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취업진로연구(2016-2018)』의 학술적 가치 및 특성에 관한 메타(META) 분석 = A Meta Analysis on Academic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2016-2018)』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94(2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It has been 10 years since Korean Employment & Career Association held its foundation conference in 2010.10.22. Also 9 years have passed since its first publishing of academic journal, named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ume 1 was first published in June 30th, 2011. Ever since then, volume 27 was published in September 30th, 2019. This study is a meta analysis result of data and characteristics of theses published in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for 3 years(2016-2018) which is an academic journal of Korean Employment & Career Association to submit in '2019 new and continuing evaluation of academic jounals'. From its 7th publication in December 5th 2014,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was designated as achievement management in academy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It was August 3rd 2016 in '2016 new and continuing academic journal evaluation', which was 2 years after designation of its candidate journal in 2014's academic journal evaluation by NRF. As we can see,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achieved skyrocketing performance and advance within short amount of tim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s contribution to Korean employment culture development. It developed from employment information which used to be dealt as a part of simple side branch, to employment culture, an academic field. Through this, it made momentum that helped corporate, university students, government, public organization to treat employment information more significantly. Thanks to its result, sub culture which consists employment culture was developed rapid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an be said that issues and contents generated from employment factors in our society were introduced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or theses, which accelerated academic study. 'Competency Interview', 'Campus Recruiting', 'Self Introduction', 'Using AI method in recruiting' etc. can be examples of them. It is suggested that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should deal with developed countries' reruiting method and university graduat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udy should be more treated. Currently, since thesis submission is mainly done by domestic researchers, developed countries' university students' development method and career management, and graduate students' business establishment research which is supposed to be in line with employment, needs to go further. If those needs are fulfilled, more globalised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will pave the way for its position.
한국취업진로학회가 창립총회(2010.10.22)를 개최한 지는 올해로 10년째이며 학술지인 [취업진로연구]를 발간한 지는 9년째를 맞고 있다. [취업진로연구] 통권1호(2011년6월30일)가 발간된 이래 현재 통권 27호(2019년9월30일)가 나왔다. 본 연구는 한국취업진로학회 학술지인 [취업진로연구]의 한국연구재단 ‘2019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를 위해 제출한 [취업진로연구(2016-2018)]에 게재된 3년치 논문의 데이터와 성격을 메타 분석한 연구이다. [취업진로연구]는 학술지를 발간한 지 통권 7호째인 2014년12월5일, 한국연구재단 ‘2014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에서 등재후보지로 선정된 이래 약 2년 뒤인 2016년8월3일, ‘2016년도 학술지평가 신규 및 계속평가’에서 등재지로 선정되었다. 현황에서 알 수 있듯이 [취업진로연구]는 단시간에 걸쳐 비약적인 발전과 성과를 도출했다.
[취업진로연구]가 한국 취업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헌과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사회에서 학문적 영역이 아닌 곁가지로 다루어오던 단순한 취업정보를 취업문화라는 학문적 영역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기업과 대학과 대학생 그리고 정부 및 공공 기관들이 취업정보를 보다 비중 있게 다루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 결과로 인해 취업문화를 구성하는 하위문화들의 학문적인 발전을 더욱 가속화 시킬 수 있었다. 시사점과 제언은 우리 사회 취업문화 구성요소 가운데 이슈화 되는 내용들을 학술발표를 통해 선보이거나 혹은 투고논문을 통해 시현시켜주어 학문적 연구를 가능하게 만든 촉매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역량면접”, 캠퍼스리크루팅“, “자기소개서 없는 지원전형”, “공채전형에 AI 기법 도입” 등이 이에 해당되는 사항일 것이다. [취업진로연구]에 대한 제언은 향후 선진국의 채용기법과 대졸 인재육성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연구자 중심으로 논문투고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선진국들의 대학생 인재육성 방법이나 경력관리 그리고 최근 취업의 연장선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학생 창업과 같은 분야의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이 점을 보완해나간다면 보다 글로벌화 된 [취업진로연구]의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