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개발 경험에 관한 유형별 에스노그래피 : 사회자본(social capital)을 중심으로 = No experi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village Type S Photography: Social Capital Focuse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38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76(34쪽)
제공처
마을은 자족성과 지속성을 특징으로 한다. 마을은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공간이다. 따라서 마을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도 증대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마을에 대해 천착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 이는 마을에 오랫동안 살며 마을공동체를 구성했던 주체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사고를 파악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나마 알 수 있다. 특히 농촌 마을활성화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해답은 그동안 마을개발에 참여했던 주역들의 진술을 통해 그 해답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을단위로 진행돼 온 두레·품앗이·계가 오늘날 사회자본의 기반인 신뢰와 네트워크로 재편되고 실제 마을개발에 투입되고 있다는 인식에 따라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했다. 아울러 마을의 사회자본 축적정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뒤 각 유형에 해당하는 마을구성원들을 만나 심층면접을 했다. 심층면접을 통해 마을개발의 다양한 경험을 에스노그래피의 방식으로 기술했다. 이러한 시도는 새마을운동이 추진되면서 그동안 묻혀있던 마을의 개발과정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줄 뿐 아니라 이후 우리의 농촌 마을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지 올바른 방향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 우리의 새마을운동 성공비결을 배우고자하는 세계 각국의 여러 가지 상황에 적합한 개발방안을 제시하는데도 유용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더보기Village is characterized by self sufficiency and sustainability. Village is the valuable place which will conserve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We can find out the many meaning from the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who had developed the rural village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measure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in rural villages on the basis of trust and network which had been in relational resources like a cooperative farming team(Dure), an exchange of labor and rotating savings and credit association spreaded thickly on life and economy region and so forth of rural village. Here, trust is operated by the principle of the reciprocity, embeddedness, and intersubjectivity and network is characterized by the principle of homophile, habitu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n the basis of this knowledge, if we set cross network-axis on trust axis, we derive four type. That is, type-Ⅰ: trust(+)·network(+), type-Ⅱ: trust(+)·network(-), type-Ⅲ: trust(-)·network(+), type-Ⅳ: trust(-)·network(-). This study applied four types to 15 rural villages measured by trust and network index. As a result, 3 village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this study proposed ethnographically the statements of 3 village members which had experienced personally.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ntroduce the know-how of Saemaul Movement to all countries of the world as well as various locations in Korea in the futur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