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장 칼뱅과 칼 바르트의 교회론 비교 연구: 불가시적 교회와 가시적 교회 이해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Ecclesiologies of John Calvin and Karl Barth: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Invisible and Visible Church
저자
최유진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29-458(30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은 장 칼뱅과 칼 바르트의 불가시적 교회와 가시적 교회 이해를다룬 글이다. 칼뱅은 교회가 불가시적인 동시에 가시적인 그리스도의 ‘한몸’(unum corpus)이라고 진술한다. 불가시적 교회와 가시적 교회는 인식론적 차원으로 구분되었지만 분리되지 않는 한 교회이다. 불가시적 교회와가시적 교회는 성령의 역사로 인해 교통이 된다. 반면에 바르트가 진술하는 교회의 불가시성과 가시성은 기독론적 배경에 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본질적으로, 가시적인 참된 인간인 동시에, 불가시적인 참된 하나님이시기때문에, 교회는 가시적이며 불가시적이다. 교회는 인식론적으로 가시적이지 않으면, 세상을 향해 있지 않으면, 교회는 교회가 아니다. 반면에, 교회의 불가시성은 하나님의 선택과 부르심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결정, 행동과 계시로 만들어진 본질이다. 무엇보다도 이는 성령의 역사이다. 교회의 충동(impulse)은 안으로부터 밖으로 나아간다. 불가시성으로부터 가시성으로 나아간다. 교회의 가시성이 교회의 불가시성을 품으며, 교회가 안으로부터 존재한다는 사실이 밖으로 드러난다.
칼뱅과 바르트의 불가시적 교회와 가시적 교회는 5가지 비교점을 갖는다. 첫째, 둘 다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불가시적 교회인 동시에 가시적 교회를 진술했다. 차이점은 바르트는 기독론적 배경으로 그리스도의 두 본성으로 교회의 두 본질/두 측면을 진술하는 반면, 칼뱅은 인식론적 배경으로만 교회의 두 측면을 진술한다. 둘째, 그런데 오토 베버는 칼뱅이 진술하는교회의 두 측면을 그리스도의 두 본성과 연관을 지어 설명한다. 물론 이는바르트 입장에서 칼뱅을 바라본 것이지만, 그리스도의 몸을 강조하는 개혁교회 신학 전통을 볼 수 있다. 셋째, 칼뱅과 바르트 모두 플라톤적 교회 이해를 거부한다. 넷째, 칼뱅과 바르트 모두 교회의 가시성을 강조하나, 로마 가톨릭 교회론과 구분한다. 칼뱅은 사효론(ex opere operato)에 나타나는 성례론적인 교회론을 거부한다면, 바르트는 성육이론의 교회론적 확장을 거부한다. 끝으로, 가시적 교회로서 전투하는 교회에 대한 이해 차이이다. 바르트는 칼뱅이 세상과 싸우는 교회를 진술했다고 오해한다. 하지만, 칼뱅은 세상과 싸우는 교회라기보다, 마귀와 대적하는 교회를 진술한 것이다. 하지만 바르트가 세상을 위한 교회론을 전개했듯이, 칼뱅 역시 세상을위한 교회론을 전개했다.
This article deals with John Calvin and Karl Barth's understanding of the invisible and visible church. Calvin states that the church is the "unum corpus"(one body) of Christ, both invisible and visible. The invisible and visible churches are one church, distinguished on an epistemological dimensions but not separated. The invisible church and the visible church are brought into communion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On the other hand, Barth's distinction between the invisibility and visibility of the church has a Christological background.
The Church is both visible and invisible because Jesus Christ is, in essence, both a true human being, visible, and a true God, invisible. If the Church is not epistemologically visible, if it is not oriented toward the world, it is not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the invisibility of the Church is the essence of God's election and calling and of the decisions, actions, and revelations of Jesus Christ. Above all, it i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 impulse of the Church is from the inside out. It moves from invisibility to visibility. The visibility of the Church embraces the invisibility of the Church, and the fact that the Church exists from within is revealed to the outside.
There are five points of comparison between Calvin's and Barth's invisible and visible churches. First, they both articulated the visibl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both the invisible church and the visible church. The difference is that Barth states the two natures/two aspects of the church as the two natures of Christ in a christological context, while Calvin states the two aspects of the church only in an epistemological context. Second, however, Otto Weber explains Calvin's two aspects of the church in relation to the two natures of Christ. Of course, this is Barth's view of Calvin, but we can see the Reformed theological tradition emphasizing the body of Christ. Third, both Calvin and Barth reject the Platonic understanding of the church. Fourth, both Calvin and Barth emphasize the visibility of the church, but distinguish it from Roman Catholic ecclesiology. Calvin rejects the sacramentalist ecclesiology of ex opere operato, while Barth rejects the ecclesiological extension of incarnationalism. Finally, they differ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visible, combative church. Barth misunderstands Calvin as stating a church that fights the world. However, Calvin does not speak of a church that fights against the world, but rather a church that fights against the devil. But just as Barth developed an ecclesiology for the world, Calvin developed an ecclesiology for the worl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