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영화인의 부역과 냉전 한국영화의 형성 = Controversies of collaboration -Filmmakers and the Cold War Cinema
저자
이순진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204(4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rimary focus of this paper is the effects of the USAMGIK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on the collaboration of Korean film technicians. Korea under American occupation from 1945 to 1948 marks the departure from the Japanese totalitarian rule. But this occupation period brought back to Korean cinema the system of control similar to the late-colonial wartime mobilization. The state control of film production faculties, the utility of cinema for war operation, and the overall underdevelopment of film production continued. Concurrently, the film industry witnessed the rise of a group of film technicians indispensable for producing newsreels and documentaries. They also shared a strong sense of bond and historical experiences. A significant change occurred as the Korean film industry underwent a structural transformation after the Korean War. From the late 1950s onward, the various types of assistance and aid from the US into Korea triggered a series of seismic chang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hey include the provision of filmmaking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and film production resources. These changes, in turn, facilitated the steady production of commercial narrative films, specialization, professionalization, and division of filmmaking techniques, as well as the rise of American film standards and their application in Korean filmmaking practice. Most of all, they brought the generational change, which also paralleled the historical shift from the postwar state of emergency to the prolonged condition of the Cold War contention. In this context, the accusation brought on by Yi Pil-u and his cohorts against the Yi Hyongpyo marks a historical significance. It ties to the issues of the generational change of film technicians. It also relates to the authoritarian politics where rumors on the pro-communist collaboration functioned as a source of the Cold War cultural mobilization. In short, the controversies of pro-communist collaboration serve as the marker that illustrates the historical change in the Korean film industry: from the colonial model of film practice to the new Cold War cultural politics and its practice. This paper aspires to illuminate the advent of the Cold War cinema production through specific cases of the pro-communist collaboration.
더보기기술 인력의 부역 문제와 관련해서 특히 주목할 것은 미군정의 통치와 한국전쟁이라는 열전의 효과다. 일제의 전체주의적 통치로부터 해방은 되었지만 미군정의 통치와 분단, 그리고 한국전쟁을 거치는 8년 동안, 한국에서 영화는 식민 말기와 마찬가지로 (준)전시상태에 놓여 있었다. 생산수단의 국가 장악, 전쟁수행을 위한 도구로서의 영화의 위치, 제작 산업의 극도의 부진 같은 조건들이 지속되면서 전시 뉴스릴과 다큐멘터리를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인력이었던 기술자들을 중심으로 한, 동질적인 역사적 경험을 가진 소규모 집단이라는 영화계의 성격은 유지되었다. 변화가 시작된 것은 전후에 한국영화가 구조적 변동을 겪게 되면서부터다. 1950년대 후반 동안, 미국의 원조에 힘입은 영화제작의 물적 토대 구축과 자원의 분배에 따른 극영화 제작산업의 활성화, 이질적인 경험을 가진 신규 인력들의 영화계 유입, 직능별 분화와 조직화, 미국식 기술표준과 산업적 표준이 부상하는데 따른 세대교체 등의 변화가 한꺼번에 진행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은 한국전쟁이라는 열전이 중단되고 남북한이 적대적 공존상태로 전환하는데 따른 영화계의 구조적 변동의 일부였다. 이형표의 부역 전력 발고 사건은 그와 같은 구조적 변동이 시작되는 시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냉전 한국영화가 또 다른 국면에 접어들고 있음을 앞서 보여주었다. 이는 영화계 내부로 본다면 인력의 세대교체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지만, 보다 큰 역사적 맥락에서는 한국영화가 식민지문화로부터 냉전문화의 일부로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해방직후부터 한국전쟁기, 그리고 1950년대 후반을 거치면서 한국영화가 냉전적 구조를 획득해가는 과정을, 부역 문제를 포함한 영화인들의 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