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사주에 관한 의식 및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Korean People's Awareness of Saju and Influential Facto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97(35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Saju-myungri is a discipline that is built on Asian way of thinking. That is deeply rooted in the unconscious of Korean people and is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cognitiv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ju awareness of people in general in our country by conducting a survey and making an empirical analysis, and to investigat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ir awareness of Saju.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elected male and female adults who were at the ages of 20 and up and resided in the region of Busan as of 2014.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answer sheets from 270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had consulted a fortuneteller once or more. They thought that Saju would affect important matters in life, and that inborn destiny such as Saju would impact on critical matters in life as well. Second, as for a pervasive trend in the factors of Saju awareness, they gave the best marks to the value of Saju, which implied that the scientific and academic value and accuracy of Saju were acknowledged, and that there was consequently a favorable change in the former way of looking at Saju as a superstition. Third, gender was found not to have affected Saju awareness. Age exercised an influence on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and the factor of Saju cognition among the elements of Saju awareness, and educational level had an impact on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and the factor of Saju behavior. Occupation exerted an influence on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and the factor of Saju attitude. Monthly mean income affected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and the factor of Saju sensitivity, and marital status had an impact on the factor of Saju knowledge, the factor of Saju sensitivity and the factor of Saju value.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how people in general in our country perceived Saju and whic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ed it. As it's found that Saju-myungrihak exerted a huge influence on the awareness and lifestyles of Korean people, how Saju can be accepted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that explains social phenomena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and ex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Saju-myungrihak to lay the solid groundwork for that.
더보기사주명리는 동양적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한 학문으로서, 한국인의 기층 인식체계를 이루는 일부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일반인들의 사주에 관한 의식을 파악하고,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주의식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현재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남녀로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총 27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한번쯤은 정식으로 사주를 본 경험이 있으며, 삶의 중요한 문제나 과업에 대해 사주가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사주와 같은 선천성이 삶의 중요한 문제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사주의식 요인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에서 사주가치에 대한 평균값이 가장 높아, 사주의 과학적, 학문적 가치와 정확성을 인정하여, 사주를 미신으로 치부하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별은 사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사주의식의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인식 요인에, 교육수준은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행동 요인에, 직업은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태도 요인에, 월 평균소득은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감성 요인에, 결혼여부는 사주의식의 사주지식 요인과 사주감성 요인, 사주가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일반인들의 사주에 관한 의식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영향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사주명리학이 한국인의 의식과 생활양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주가 사회현상의 근간이 되는 철학적 원리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사주명리학의 저변 확대를 위한 기초연구도 보다 다양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