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벨르이의 «페테르부르크»와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과 상호주관성의 관계 연구 - 벨르이의 소설 «페테르부르크»의 예시를 중심으로 -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textuality and Intersubjectivity in A. Bely’s «Petersburg» and F. Dostoevsky’s «Crime and Punishment» - Focusing on the Example of A. Bely’s Novel «Petersburg»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1-179(2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페테르부르크 텍스트’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두 작품, A. 벨르이의 «페테르부르크(Пе- тербург)»와 F.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죄와 벌(Преступление и наказание)»에 나타나는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여, 바흐틴의 ‘상호주관성’ 개념을 기반으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전개한 Ju. 크리스테바의 ‘상호텍스트성’ 개념이 갖는 특성과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Ju. 크리스테바가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의 작품을 분석하는 데 있어 ‘상호텍스트성’의개념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왜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죄와 벌»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M. 바흐틴의 ‘상호주관성(대화성)’ 개념이 변증법적 맥락과의 관계에서 최초로 어떻게 적용되었으며, 왜 ‘페테르부르크 텍스트’를 최종적으로 완성하는 것이 벨르이의 소설 «페테르부르크»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과 벨르이의 «페테르부르크»를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것은 바흐틴이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특히 «죄와 벌»에 대화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자신의 이론을입증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페테르부르크 텍스트’가 이 두 소설의 구성 요소들 가운데 중요한 내용이며, 페테르부르크에 관한 19세기 러시아 고전 문학 작품들과의 대화적 상호텍스트성이 가장 잘나타난 대표적 소설이 벨르이의 «페테르부르크»이다. 본 연구는 벨르이의 소설 «페테르부르크»와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을 상호텍스트성과 대화성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19세기 러시아 고전 소설의 전통 및 포스트모더니즘과 벨르이의 소설 «페테르부르크»의 의미적 관계의분석을 병행하여 고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intertextuality’ presented in the two works in which the ‘Petersburg text’ is clearly visible – A. Bely’s «Petersburg» and F.
Dostoevsky’s novel «Crime and Punishment» to contempl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of Ju. Kristeva’s concept of ‘intertextuality’, which was developed by a new approach based on M. Bakhtin’s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This article examines how Yu. Kristeva’s applies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in analyzing works with a postmodern tendency, and how M. Bakhtin’s concept of ‘intersubjectivity(dialogicity)’ was first applied in relation to the dialectical context in the process of analyzing F. Dostoevsky’s «Crime and Punishment», and why it was A. Bely’s novel «Petersburg» that ultimately completed the ‘Petersburg text’.
The reason why F. Dostoevsky’s «Crime and Punishment» and A. Bely’s «Petersburg»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study in this study is because M. Bakhtin was the first to apply the concept of dialogicity to F. Dostoevsky’s novel, proving his theory and applying the concept of dialogicity to the novel «Crime and Punishment». In addition, the ‘Petersburg tex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is novel, and A. Bely’s novel «Petersburg», which participated in the ‘dialogue’ with the help of 19th century Russian classical literary works about Petersburg, is confirmed to be the last word of ‘dialogue’ from the ‘Petersburg text’ and the novel to complete it. To briefly summarize the differences in the works of the two writers, F. Dostoevsky synthesized past and present thoughts and then tried to directly listen to the voices of future thoughts, whereas A. Bely’s considered understanding the past as an important element. Through this study, we analyzed A. Bely’s novel «Petersburg» and F. Dostoevsky’s «Crime and Punishment» in detail for the first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textuality and dialogism, and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tradition and postmodernism of 19th century Russian classic novels and A. Bely’s novel «Petersburg».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