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제주 청년문화예술의 현황과 과제 = Present Status and Challenges of Youth Culture and Art in Jeju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9-139(31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oday, youth and youth culture and art have expanded its span of discourse without clarifying their concepts in Korea. The local government even considered this a new growth engine of the region.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have established various systems and policies and promoted diverse projects to foster and support youth culture and art. In addition to promoting these projects, research on youth culture and art was conducted once a year from 2017 to 2019 in Jeju. Although these studies were individual studies, the results of each FGI and survey were summariz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local youth culture and art. In Jeju area, various programs and policies were established to promote and support youth culture and arts, and these projects contributed to revitalizing youth culture and arts activities. Young artists and culture activists showed their willingness to enhance their capacity through networking, exchange, mentoring, and education, even in difficult conditions such as economic problems and lack of space. The contents of youth cultural arts are based on personality, taste, and everyday life rather than being included in the traditional genre of cultural arts. The form was also diverse, including lectures, seminars, and free talks. The main purpose of pursuing youth culture and arts was to achieve internal satisfaction such as self-realization of individuals, but as the number of active careers increased, the scope of interest expanded as contribution to community development. Two future tasks of youth culture and art were suggested; It should be an open space containing the value of diversit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ocial roles in the community.
더보기오늘날 전국 지자체에서는 청년과 청년문화 육성 및 지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여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청년문화의 역할과 필요성에 이목이 집중된 데 비해 청년문화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명확히 하지 못한 채 담론의 폭이 확장되어 온 측면이 적지 않다. 제주에서도 여러 사업을 추진하여 지역 청년문화예술 활성화에 기여해 왔는데 사업과 더불어 연구를 지속적으로 병행한 점이 특별하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한 차례씩 이루어진 일련의 연구는 각각 개별 목적을 지닌 연구였지만 이들 연구의 FGI 및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는 일은 지역 청년문화예술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세 편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제주 청년문화예술은 개성, 취향, 일상에 관심을 두고 있고 경제적 문제와 공간의 부족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발전을 위한 의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내적 만족감 추구와 더불어 지역사회 발전에의 기여로 관심의 폭이 확장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향후 청년문화예술의 과제로는 다양성의 가치를 담아내는 열린 공간이어야 하며 지역사회 안에서의 사회적 역할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9-04-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ju Studies -> Society for Jeju Studies | KCI후보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