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Three Dimensional Ecological Agriculture of Tan Can(谈参) - A Window of China’s Agricultural Marketiz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KDC
34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1-162(2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16세기 전반기 명(明)의 강남 지역에서는 농업의 상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이 시기 깅남에서 활동한 담참(談參)형제의 농장 관리에 관한 기록은 당시 사회경제 발전 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담참(談參)형제는 일반 농민들이 방기(放棄)한 수많은 황무지를 구입하고 노동자를 고용하여 지형에 따라 토질을 개선하여 각종 곡물, 어류, 돼지, 닭, 수예(樹藝), 채소재배 등을 혼합한 3차원적 생태농장을 건설하였다. 즉 폐기물을 활용 하는 먹이 사슬을 통해 입체적 생태농업을 실현했던 것이다. 또한 시장과의 거리 및 이윤 등을 고려하여 생산 활동을 조절함으로써 각 단계의 생산에 있어서 경제적 이익 을 극대화하여 몇 배의 수익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색다른 농업 생산 활동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이들 담참(談 參)형제는 축적한 부를 활용하여 다양한 공익활동을 통해 사회 환원을 실현하였다. 예 를 들면, 많은 재부(財富)를 기부하여 왜구(倭寇)에 대항하기 위한 성벽 축조에 참여하 였으며, 제방, 교각, 도로의 건설을 주도하였고, 적극적 구휼(救恤)활동 등을 통해 주변 의 칭송을 얻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들 형제의 생태농경 방법과 행적이 『戒庵老人漫笔』등의 각종 문집에 기록되어 후세의 생태농업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더보기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e in Jiangnan area of the Ming Empire developed rapidly. The records of Tan Can brothers' farm management in historical materials are an important window for us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t that time. Tan Can brothers bought a large number of wasteland abandoned by peasants, hired laborers to transform it according to the terrain and soil quality, and built a three-dimensional ecological farm integrating grain, fish, pig, chicken, tree art, vegetable and many other functions, realized the utilization of waste through food chain. Meanwhile, the space level was also used, too. They arranged production according to the market and profits, and the economic benefits of all kinds of operations increased several times, and soon became rich. After becoming rich, Tan Can brothers donated a lot of money to resist Japanese pirates, build city walls and dikes, build bridges and roads, and help the poor, which won praise from the villagers and the government. Therefore, historians paid attention to them and recorded their deed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