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세석기제작의 기술 특징과 변화 양상 =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Microlithic technology in Kore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후기 구석기시대에 출현하는 한국의 세석기문화는 다양한 세석핵 형태를 통하여 기술적 특징을 살펴볼 수있다.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약 60여 곳의 세석기유적이 확인되고 있으며, 그 중 세석핵과 세석인이 집중적으로 출토된 유적은 10여 곳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출토 세석핵을 기술적 특징으로 분류하여 각 형태에서 보이는 제작 기술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련의 세석기제작에서 확인된 석기 조합상을 검토하여 한국 세석기문화의 성격과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국에서 세석핵 형태는 Ⅰ: 쐐기형, Ⅱ: 배밑모양, Ⅲ: 능주형, Ⅳ: 새기개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기 세석인 떼기와 몸체조정 방법으로 세분 가능하다. Ⅰ형은 Ⅰa형(양면조정 몸체의 장축방향으로 세석인 떼기), Ⅰb 형(양면조정 몸체의 단축방향으로 세석인 떼기), Ⅰc형(단면조정 몸체)으로, 또한 Ⅱ형은 Ⅱa(평탄한 뗀 면 혹은 돌결·자연면 타면), Ⅱb(종장박편 혹은 삭편의 배면 타면), Ⅲ형은 Ⅲa(몸체 좁은 면에서 세석인 떼기), Ⅲ b(몸체 넓은 면에서 세석인 떼기), Ⅲc(몸체 전면에서 세석인 떼기)형으로 나누어진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세석기문화 양상에서는 석재 이용 상황에 따른 제작기술 변화과정을 찾아 볼 수 있다. 즉, 유적 인근에서 취득 가능한 재지(在地)석재로 만든 부정형 Ⅱa·Ⅲ형 세석핵으로 시작되었으며(Ⅰ기), 특정 석재의 이용에 따라 보다 길쭉하게 떼어내는 기술을 구사하는 Ⅰa형의 등장으로 발달되었다(Ⅱ기). 그리고 세립질 석재 원산지의 개발로 인해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세석핵 원형의 예비적·집중적 제작과 Ⅰb·Ⅰc형 세석핵의 등장(Ⅲ기), 마지막으로 보다 원거리 산지인 흑요석 원산지의 개발에 따라 더욱 작은 원석 재료를 이용한 Ⅲ형 세석핵 기술의 발달, 그리고 Ⅳ형 세석핵의 등장(Ⅳ기)으로 단계를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변화의 흐름을 거친 세석기 제작기술은 석재환경과 상당히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특정 석재의 선택적 이용과 석재 원산지의 개발은 세석기제작을 활성화시켰고, 석재 소비 사이클이 이동패턴의 일부로 편입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제작기술 기반이 형성되었다. 또한 석재환경 변화에 따라 적합한 세석기제작 기술이 탄생되었으며, 재료를 그대로 두지 않고 미리 세석핵 원형을 만들어 구비하는 계획적인 석재관리·소비체계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흑요석의 적극적 이용에 따라 최성기인 Ⅳ기에 들어가면 더욱 원거리까지의 이동이 가능해지면서 한국 내에서 세석기제작의 흔적이 점점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석재이용 방법의 변화가 자연 환경적 요인과 함께 한국의 세석기문화를 발전, 쇠퇴시킨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고 해석된다.

    더보기

    Microlithic culture of Korea in the Upper Paleolithic have diverse types of microroes which reflects technical characteristic for microblade production. Until now, microlithic sites in Korea discovered about 60 sites, and a few of them are prehensible the series of microblade production process. This paper attempt to group the type of microcores by characteristic of microblade production technology, and seek to consider the microlithic culture in Korea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stone assemblages and raw material using patterns.
    Type of microcore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typeⅠ is wedge-shaped microcores, type Ⅱ is boatshaped microrores, typeⅢ is conical-shaped microcores and type Ⅳ is blade-used(burin-shaped) microcores. And these types are subdivided into 8 types; Ⅰa(bifacial preparation and microblade flaking from longitudinal side), Ⅰb(bifacial preparation and microblade flaking from horizontal side), Ⅰc(unifacial preparation and microblade flaking from horizontal side), Ⅱa(cortical surface use for striking platform), Ⅱb(ventral side of microcore-spall or elongated flake use for striking platform), Ⅲ a(microblade flaking from narrow side), Ⅲb(microblade flaking from wide side) and Ⅲc(microblade flaking from whole side).
    As a result of grouping microcores, microlithic culture of Korea is divided into 4 terms. It was started with Ⅱa or Ⅲ type of microcores which made from local raw materials available nearby sites(stage Ⅰ), and developed microblade technology with appearance of Ⅰa type(stageⅡ). Through discovery of siliceous raw material sources, intensive production of microblades and microcore blanks were started with Ⅰb·Ⅰc and Ⅱb types(stageⅢ). Finally, beginning of using obsidian sources far from sites were enable to product microblade from more small size of microcores such as Ⅲ type and Ⅳ type(stageⅣ).
    These diverse change of microblade production process was closely connected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of raw material available. Especially, selective use of obsidian or fine-grain materials dynamize the microblade production and form the vase of more efficient technology. And according to change of raw material available, new production process was appeared that preparing microcore blank for organization and planning of material reduc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pioneering obsidian sources in stageⅣ, microlithic sites were gradually disappeared in Korea.

    더보기
    • 1 役重みゆき, "蘭越型細石刃石器群の技術構造" 26 : 63-105, 2012
    • 2 최복규, "홍천하화계리중석기시대유적발굴조사보고, In 中央高速道걟建設區間內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 13-244, 1992
    • 3 최성락, "함평장년리당하산유적" 목포대학교박물관 2001
    • 4 홍성수, "한탄강유역의후기구석기시대를대표하는늘거리유적" 국립문화재연구소 14-21, 2013
    • 5 大谷薰, "한반도 세석기제작 작업공정과 돌감이용 양상" 호서고고학회 (26) : 4-37, 2012
    • 6 이융조, "한국좀돌날몸돌의연구–수양개수법과의비교를중심으로–" 2 : 133-229, 1994
    • 7 장용준, "한국과 일본출토 석인과 세석인의 비교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116-166, 2015
    • 8 장용준, "한국 후기구석기의 제작기법과 편년연구 : 석인과 세석인유물상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 9 이기길,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의 종류와 성격" 호남고고학회 41 : 5-34, 2012
    • 10 이기길, "한국 서남부와 일본 큐슈의 후기구석기문화 비교 연구" 호남고고학회 25 : 5-43, 2007
    • 11 박희현, "충북제원군창내유적의문화성격-1982년도발굴결과를중심으로-"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 : 57-88, 1983
    • 12 경남고고학연구소, "진주–집현간도로확·보장공사구간내시굴조사" 2002
    • 13 부산대학교박물관, "진주–집현간4차선도로건설구간내장흥리구석기유적현장지도위원호(1차)자료"
    • 14 이기길, "진안진그늘선사유적조사개요" 131-154, 2001
    • 15 차미애, "진안 진그늘유적 후기구석기시대 석기의 공간 분포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 16 김은정, "전남지역의 좀돌날몸돌 연구 : 1990년대 이후의 유물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2
    • 17 이기길, "장흥신북유적의발굴성과와앞날의과제, In 東겗亞細亞의後期舊石器文化와長興新겗遺蹟" 20-27, 2004
    • 18 이기길, "장흥신북구석기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장흥군·익산국토관리청 2008
    • 19 崔福奎, "작은솔밭舊·中石器遺蹟" 강원대학교유적조사단 2004
    • 20 이기길, "임실하가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호남문화재연구원 2008
    • 21 大谷 薰, "일본 능주형 좀돌날몸돌의 작업공정 : 십여삼도하봉 유적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8
    • 22 김건수, "익산신막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2002
    • 23 최몽룡, "의정부민락동유적–시굴및발굴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한국토지공사서울지사 1996
    • 24 이융조, "우산리곡천구석기유적, In 住岩댐水沒地區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Ⅶ)" 전남대학교박물관 77-140, 1990
    • 25 이헌종,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 한국구석기학회 1 (1): 84-115, 2015
    • 26 이헌종,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성의 상관성 연구" 한국상고사학회 44 (44): 5-22, 2004
    • 27 이선복, "옥과구석기유적" 서울대학교박물관 1990
    • 28 이헌종, "영남지방의구석기문화" 영남고고학회 97-119, 1999
    • 29 우종윤, "연천통현리구석기유적" 한국선사문화연구원·연천군 2015
    • 30 조남철, "양구 상무룡리 유적 흑요석의 특성화 연구 - 화학성분 및 미세결정 -" 한국상고사학회 49 (49): 5-26, 2005
    • 31 이기길, "순천월평유적2001년2차발굴" 조선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순천시 2004
    • 32 이기길, "순천월평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 2002
    • 33 성춘택, "세석인제작기술과세석기" 38 : 27-61, 1998
    • 34 성춘택, "세석기전통의진화시론" 6 : 7-29, 2000
    • 35 손보기, "석장리의후기구석기시대집자리" 한국사연구회 9 : 17-57, 1973
    • 36 김성진, "석장리유적의 집자리층 출토 석기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 37 서인선, "석장리유적 출토의 좀돌날 계열 유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 38 서인선, "석장리유적 돌날과 좀돌날 제작의 기술학적 재검토 -돌감, 제작방법과 떼기기술을 중심으로-" 한국구석기학회 1 (1): 54-83, 2015
    • 39 손보기, "석장리선사문화" 동아출판사 1993
    • 40 김상태, "상무룡리Ⅱ유적의좀돌날석기" 아주대학교박물관 4 : 7-26, 1998
    • 41 장용준,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한 후기구석기시대 편년" 영남고고학회 (69) : 4-46, 2014
    • 42 장용준, "밀양 고례리유적 몸돌(석핵)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 43 국립대구박물관, "머나먼진화의여정사람과돌"
    • 44 이해용, "동해기곡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 2005
    • 45 이헌종, "동북아시아후기구석기최말기의성격과문화변동에관한연구" 한국고고학회 39 : 53-88, 1998
    • 46 한창균, "대전노은동유적" 한남대학교중앙박물관 2003
    • 47 이융조, "단양수양개유적발굴조사보고, In 忠州댐水沒地區文化遺蹟發掘調査延長報告書" 충북대학교박물관 104-252, 1985
    • 48 홍미영, "남양주호평동구석기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8
    • 49 양정석, "남양주덕소유적" 수원대학교박물관·동부건설 2008
    • 50 이선복, "괟仁坪倉里舊石器遺蹟" 서울대학교 2000
    • 51 한창균, "광주삼리구석기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3
    • 52 寺崎康史, "겗海道細石刃石器群理解への一試걩" 8 : 71-88, 1999
    • 53 안춘배, "거창임불리유적발굴진전보고" 한국고고학회 1988
    • 54 최승엽, "강원지역의구석기고고학" 서경문화사 2010
    • 55 木村英明, "黑曜石原産地遺跡·「白瀧コ–ド」を讀み解く─幌加澤遺跡遠間地点の發掘調査と硏究─" 六一書房 2012
    • 56 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 "高陽德耳洞舊石器遺蹟"
    • 57 이영철, "高興寒東遺蹟" 호남문화재연구원 2006
    • 58 大谷薰, "韓半島細石器石器群における作業궋程の復元と遺跡構造についての一考察" 日本舊石器學會 6 : 107-118, 2010
    • 59 장용준, "韓半島出土 細石核의 編年" 한국고고학회 48 : 1-1, 2002
    • 60 大谷薰, "韓半島の細石器文化" 舊石器文化談話會 73 : 1-12, 2010
    • 61 大谷薰, "韓半島における先史時代の黑曜石利用" 駿台史學會 135 : 117-146, 2009
    • 62 崔福奎, "長興里舊石器遺蹟" 강원고고학연구소 2001
    • 63 이형우, "長水砧谷里舊石器遺蹟" 전북대학교박물관·한국도로공사 2007
    • 64 芹澤長介, "長崎縣文化財調査報告書第4集" 長崎縣敎育委員會 1967
    • 65 加藤眞二, "華겗細石刃文化調査から─華겗地域における細石刃石器群の出現─" 37-40, 2009
    • 66 佐藤宏之, "荒川台型細石刃石器群の形成と展開─겏柱系細石刃石器群の生成プロセスを展望して─" 考古學硏究會 58 (58): 51-68, 2011
    • 67 安蒜政雄, "舊石器時代の日本列島史" 學生社 2010
    • 68 寺崎康史, "舊石器時代の地域編年的硏究" 同成社 275-314, 2006
    • 69 萩原博文, "舊石器時代の地域編年的硏究" 同成社 207-240, 2006
    • 70 大谷薰, "細石器文化硏究の新潮流" 雄山閣 113 : 17-20, 2010
    • 71 芝康次鄭, "細石刃石器群の到걐とその變遷について" 九州舊石器文化硏究會 11 : 41-54, 2007
    • 72 須藤隆司, "細石刃技術–環日本海技術と地域技術の構造と組織–" 日本舊石器學會 5 : 67-97, 2009
    • 73 한수영, "益山西豆里2·寶三里遺蹟"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74 直江康雄, "白瀧遺跡群Ⅶ" 北海道埋藏文化財センタ– 2007
    • 75 安蒜政雄, "環日本海舊石器文化回걉とオブシデイアン·ロ—ド" 駿台史學會 135 : 147-168, 2009
    • 76 이융조, "牛山里曲川先史遺蹟, In 住岩댐水沒地區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Ⅴ)" 전남대학교 박물관 63-124, 1987
    • 77 筑波大學遠間資料硏究グル–プ, "湧別川" 北海道紋別郡遠輕町敎育委員會 1990
    • 78 서대원, "淸州福臺洞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08
    • 79 이융조, "淸原老山里舊石器遺蹟(2地點)"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08
    • 80 佐藤宏之, "比較考古學の新地平" 同成社 895-904, 2010
    • 81 小畑弘己, "極東及び環日本海における更新世–完新世の狩獵道具の變遷硏究"
    • 82 이헌종, "東겗아시아세형돌날문화의起源問題에대한試考" 목포대학교박물관 5 : 9-31, 1997
    • 83 堤隆, "最終氷期における細石刃狩獵民とその適應戰略" 雄山閣 2011
    • 84 安蒜政雄, "日本海學の新世紀5 交流の海" 角川學芸出版 198-209, 2005
    • 85 小畑弘己, "日本の考古學講座2 舊石器時代(下)" 靑木書店 481-510, 2011
    • 86 安蒜政雄, "日本の細石核" 駿台史學會 47 : 152-183, 1979
    • 87 安蒜政雄, "日本の細石器文化" 駿台史學會 60 : 133-159, 1985
    • 88 永塚俊司, "新東京國際空港埋藏文化財發掘調査報告書ⅩⅩ" 新東京國際空港公團·千곸縣文化財センタ– 2004
    • 89 임병태, "新坪里갏坪舊石器, In 住岩댐水沒地區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 전남대학교박물관 1988
    • 90 이선복, "新坪里 갏坪·德山里 竹山 後期舊石器遺蹟, In 住岩댐 水沒地區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 전남대학교 박물관 21-76, 1990
    • 91 川道寞, "岐宿町文化財調査報告書第3集" 長崎縣岐宿町敎育委員會 1998
    • 92 경남발전연구원역사문화센터, "居昌正莊里遺蹟Ⅰ–舊石器時代1–"
    • 93 김진영, "寶成道安里石坪遺蹟Ⅲ–구석기–" 한국도로공사·(재)마한문화연구원 2012
    • 94 박영철, "密陽古禮里및晉州集賢長興里遺蹟" 영남고고학회 15 (15): 2004
    • 95 전병우, "天安淸堂洞舊石器遺蹟" 충청문화재연구원 2006
    • 96 鶴丸俊明, "大韓民國·上舞龍里Ⅱ遺跡の細石刃石器群—石器群の位置づけと關連する問題について—" 36 : 97-103, 2000
    • 97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大邱月城洞777–2番地遺蹟(1)"
    • 98 이융조, "大淸댐水沒地區遺蹟發掘報告書(忠淸겗道篇)" 충북대학교박물관 1979
    • 99 이홍종, "大井洞遺蹟" 고려대학교매장문화재연구소 2002
    • 100 이융조, "堤川頭鶴洞중말舊石器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09
    • 101 이영철, "和順沙倉遺蹟" 호남문화재연구원 2007
    • 102 이융조, "和順大田舊石器遺蹟發掘報告書" 충북대학교고고미술사학과 1991
    • 103 기전문화재연구원, "南楊州好坪洞지새울遺蹟"
    • 104 福井淳一, "千歲市柏台1遺跡" 겗海道埋藏文化財センタ– 1999
    • 105 鶴丸俊明, "北見市中本遺跡" 60-65, 1997
    • 106 鶴丸俊明, "北海道地方の細石器文化" 駿台史學會 47 : 23-50, 1979
    • 107 山田哲, "北海道の細石刃文化" 六一書房 2006
    • 108 山田哲, "北海道の前半期細石刃石器群についての硏究" 8 : 1-70, 1999
    • 109 "助갏基盤硏究(C)(2)硏究成果報告書"
    • 110 이형우, "全州沙根里遺蹟" 전북문화재연구원 2006
    • 111 한수영, "全州中洞舊石器遺蹟" 호남문화재연구원 2013
    • 112 하인수, "佐洞·中洞舊石器遺蹟" 부산광역시립박물관 2001
    • 113 小畑弘己, "伝播をめぐる構造伝動" 東京大學公開シンポジウム予稿集 86-95, 2008
    • 114 鹿又喜隆, "九州地方における洞窟遺跡の硏究─長崎縣福井洞穴第三次發掘調査報告書─" 東겗大學大學院文學硏究科考古學硏究室·東겗大學總合博物館 2015
    • 115 芝康次鄭, "九州における細石刃石器群の硏究" 六一書房 2011
    • 116 이융조, "丹陽垂楊介Ⅲ地區舊石器遺蹟(9次)"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3
    • 117 이융조, "丹陽垂楊介Ⅲ地區舊石器遺蹟(10次)"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3
    • 118 加藤眞二, "中國細石刃文化の基礎的硏究─河南겛靈井遺跡石器群の分析を中新として─" 1-168, 2014
    • 119 최복규, "上舞龍里" 강원도·강원대학교박물관 39-179, 1989
    • 120 황용혼, "上舞龍里" 강원도·강원대학교박물관 480-660, 1989
    • 121 長沼孝, "上川町日東遺跡" 北海道埋藏文化財センタ– 2000
    • 122 木村英明, "マンモスを追って" 一光社 1985
    • 123 小畑弘己, "シンポジウム日本の細石刃文化Ⅱ─細石刃文化硏究の諸問題─" 八ヶ岳舊石器硏究グル–プ 210-231, 2003
    • 124 小畑弘己, "シベリア先史考古學" 中國書店 2001
    • 125 木村英明, "シベリアの舊石器文化" 겗海道大學圖書刊궋會 1997
    • 126 Lee Heon-jong, "To the Prolem of Origin of the Microblade Technique in North-East Asia. 100’s Anniversary of Hsiung-nu Archaeology. Nomadism-Past"
    • 127 Yi Seonbok, "The Origin and Dispersal of Microblade Industry in Northern Eurasia" 68-71, 1992
    • 128 J.C.Kim, "PIXE Provenancing of Obsidian Artifacts From Paleolithic Site in Korea" 27 : 122-128, 2007
    • 129 Ambiru Masao, "Obsidian Culture and Obsidian Road" 51-52, 2008
    • 130 Binford, L.R., "Nunamiut Ethnoarchaeology" Academic Press 1978
    • 131 Lee Yung-jo, "New Findings from Loc.Ⅵ, Suyanggae Site, Korea" 2014
    • 132 Chang Yongjoon, "Hunam activity and lithic technology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MIS 3 to MIS 2 in the Late Paleolithic period" 308–309 : 13-26, 2013
    • 133 Sohn Pow-key, "Grattoir-burin carene discovered at Sokchan-nie, Korea" 9 : 125-138, 1968
    • 134 Kimura Hideaki, "Chronostratigraphy of the Paleolithic in North" 83-90,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