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이론의 철학적 위치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75.2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4-372(1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을 위해 과학적 세계관 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과학이론들이 철학적으로 어 떤 위치에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그동안 통 상적으로, 인식론과 방법론을 주로 다루어왔던 과학교 육을, 존재론, 즉 형이상학의 믿음의 문제로 확장시키 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의 마음과 는 독립적으로, 고정되고 변화하지 않는 객관적인 과 학지식이 존재한다는 형이상학적 믿음의, 강한 결정론 으로 정의된 물리적 실재론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Newton, Einstein, Schridinger가 정립한 동역학 의 자연법칙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수학 화’라고 할 수 있다. Einstein도 상대성이론을 통하여 전통적인 견 해를 어느 정도 흔들어 놓았으나 그의 이론은 여전히 전통적인 사고에 가까웠다. 이와는 반대로, 이러한 엄 격한 결정론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가능성’, ‘우연’ 과 같은 의인화 된 개념이 필요하다. 고전적으로 강한 결정론적 사상으로부터 약한 결정론인 우연적인 사고 인 확률론으로의 변화와 자연주의적 관점으로 과학이 론의 변화를 주도하는 현대의 과학적 세계관의 특징이 다. 이는 Darwin의 진화론과 양자역학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존재론적 세계관을 정당화 하는 세 종류의 인식론적 세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바로 합리주의, 경험주의 그리고 자연주의다. 과학교 육은 우리가 교육현장에서 다루는 과학 이론이 어떤 형이상학적 믿음에 기반을 두었는지 많은 경우 말하고 있지 않다. 또한 과학교육은 과학 지식의 이해에만 초 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학습한 지식의 앎이라는 것 과 학습자 자신의 형이상학적 믿음인 세계관과 연결되 어 있을 때만 진정한 지식을 이해를 가져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과학교육은 다양한 과학이 론들을 과학적 세계관과 철학적 위치에 기초하여 연결 시키고 이를 학생들에게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position of various scientific theories based on the scientific worldviews for science education. In addition, it aims to expand science education, which has usually dealt with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to ontology, that is, to the problem of metaphysics. It can be said that there exists a physical realism, traditionally defined as a strong determinism of the metaphysical belief. That is fixed and unchanging objective scientific knowledge independent of our minds, which was established by Newton, Einstein and Schridinger. What can be seen in the natural laws of dynamics can be called 'mathematicization'. Einstein also shook the traditional views to some extent through the theory of relativity, but his theory was still close to traditional thinking. On the contrary, to escape from this rigid determinism, we need anthropomorphic concepts such as 'possibility' and 'chance'.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scientific worldviews that leads the change of scientific theory from a classically strong deterministic thought to a weak deterministic accidental accident, probability theory, and a naturalistic point of view. This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nd quantum mechanics. We can have three types of epistemological worlds that justify this ontological worldviews. These are rationalism, empiricism and naturalism. In many cases, science education does not tell us what kind of metaphysical beliefs the scientific theories we deal with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based on. Also, science education focuses only on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rue knowledge can bring understanding only when it is connected to the knowledge of learned knowledge and the learner's own metaphysical belief in the world. Therefore, in the future, science education needs to connect various scientific theories based on scientific worldviews and philosophical position and present them to student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