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지역무용가의 역할과 필요 역량 -안동의 문화정책과 한국예총 안동지회 활동을 중심으로- = The Role and Necessary Competencies of Local Dancer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Focusing on Andong Cultural Policy and the Activities of Andong branch of FAC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5-180(26쪽)
제공처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무용가들의 역할 및 역량 강화가 지역문화 발전에 미칠 수 있는 영향 관련 연구이다. 이를 위해 안동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무용가들과 인터뷰를 통해 지역무용이 보수적·위계적이란 문제의식과 지역문화 발전의 중심적 역할 그리고 점진적 변화를 이룰 필요역량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자기 내러티브 탐구(self-narrative research)를 통한 연구 설계 그리고 이상적 사례선택(ideal case selection)을 통한 인터뷰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한국의 대학무용교육은 실효성에 대한 위협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으며, 정부의 대학정책으로 인해 지역예술은 고령화되고 있다. 안동지역은 전통문화 보전과 지역 특색을 살리는 문화 발전에 중점을 둔 문화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문화예술의 질적 향상이나 시대적 요구에 맞춘 변화를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한국예총 안동지회 역시 지역예술의 발전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젊은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도 부족하였다. 결론: 지역무용가들은 서로 경청하는 자세와 포용력이 지역문화의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역량이라고 지목하였다. 그리고 무용지부 자체 사업을 통한 사회적 기여와 대도시로 나간 지역 출신 젊은 무용가를 안동에 재유입 시키고 이들에게 다양한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더보기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nhancing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local dancers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The study explored the contents of problem consciousness, roles, and necessary competencies through interviews with dancers working in Andong.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literature review, self-narrative research for research design, and interviews with ideal case selection. Result: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dance education in Korea is currently under threat, and local arts are aging due to the government’s university policy. In Andong, cultural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hat focus on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ing culture that reflects lo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se policies have limitation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culture and arts or bringing about chang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dditionally, the Andong Branch of FACO(the Federation of Artistic & Cultural Organization of Korea) lacked a role that was faithful to the concerns and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arts, and its efforts were insufficient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young artists could freely operate. Conclusion: Local dancers recognized listening and tolerance as important competencies.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ribution through the dance department's own projects and the role of attracting young artists and providing them with various opportunit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