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피부미용사의 위생지식 수준이 위생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5-293(9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피부미용은 다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업무특성상 질병에 대한 고객 감수성을 조절하기 힘든 직군 중에 하나이다. 또한 작업 시 사용하는 각종 도구와 물품 및 재료들은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피부미용사의 철저한 위생관리 실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위생지식 수준과 위생 실천도를 알아보고, 두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피부미용사의 위생수준 함양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소재의 피부미용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7일부터 6월 29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생 실천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결과 총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요인 1 ‘제품의 위생관리’ 요인 2는 ‘피부관리사의 개인위생’, 요인 3은 ‘용품의 위생관리’, 요인 4는 ‘피부미용기구의 위생관리’로 명명하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40-50세 미만 100명(41.2%), 결혼여부는 기혼 213명(87.7%), 학력은 전문대 졸업 100명(41.2%),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 98명(40.3%), 자격증 종류는 미용사(피부) 203명(83.5%), 경력은 10년 이상 109명 (44.9%)으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지식 수준 및 위생 실천도 차이는 먼저 위생지식 수준은 평균 7.36점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지식 수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위생 실천도는 평균 3.72점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 실천도는 최종학력, 취득자격 종류,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넷째, 피부미용사들의 위생지식 수준이 위생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은 위생지식 수준과 용품 · 제품 · 피부미용기구 · 피부관리사의 개인 위생관리 실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피부미용사의 위생지식 수준이 높아지면 위생 실천도의 하위요인별 용품의 위생관리, 제품의 위생관리, 피부미용기구의 위생관리, 피부관리사의 개인위생 실천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미용사들의 위생지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컨텐츠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sthetics which work is done to many people, it is a field of work that shows difficulty in controlling customer sentiment towards disease. Also, various tools, materials and equipment used for work may be causes of infection, so the necessity of strict hygiene practice of estheticians is increasing. This study would like to study the levels of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practice of estheticians and figure 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factors. Afterwards, it aims to provide a basic standard for enhancing hygiene levels of esthetician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300 estheticians residing in the Gwangju City, South Jeolla Province from 4/17/2017 to 6/29/2017 based on self-answering survey. The accumulated data was then analyzed utilizing the SPSS v.21.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fter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processes,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of al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checks on hygiene practice deducted 4 factors.
1st factor was ‘hygiene management of products’, 2nd factor wa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3rd factor was ‘hygiene management of equipment,’and 4th factor was ‘hygiene levels of esthetics tools’.
Secondly, in the general character study of research subjects, 100 people aged 40-50 (41.2%), married people (87.7%), 100 with community college level education (41.2%), 98 earning monthly salary of 2-3 million KRW (40.3%) were the highest ranking groups. Certificates related to esthetics included 203 people with esthetics (skincare) certificate (83.5%). Also, 109 people had a 10 year or longer experience in the field(44.9%).
Thirdly,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hygiene knowledge and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 the average score for hygiene knowledge was 7.36,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p〉.05). The average score for hygiene practice was 3.72, 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levels of final education, types of certificates and experiences(p〈.05).
Fourth, the effect of hygiene knowledge of estheticians on hygiene practice had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in the factors of hygiene knowledge and hygiene practices of product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equipment and tools(p〈.001).
Therefore, it could be summarized that when the hygiene knowledge level of estheticians’ increases, the resulting hygiene practices of products, personal hygiene of estheticians, equipment and tools could also increase. Accordingly,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aimed at enhancing the hygiene knowledge levels of estheticians are neede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