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소비에트 문제’, 혹은 소비에트 연방의 사후의 삶 = ‘The Soviet Problem’ in Post-Soviet Russian Marxism, or the Afterlife of the USS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61(4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논문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부상한 러시아어권 마르크스주의, 또는 신마르크스주의 학파의, 소비에트 경험에 관한 서로 다른 마르크스주의 이론들을 (다른 과거 동구권의 마르크스주의 전통에 대한 언급과 동시에) 다루고 있다. 고전적인 소비에트 식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한쪽으로 밀어두고 비판적이며, 포스트—소비에트적 마르크스 주의에 집중하면, 이 이론들이 ‘근본적 거부주의’ 혹은 ‘테르미도르적’인 이론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이 글은 보일 것이다. 전자는 카우츠키를 비롯해 초기에 레닌을 반대한 이들의 중대한 비판과 같은 선상에서 1917년 10월 혁명의 사회주의적 성격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 후자는 혁명이 적어도 사회주의 지향적이기는 했다고 정의하지만, 여기서 더 나아가 여러 종류의 ‘국가자본주의’론, 그리고 스탈린주의적 사회들이 본질적으로 정통적 자본주의와는 다른 포스트 혁명적 산업주의의 특별한 종류라고 정의한 여러 이론가들로 이분화 된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비 판적 포스트—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소비에트 타입의 통치 체제가 점점 심화된 계급 분화를 향해 진화해 갔었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러나 소비에트 타입의 관료는 즉자적 계급이나 대자적 계급이라기보다 형성 중인 계급(class-in-the-making)이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하며, 이 논지는 소비에트 타입의 산업주의와 정통 자본주의 사이의 유사점보다는 차이를 우선에 두었던 이론가들의 작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더보기The present article is dealing with different Marxist theories on the Soviet experience, which emerged in post-Soviet Russophone Marxist or neo-Marxist scholarship (concurrently with some reference to Marxist traditions in other former Eastern bloc countries). The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se theories — if we leave the remaining ‘Marxist-Leninists’ of the classical Soviet type aside and focus on critical, post-Soviet Marxism — may be classified into either ‘fundamentally rejectionist’ or ‘Thermidorian.’ The former, in line with the seminal criticisms by K.Kautsky and other early opponents of Lenin, reject the socialist nature of October 1917 Revolution outright. The latter mostly define the Revolution as at least socialist-oriented, but further bifurcate into different varieties of ‘state capitalism’ thesis and a number of theorists defining the Stalinist societies as special varieties of post-revolutionary industrialism essentially different from orthodox capitalism. Most critical post-Soviet Marxists agree, however, that the main vector of Soviet-type regimes’ evolution indeed pointed towards increased class stratification.
However, it has to be remembered that Soviet-type bureaucracy was a class-in -the-making rather than a class-in-itself or a class-for-itself, and this point is further elaborated in the works of these theorists who prioritize the differences rather than similarities between the Soviet-type industrialism and orthodox capitalis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