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레옹 뒤기의 국가이론 - 『법과 국가』를 중심으로 -
이 연구는 현대 프랑스 헌법학의 대표적인 학자인 레옹 뒤기의 헌법이론과 국가이론을 그의 저서 『법과 국가』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소개하는 데 있다. 뒤기는 국가에 관한 연구는 실증적이고 현실적인 관찰방법에 의하여야 하며 형이상학적인 이론은 배척하여야 한다는 입장에서 종래의 전통적 국가이론, 특히 권력주의적인 독일의 이론과 개인주의적인 프랑스의 이론을 날카롭게 비판하였다. 그는 주권 관념과 권리의 관념을 부정하고, 뒤르케임의 영향으로 사회적 연대라는 사실에 착안하여 실재론적 국가이론의 구성을 시도한 것이다. 뒤기는 『법과 국가』에서 국가이론을 크게 형이상학적 이론과 실재론적 이론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이론에서 국가권력에 대한 법적 제한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즉, 국가를 구속하는 우월한 법적 규제가 있다면 국가는 주권적인 것을 얻지 못하고, 따라서 국가인 것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점에서, 주권적 국가의 관념과 국가에 우월하여 그 행위를 제한하는 법적 규제의 관념 사이에는 절대적 모순이 존재하는바, 그의 국가이론은 이러한 모순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데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뒤기는 국가는 명령권을 가진 주권적 권력이 아니며 공공서비스를 조직하고 그 발전을 보증하기 위해 권력을 행사할 의무를 지닌다고 말한다. 그는 종래의 형식적, 논리적 법해석이 지배적이었던 당대의 유명한 이론들에 정면으로 도전하였고, 실재론적 국가이론을 기초로 현실 사회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는 이념, 지역,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 한국의 현실에서도 경청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어서 뒤기의 헌법이론과 국가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과 재평가가 요구된다.
더보기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and introducing Léon Duguit's theory of the law and the State by focusing on his work 『The Law and the State』. Léon Duguit has sharply criticized the traditional theory of the State, especially German doctrine that all public law is subjective and the individualistic French doctrine. He adhered to positivism in studying the theory of the State, and therefore he affirmed that we should reject the metaphysical conception. He is critical of notions such as sovereignty and right. L. Duguit, who was influenced by Emile Durkheim's theory of social solidarity, tried to establish the realistic conception of the state. L. Duguit describes that the theory of the state can be classed under two general categories, namely, the metaphysical and the realistic doctrines, then he makes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dealing with the question whether there is a jural principle which is imposed juridically upon the State. There is the unsolvable dilemma between the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juridical limitation of the powers of the State. His work begins to solve that kind of problem. L. Duguit continued to assert that those who in fact hold the power do not have a subjective right of public power; but they are under the obligation to employ their power to organize public service, to assure and to control its development. He challenged to traditional theories and authority, thus he wanted to resolve a conflict that is prevalent in reality of society by his realistic doctrines. His theory is well worth considering today in Korea, because we also need a solution that can help unify us from our political divide and conflic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7 | 0.693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