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생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의 교육요구도 분석-D대학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Educational Demand of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Group, Job Foundation Competency Group,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Group-Focused on D Univers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37(2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Most recent job competency studies focus only on one of career choice, job search, job foundation, and job adaptation, thus limiting practical job situations. With this problem in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priority of factors on the quadran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400 students of four-year D University in the capital area from June to July 2018, and used 349 copies for analysis. The research methods was applie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perceived and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s a research resul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factor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and the average value of male and the upper grade showed higher than female and the lower grade. By the majors category,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the science and engineering showed higher tha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 in all the sub-factors on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the importa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value than the performance. Third, the result of IPA on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job adaptation competency, Concentrate Here quadrant included an acquire job-seeking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information, technology, and resource literacy of job foundation competency, self-development skill of job adaptation competency. In the quadrant of ‘Keep up the good work’, it included problem solving skill and communication skill of job found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and organization comprehension of job adaptation competency. In the Low Priority, it included numeracy skill of job foundation competency and change adaption of job adaptation competency, and job experience preparation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showed at the boundary between Concentrate and Low Priority. In the Possible Overskill, it included self-understanding, job-seeking design, and job information understanding of employment preparation competency and vocational ethics and attitude of job adaptation competency.
더보기최근의 구직과 관련된 역량연구는 진로선택이나 준비, 직업수행능력, 직업적응 중의 하나의 내용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실제적인 구직상황을 다루는데 한계가 있으며,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어 역량교육의 제한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효율적인 역량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구직관련 역량을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으로 포괄하여 그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에서 사분면에 위치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D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7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4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의 빈도분석, t-검정, 중요도-실행도 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 하위요인에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전공계열별로는 직업기초역량과 직업적응역량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공계열이 인문사회계열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둘째,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에 대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중요도가 실행도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셋째,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의 하위 구성요소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집중노력영역’에 구직준비역량의 구직기술습득, 직업기초역량의 정보·기술 및 자원 활용능력, 직업적응역량의 자기계발능력이 포함되었다. ‘지속유지영역’에는 직업기초역량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직업적응역량의 대인관계능력, 조직이해능력이 포함되었다. ‘점진개선영역’에는 직업기초역량의 수리능력, 직업적응역량의 변화적응이 포함되었고, 구직준비역량의 구직경력준비는 집중노력영역과 점진개선영역 경계에 나타났다. ‘과잉노력영역’은 구직준비역량의 자기이해 및 구직설계, 구직정보이해, 직업적응역량의 직업윤리 및 태도가 포함되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조사는 대학생의 구직관련 역량의 발전과 확산에 함의를 제공하며, 역량기반의 진로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