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본 인터넷 신문 어휘 분석 = Analysis of the Vocabulary of Online Newspapers in Japan - Focusing on Business Articles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일본어문학(Journal of the society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Japan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주제어
KDC
83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40(2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本稿では日本インターネット新聞におけるビジネス記事を対象にして品 詞別、語種別の使用様相を中心に語彙分析を行った。その結果は次のよう である。
まず、一つ目は品詞別の使用様相を見ると、名詞の使用率が一番高く、次いで動詞、な形容詞、い形容詞の順に用いられ、新聞のビジネス記事で は主に名詞が使用されていると言える。第二に、名詞は経済と関連のある 語彙の使用率が高く、同じ語彙が使われているより多様な語彙が使われて いると言える。第三に、動詞は動作性名詞とよく用いられる「する」の使用 率が圧倒的に高かった。なお、日常生活語彙だけでなくビジネス関連語彙 の使用率も高かった。第四として、な形容詞は日常生活語彙が主に使用さ れ名詞に比べ、同じ語彙の使用が多かった。第五として、い形容詞は「高い」 の使用率が高く、数や量、価格などを表す語彙の出現頻度が高かった。最 後に、語種別の使用様相を見ると、漢語の使用率が一番高く、次いで和語
が よく使われている。また、外来語、混種語の順に低い比率で表われてい る。なお、名詞とな形容詞の語種別の使用率を見ると、名詞、な形容詞と も漢語の使用率が60-70%以上示しており、和語は20-30%の使用率を示 し、ビジネスの名詞とな形容詞の用語は漢語の使用率が高いと言える。
In this article, we discuss business articles in online newspapers in Japan, presenting an analysis of the vocabulary in terms of parts of speech and word typ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our part-of-speech analysis indicates that the frequency of nouns is the highest, followed by verbs, na -adjectives, and i -adjectives in this order. Secondly,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noun is concerned with business, with a number of instances of different words (rather than the continuous occurrences of the same words). Thirdly, as for verbs, the light verb construction, where suru co-occurs with action nouns, is most frequently attested. Incidentally, not only the vocabulary of everyday life but also the business vocabulary are frequently used. Fourthly, the most frequently attested type of na -adjectives concerns the vocabulary of everyday life, and compared with the case of nouns,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same na -adjectives are repeatedly used. Fifthly, the most frequently used i -adjective is takai ‘high,’ and other oft-attested i -adjectives are those expressing number, quantity, and price. Finally, our analysis based on word-type distinctions indicates that “kango” is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wago,” “konshugo,” and “gairaigo.” Incidentally, the usage ratios of nouns and na -adjectives to these word types are as follows; nouns and na -adjectives of “kanji”-type account for 60~70%, while those of “wago” type account for 20~30%, the latter of which suggests that business-related nouns and na - adjectives are most frequently utilized in “kango” form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