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가결산 실적수정과 이에 대한 정정공시의 결정요인 = Earnings Revisions in Final Announcements from Preliminary Release: Determinant of Corrective Disclosure
저자
강내철 (홍익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5-178(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Firms should disclose their preliminary earnings as soon as internal process of prepar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are ended to obey the disclosure requirement of supervisory institution. This is for reliev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s and the stakeholder. By the way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very often after an audit. Furthermore, despite the preliminary earnings is revised, almost of firms are not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It would be advisable to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on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However it is not mandatory for firms to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It is discretion of firm whether or not to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over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Some firms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that their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after audit while others do not. The decision on whether or not to make corrective disclosure over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is significant in the point of information asymmetry. It is important to make a voluntary corrective disclosure over revision of preliminary earnings in that it can help to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If firms do not disclose the fact that preliminary earnings are revised, most investors would be unaware of earnings revision until final earnings are announced in annual report. Furthermore this can give some investors opportunity for arbitrage trading. Like this, undisclosed information can irrigate information asymmetry and cause problem of adverse selection. Stakeholder are concerned about firms’ disclosure quality. They worried that firms are trying deceive them by revise preliminary releases furtively, and omit a corrective disclosure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is revised. If that is true, the purport of supervisory authority to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by timely disclosure of preliminary releases would be damaged.
The situation that a piece of firms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in time whereas most of firms do not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when the preliminary releases is revised provoke the reason why some firms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whereas other firms do not.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s of voluntary corrective disclosure and meanings of corrective disclosure through market response to news of earnings revision. The data of 4,669 firm-year for 7 years(2012∼2018) are analyzed. It is predicted that a materiality of earnings revision, information asymmetry, litigation risk and accounting complexity could explain determinants of voluntary corrective disclosure.
The dependant variable is measured with dummy variable which gets 1 if a firm make a corrective disclosure, otherwise 0. The materiality is measured in two ways with absolute magnitude of earnings revision and qualitative materiality of earnings revision. The latter is dummy variable which gets 1 if the sign of earnings numbers has turned after earnings revision, otherwise 0. An information asymmetry exasperates an information cost which in turn undervalues a market valuation of firm. Therefore undervalued firms trying active policy in information disclosure to mitigate the information asymmetry. These activities would be result in a voluntary corrective disclosure of earnings revision. An information asymmetry is measured with three variables; a book-to-market ratio, a numbers of financial analysts who present a earnings forecast of the firm and share of foreign investors. A firm which has risk averse members in board of director or conservative auditor are more sensitive in disclosing corporate information to alleviate litigation risk. A litigation risk is measured with two variables; a ratio of numbers of outside director to total numbers of board member and an excess audit hour, a difference between actual audit hour and normal audit hour. An accounting complexity makes delay in announcement of preliminary earnings numbers which in tur...
기업들은 감독당국의 공시요구에 따라 혹은 외부이해관계자들에게 신속히 기업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가결산 실적을 공시한다. 그러나 이것은 감사되지 않은 수치이므로 사후에 수정될 수 있고 실제로 수정이 자주 발생한다. 수정된 실적은 중요한 투자정보이므로 적시에 외부에 공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적수정에 대한 정정공시는 의무가 아니며 기업의 자율적 선택에 따른다. 이로 인해 실적이 수정되었더라도 정정공시를 누락하는 기업이 더 많은 상황이다. 실적이 수정되었을 때 이에 대한 정정공시를 하는지 여부는 정보비대칭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정정공시가 없으면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나중에 최종재무제표가 발표되어서야 이를 알게 된다. 반면 어떤 투자자는 미공개정보를 이용하여 차익거래의 기회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가결산 실적이 수정되었는데 이에 대한 정정공시가 없으면 정보비대칭이 악화되고 역 선택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결산 실적이 수정되었을 때 어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정정공시를 선택하는지 정정공시의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최근 7년(2012년~2018년)간 가결산 실적이 수정된 상장기업 공시자료 4,669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결산 실적이 수정되었을 때 이에 대한 정정공시를 선택하는 결정요인으로 수정의 중요성, 정보비대칭, 소송위험, 회계복잡성 등을 제시하였다. 분석에 의하면 이 요인들은 가결산 실적수정이 있을 때 이에 대한 자발적인 정정공시를 선택할 가능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회계와 감사 연구 -> 회계ㆍ세무와 감사 연구외국어명 : Accounting & Auditing Research -> Study on Accounting, Taxation & Auditing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6-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Accounting & Auditing Research | KCI등재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회계와 감사 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5 | 1.05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23 | 2.16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