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페미니즘 리부트’와 지역 여성운동: 전주시를 중심으로 = Feminism Revival and the Local Women’s Movement: The Case of Women’s Movement in Jeonju City, S.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9-211(3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is the study on the ’new’ feminism called as “the feminism reboot” especially since 2015, in the local area of Jeonju city, South Korea. What brought the feminism reboot to the local area, a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ctivism in the metropolis and that in the local city are analyzed. The main question is how much and how differently the ICT and the radically rising online feminism contributed to the occurrence of feminism in the local area where the personal and theoretical resources of feminism are insufficient.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subjects, many of whom were related with feminism reboot, were us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boot in Jeonju city shows the two ways of being feminists and doing feminism, one of which is the theoretically armed digital feminists who organized the feminist activism. The other majority are the participants at the feminist gatherings who became feminists through doing the feminist reading. The latter course is the result of seeking a safe space from the anti-feminism backlash and the absence of anonymity of the middle-sized city of Jeonju. Secondly, the shortage of people and resources made the solidarity with traditional agents of women’s movement essential than optional. The ‘new’ and ‘young’ feminists of “feminism reboot” tended to be connected with the ‘old’ women’s organizations rather than discontinued. Moreover, they do feminism cooperating with the institutionalized state feminism. Thirdly, the contraposition between the radical separatist feminism and transfeminism is not strong and tends to be made invisible. It is partly caused by the shortage of feminists itself. But it also reflects the civil movements’ tradition in Jeonju City that had used to be organized on the basis of solidarity supplementing the scarcity of resources.
더보기이 글은 메트로폴리스와는 다른 사회경제적 조건과 운동의 역사를 갖는 중규모의 도시에서 페미니즘의 리부트는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를 발생계기와 활동방식, 운동의 주체와 이념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페미니즘 리부트 참여자 및 그 외 지역여성운동 참여자 등 8명에 대한 심층면접과 이들이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 분석, <전북여성단체연합> 발간물 등에 대한 문헌분석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주 지역의 페미니즘 리부트의 발생 계기는 크게 보아 두 가지의 경향을 보 인다. 하나는 서울 등 대도시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페미니즘을 매개로, <강남역 여성 살해사건>에 대한 통분을 바탕으로 형성된 공동체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다수의 참여자는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로 여기지 않던 상태에서 독서모임이나 동아리에 참여하 게 되면서 페미니스트로 주체화하게 되고 리부트에 참여하는 경로를 밟은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활동방식과 관련해서 보면, “사람이 부족”한 현실적인 조건은 분리보다는 연대의 운동방식을 발생시켰다. 그리고 이것은 페미니즘 리부트를 이전 시기와의 차별성과 단절성을 중심으로 이해하던 방식과는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즉, 리부트 참여자들은 <전북여성단체연합> 등 기존 조직운동과의 교류, <성평등전주>와 같은 젠더 거버넌스 제도의 적극적 활용, 젊은 여성만이 아니라 세대적으로 연결된 연대의 방식을 보여주었다. 자원의 부족은 알음알음으로 연결되는 인적 네트워크로 채워졌으며, 전주 구도심을 중심으로 구축된 시민사회운동의 공간적 연결성은 연대활동을 가시화할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이었다.
셋째, 이념적으로 볼 때 페미니즘 리부트 운동 내부에서 보이던 입장의 차이, 즉 분리주의적 급진페미니즘과 성소수자 운동과의 연대를 강조하는 교차성 페미니즘간의 이론적ㆍ실천적 차이가 존재하기는 했으나, 그러한 지점들은 공론화되기보다는 비가시화 되는 경향이 더 컸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1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2 | 1.32 | 1.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5 | 1.58 | 1.768 | 0.3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