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의 소리문화로서 소리풍경 사업의 추진 현황과 의의 - 일본의 소리풍경 사업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지역의 소리문화로서 소리환경 자원의 발굴을 위한 소리풍경 사업의 목표와 과정 및 체계 등을 명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의 행정기 관이나 지역단체가 공모와 선정 과정을 거쳐 실시한 19개 지역의 소리풍경 사업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지역의 소리풍경 사업의 추진 현황과 목표, 공고와 선정 및 홍보 등에 이르는 과정과 그 안에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여, 한국의 소리풍경 사업을 추진할 경우 어떠한 목표와 방법으로 전개 해 나아갈 것인지 고찰하였다. 사업의 목표는 지역 주민들에게 주변의 소리를 깨닫게 하여 소리에 대한 관심과 환경에 대한 의식을 고양하는 것, 그리고 주변의 소리와의 관계를 의식하는 가운데 지역 고유의 소리가 들리는 소중한 환 경을 보전⋅계승하는 것이다. 선정 기준은 자연⋅풍토, 역사⋅전통, 산업⋅생활 등의 문화를 잘 간직하고 지역 고유의 정체성⋅상징성이 있는 소리풍경일 것, 소리환경과 사람들과의 관계 및 소리풍경의 다양성과 지역적 균형을 배려하는 것, 그리고 지역 주민과 지자체에서의 소리풍경 사업에 대한 열의와 지속적 활 동의 여부이다. 우리나라에서 지역의 소리풍경 사업이 각지에서 활발하게 전개 되어 소리를 둘러싼 지역 문화의 보전 및 활동을 통해 지역다움을 끌어내고 마을만들기로 연계되어 지역의 문화와 관광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goals, processes, and systems of the soundscape project to discover sound environment resources as a regional sound culture. Data on soundscape projects in 19 regions carried out by Japanese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organizations through the public contest and selection proces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goals, public announcement, selection, promotion, and the implicit meaning of the regional soundscape project, it was considered what goals and methods to develop when promoting the soundscape project in Korea. The goals of the project are to promote interest in sound and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by making local residents realize the surrounding sound, and to preserve and inherit the precious environment in which local sounds are heard while being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soun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oundscapes that have well-preserved nature/climate, history/traditions, industry/lifestyle culture, and have a unique regional identity and symbolism;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environment and people, as well as the diversity and regional balance of the soundscape; and the enthusiasm and sustained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and municipalities for the soundscape project. It is hoped that local soundscape projects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in various places in Korea, bringing out regionality through preservation and activities of local culture surrounding sound, and linking it to village creation, thereby revitalizing local culture and tourism.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