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자기개방과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How to affect Self-Openn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for Group Art Therap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48(22쪽)
KCI 피인용횟수
12
제공처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Group Art Therapy affects self-openness of mother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which subjects are eighteen mothers who have a kindergarten child (nine of them are in a controlled group, the others are in an empirical group). This Group Art Therapy was carried out once a week, about ninety minutes, and thirteen times totally.
Measuring apparatuses are Openness Scal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K-HTP (Kinetic-House-Tree-Person) and t-test was implemented to grasp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SPSS 10.0.
Here co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n Openness Scal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the empirical group has made a good high score but the controlled group has made little difference after Group Art Therapy.
Second, analysing K-HTP has showed that there was lack of openness in drawing houses before Group Art Therapy, and that most of group members developed openness after Group Art Therapy. In case of drawing trees, desire and energy became weak after Group Art Therapy and scattered to a family while desire and energy were high before Group Art Therapy. In case of drawing people, all the family members were showed on the picture and they did something or looked at one another, while the person just did something alone before Group Art Therapy.
As all the group members expressed their emotions directly and/or indirectly in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they had the desire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cognition for themselves. And they have also gotten to know the advantage of self-openness, accordingly they have expected the advantage of self-openness to give them a better Mother-Child Interaction,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 life. As the result, these positive changes could make Group Art Therapy to attain its goal.
본 연구는 J시에 거주해 있는 유치원 자모 18명(통제집단 9명과 실험집단 9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자기개방과 모자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주 1회 90분 정도로, 13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개방성 척도(Openness Scale)와 모자상호작용 척도(Parent-Child Interaction :PCI), K-HTP(Kinetic-House-Tree-Person) 검사이며,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0.0을 이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개방성과 상호작용의 척도에서 통제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에 실험군에서는 개방성과 상호작용점수가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에 높은 점수가 나타나 어머니의 개방성과 상호작용이 증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전체적으로 K-HTP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집그림에서는 개방성의 변화가 보이지 않았으나 나무그림에서 사전에는 자신의 욕구와 에너지가 큰 반면에 사후에서는 자신의 의지와 욕구가 약해지면서 타인을 받아들이는 여지가 많이 생겼다고도 할 수 있겠다. 그 에너지가 가족으로 분산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사람그림에서의 사전그림에서는 거의가 혼자 무엇을 하고 있는 모습이었는데 사후그림에서는 가족전체가 등장해서 무엇을 하든지 서로 마주보는 모습으로 나타나서 상호작용이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집단구성원들 자신의 평가에서도 자신의 초기 K-HTP와 후기 K-HTP그림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자신의 그림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자신의 문제점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8 | 0.92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