재활성화 플랫폼으로 시민들의 동참을 유도한다. 둘째, 다자간 거버넌스 체계를 통해 참여형 공공 환경 개선 사업의 추진 체계와 시민의 참여 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5개국 사업에서 시민들은 공통적으로 지역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역할과 펀딩을 통한 자금 마련을 지원하였다. 5개국의 사례 모두 사업의 처음과 끝이 시민에 의해 전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민들의 동참을 극대화시키고 다양한 유형의 참여 방식으로 인해 시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결론) 국내에는 시민들이 공공 환경 개선을 위해 자발적으로 아이디어를 제안하면서 실행까지 다다를 수 있도록 행정 및 지역 조직들과 협력할 수 있는 참여형 공공 환경 개선 사업은 아직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도시 변화를 이끄는 일에 더 많은 시민 조직이 공감하고 거버넌스 구축에 동참하면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더욱 귀담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참여 플랫폼은 오프라인 공간 뿐만 아니라 온라인 공간 안에서 다양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지역을 위한 콘탠츠 개발과 그에 따른 창조적인 사업들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국내에서 시민의 참여 범위를 확장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As social conditions change wit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way public spaces are created requires citizen-led complementary measur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s of participatory public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in which citizens propose ideas and cooperate with the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motion system of participatory public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and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top five Global Power City Index (GPCI) countries as of 2022. (Method) We examine the trends of citizen participatory public design project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emporary public environment improvement, and multilateral design governance through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We select public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in the top five GPCI countrie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case, the governance system of each project is structured. Through this, we identify the trends in citizen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 projects and the extent of citizen participation. (Results) When comparing participatory public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in which citizens propose ideas and work with the public administration, the participatory public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in the top five GPCI countries can gauge citizens’ needs and engage them for urban revitalization. When comparing the implementation mechanisms and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participatory public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multilateral governance mechanisms, citizens in the five countries have the common role of proposing ideas and helping to raise funds through financing. While the projects in all five countries are not initiated by the citizens, they significantly maximize citizen participation in any manner that suits them. (Conclusions) In Korea, there is no systematic way for citizens to voluntarily propose ideas to improve the public environment and work with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organizations. Participation platforms that allow civic organizations to be involved in leading urban change and building governance, listen more closely to stakeholders’ opinions, build diverse communities in online and offline spaces, and enable local content development and creative projects. Therefore, research on how to expand the scope of civic participation in Korea should be actively promot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