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내 그린캠퍼스 추진현황 연구- 관련제도 고찰과 전국 대학교의 추진실태 조사 - = The Current Status of the Green Campus Promotion in Korea - Review on Systematical Assistance and Survey about Universities' Implementation -
In order to propose the materials and offer the diffusion methods to implement the green campus domestically,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current status of the green campus promotion in Korea through a review of the systematical assistance and a survey about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systematical assistance, we reviewed the related current regulations, organizations, and green campus supporting projects. After developing the survey instrument, a survey was proceeded through the electronic official letter and online questionnaire. The implementation elements were 72 and the respondents were 92 universities. As results, the portion of implementing respondents was 2.2~72.8(average 22.3)% each element, and the number of implemented elements was 0~53(average 16.1) each university. These show that the level of university’s implementation was low. The background factors of it include the systematical obligation, selection of the green campus supporting project, and the will of university’s executives and etc. Therefore, the system amendment and establishment, the perception diffusion, the active use of supporting systems, and etc. are necessary.
더보기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그린캠퍼스 추진확산을 위한 자료제공의 일환으로, 그린캠퍼스 관련 제도에 대한 고찰과 전국 대학교의 그린캠퍼스 추진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그린캠퍼스 추진현황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제도적 현황 중, 현행 법규 및 제도에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등의 적용대상에 국공립대학, 일부제도에 사립대학이 해당되어 있을 뿐 그린캠퍼스 추진을 위한 특정 제도는 없었으며, 관련 단체들은 캠퍼스 또는 총장, 유관단체가 회원이 되는 협의회 성격이었다. 관련 지원사업은 환경부, 서울시, 경기도에서 진행중인데, 학교별로 전반적인 그린캠퍼스 사업을 추진하기에는 지원액수가 매우 적은 실정이었다. 전국 대학교를 대상으로 그린캠퍼스 추진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2개 응답학교의 추진요소별 추진정도는 전체 평균은 20.5개교(22.3%)로 나타났고, 응답학교별 추진정도는 72개 추진요소 중 평균 16.1개(22.3%)로 나타나, 추진요소별 추진정도와 응답학교별 추진정도 모두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전체응답학교에서 실시비율이 높게 나타난 추진요소의 배경요인은 현행 법규의 의무조항, 필요성에 대한 인식 등으로 분석되었다. 그린캠퍼스 조성사업 선정학교에서 미선정학교보다 실시비율이 월등히 높은 추진요소들이 다수 있어 사업진행의 중요성을 알 수 있으며, 그린캠퍼스 추진을 위한 선행요소, 저예산으로 추진가능한 요소, 사업계획서 평가항목과 유관한 요소의 실시비율이 높았고, 추진이 용이하지 않은 요소 중에서도 실시비율이 높게 나타난 항목은 대학 운영진의 관심과 의지, 조성사업에 의한 기술지원 등이 배경요인으로 생각된다. 실시비율이 낮게 나타난 추진요소의 배경요인은 많은 예산과 준비기간 필요, 보편화되지 않은 개념, 전담인력이나 관련정보의 미흡 등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그린캠퍼스 추진 관련 자유의견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그린캠퍼스 추진지원(예산편성, 제도마련), 포스트그린캠퍼스 추진, 정부의 그린캠퍼스 관리주체 일원화, 교육부 구조개혁평가에 그린캠퍼스 항목추가’의 필요성이 가장 많이 제기된 결과와 유관하다. 따라서 국내 그린캠퍼스 추진확산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각 학교 측면에서는, 그린캠퍼스 추진정도가 낮은 실태이므로 추진을 확산하기 위해 대학운영진이 의지를 가지고 예산을 편성하고 그린캠퍼스를 전담할 담당부서를 조직하여 종합장기계획을 수립하는 등 선행요소부터 진행하며, 지원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물부문의 에너지사용 감축을 위해 그린리모델링,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등이 핵심요소임을 인식하고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성원의 참여와 실천에 의해 저예산으로 실시할 수 있는 추진요소의 우선시작을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2) 정책적 측면에서는, 현행 법규의 의무조항에 해당하는 추진요소는 실시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그린캠퍼스 관련 제도를 정비․신설하는 것이 중요하고,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의 활용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므로 지원제도에 대한 적극홍보, 그린캠퍼스 및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인식 확산을 위해 교육, 캠페인 등의 실시를 제안한다. 그린캠퍼스 조성사업은 현재 환경부, 서울시, 경기도에서만 시행하는 그린캠퍼 ...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6 | 0.868 | 0.2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