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시단의 형성 과정 = A Process of Establishing the Poetical Circles in Jeonbu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6-170(75쪽)
제공처
이 논문은 필자가 이미 발표했던 전북 지역의 아동문단, 평단의 형성 과정을 잇는 기획이다. 전북 지역의 시단은 한시단, 시단, 시조단을 아울러 부른다. 한시단의 중심을 이루는 시회는 조선시대부터 내려온 시단의 모체이다. 시회는 지역의 벼슬아치와 유생들이 주도하였다. 그런 까닭에 한시의 작자는 관료와 관변 유생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시단은 일본 유학생들이 선도하였다. 그들에 의하여 시의 근대화가 앞당겨졌고, 지역에서는 청년들이 호응하며 시단을 이루기 시작했다. 전북의 시단에서 운동가-작가들이 다수를 차지하게 된 배경이다. 일제가 사상운동을 탄압하자, 시를 생산하던 움직임이 잦아들었다. 그 틈에 운동권과 거리를 둔 전문직 시인이 출현하여 시단에 포진하게 되었다.
시조단은 한시와 결별하면서 근대적 자질을 받아들이며 형성되었다. 식민지에서 벌어졌던 시조부흥운동이 혁신을 강조하고, 형식의 실험을 추구하느라 부산했다. 시조가 근대성을 수용한다는 명분하에 전래되던 창의 자질을 폐기하고 독물로 탈바꿈하였다. 이것은 근대시의 행로를 좇다가 전통적 자질을 잃어버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전라북도의 시단은 위의 성과에 힘입어 형성되었다. 지금도 전주를 비롯한 각 지에는 시회가 결성되어 활동한다. 시인들은 시인협회를 조직하고, 시조인들은 동인지를 발행하며 전대에 이룩한 기반을 윤택하게 만들고 있다.철도 결절점인 이리역은 채만식의 소설 「소년은 자란다」에서 해방 후 귀국하는 전재민들의 고난과 상봉의 공간으로 형상화되었다. 박범신은 더러운 책상에서 유명한 성매매 장소인 ‘철인동’을 통해 이리를 부박한 공간으로 표현했다. 김남중은 기찻길 옆 동네에서 1977년 이리역 폭발사고를 통해 ‘이리’를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원지 ‘광주’와 이어지는 징검다리로 이해했다.
This thesis is part of the plan to continu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hildren’s literary circles and critique circles in the Jeollabukdo area in connection with the previously presented articles by this writer. The poetical circles of the Jeollabukdo area is a comprehensive name encompassing sino-Korean poetry circles, poetical circles and Sijo(traditional three-verse[-stanza] Korean poem) circles. The poem and painting formed around the sino-Korean poetry circles was the mother nature of the poetical circles that has handed down from the Joseon Era. The poetry club was led by the bureaucrats and scholars in the region. Because of this attribute, the Sino-Korean poetry writers were mostly the bureaucrats and government students.
The poetical circles were led by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They advanced the modernization of poetry sooner and the youths responded in the regions to begin the formation of poetical circles. In the poetical circles of Jeonbuk, it was the background for activists and authors to take the majority. With the Japanese imperialists oppressing the ideological movement, the movement to product poems began to decline. In between times, there appeared specialized poets who were distanced from the social activists to take their positions in the poetical circles.
By parting away from the sino-Korean poetry, this Sijo circles was established with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attributes. The Sijo revitalization movement that began in the colonial regions emphasized the reformation and busy in pursuit of experiment for style. Under the justification that the Sijo accommodated the modernism, the attributes of Chang(traditional vocal songs) that has been handed down was abolished and turned it into a poison. This is not desirable in the point that the traditional attributes have been lost by following the path of modern poetry.
The poetical circles of Jeollabukdo was established with the above-mentioned accomplishment. The poetry club is established and active in Jeonju and various regions even now. The poets organized the association of pets and the specialists in Sijo published the journals to further advance the foundation that was established by the earlier genera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